[본초강목](493)
-
첨과(甜瓜)[본초강목]
첨과(甜瓜)[본초강목] ^^^^^^^^^^^^^^^^^^^^^^^^^^^^^^^^^^^^^^^^^^^^^^^^^^^^^^^^^^^^^^^^^^ 甜瓜 (宋《嘉祐 》) 【校正】 自菜部移入此。並入《本經》瓜蒂。 【釋名】 甘瓜(《唐本》)、果瓜。 時珍曰︰瓜字篆文,象瓜在鬚蔓間之形。甜瓜之味甜於諸瓜,故獨得甘、甜之稱。舊列菜部,誤矣。 瓜字(과자)의 篆文(전문)은 瓜(과)가 鬚蔓(수만) 사이에 있는 形(형)을 形容(형용)한 것이다. 甜瓜(첨과)의 맛은 諸瓜(제과)보다도 甜(첨)하기 때문에 唯獨(유독) 甘(감), 甜(첨)의 稱呼(칭호)를 獲得(획득)한 것이다. 舊本(구본)에서 菜部(채부)에다 配列(배열)한 것은 잘못이다. 按︰王禎雲︰瓜類不同,其用有二︰供果者為果瓜,甜瓜、西瓜是也;供菜者為菜瓜,胡瓜、越瓜是也。在木曰果,在地曰 。大曰瓜..
2022.03.20 -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호박/남과(南瓜) 호박 이명 : [당호박]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분류군 : Cucurbitaceae(박과) 일명 : カボチャ(Kabocha) 영명 : Pumpkin, Canada Pumpkin, Crookneck Squash, Winter 漢名 : 南瓜(남과)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크고 많은 변종이 있으며 모양과 빛깔도 변종에 따라 다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편평하고 맛이 좋다. 열매는 익으면 바깥면이 짙은 황갈색을 띤다. 꽃 꽃은 1가화로서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수꽃은..
2022.03.20 -
동과(冬瓜)[본초강목]
동과(冬瓜)[본초강목] ^^^^^^^^^^^^^^^^^^^^^^^^^^^^^^^^^^^^^^^^^^^^^^^^^^^^^^^^^^^^^^^^^^ 冬瓜 (《本經》上品) 【校正】 今並入白瓜子。 【釋名】 白瓜(《本經》)、水芝(同上)、地芝(《廣雅》)。 志曰︰冬瓜經霜後,皮上白如粉塗,其子亦白,故名白冬瓜,而子雲白瓜子也。 志(지)에 있기를 冬瓜(동과)는 서리가 내린 후에 皮上(피상)에 粉(분)을 바른 것처럼 하얗게 되고, 그 子(자) 또한 白色(백색)이다. 그래서 白冬瓜(백동과)라 하고, 子(자)를 白瓜子(백과자)라 한다. 時珍曰︰冬瓜,以其冬熟也。又賈思勰雲︰冬瓜正三月種之。若十月種者,結瓜肥好,乃勝春種。則冬瓜之名或又以此也。 冬瓜(동과)는 그것이 冬熟(동숙)하기 때문이다. 또한 賈思勰(가사협)이 “冬瓜(동과)는 正三月(정삼월..
2022.03.20 -
사과(絲瓜)[본초강목]
사과(絲瓜)[본초강목] ^^^^^^^^^^^^^^^^^^^^^^^^^^^^^^^^^^^^^^^^^^^^^^^^^^^^^^^^^^^^^^^^^^ 絲瓜 (《綱目》) 【釋名】 天絲瓜(《本事》)、天羅(《事類合璧》)、布瓜(同上)、蠻瓜(《本事》)、魚鰦。 時珍曰︰此瓜老則筋絲羅織,故有絲羅之名。昔人謂之魚鰦,或雲虞刺。始自南方來,故曰蠻瓜。 이 瓜(과)는 羅織(나직)되어 있기 때문에 絲(사), 羅(나)의 이름이 있다. 옛날에는 이것을 魚鰦(어자)라고 하였고, 혹은 虞刺(우자)라고도 하였다. 처음에는 南方(남방)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蠻瓜(만과)라고 한 것이다. 【集解】 時珍曰︰絲瓜,唐宋以前無聞,今南北皆有之,以為常蔬。 二月下種,生苗引蔓,延樹竹,或作棚架。其葉大於蜀葵而多丫尖,有細毛刺,取汁可染綠。其莖有棱。六、七月開黃花,五出,微似胡瓜..
2022.03.20 -
서과(西瓜)[본초강목]
서과(西瓜)[본초강목] ^^^^^^^^^^^^^^^^^^^^^^^^^^^^^^^^^^^^^^^^^^^^^^^^^^^^^^^^^^^^^^^^^^ 西瓜 (《日用》) 【釋名】 寒瓜(見下)。 【集解】 瑞曰︰契丹破回紇,始得此種,以牛糞覆而種之。結實如鬥大,而圓如匏,色如青玉,子如金色,或黑麻色。北地多有之。 時珍曰︰按︰胡嶠《陷虜記》言︰嶠征回紇,得此種歸,名曰西瓜。則西瓜自五代時始入中國,今則南北皆有,而南方者味稍不及,亦甜瓜之類也。二月下種,蔓生,花、葉皆如甜瓜。七、八月實熟,有圍及徑尺者,長至二尺者。其棱或有或無,其色或青或綠,其瓤或白或紅,紅者味尤勝。其子或黃或紅,或黑或白,白者味更劣。其味有甘、有淡、有酸,酸者為下。陶弘景注瓜蒂言,永嘉有寒瓜甚大,可藏至春者,即此也。蓋五代之先,瓜種已入浙東,但無西瓜之名,未遍中國爾。其瓜子曝裂取仁,生食、炒熟俱佳。皮不堪啖,..
2022.03.20 -
목이(木耳)[본초강목]
목이(木耳)[본초강목] ^^^^^^^^^^^^^^^^^^^^^^^^^^^^^^^^^^^^^^^^^^^^^^^^^^^^^^^^^^^^^^^^^^^^^^^ 木耳 (《本經》中品) 【校正】 自桑根白皮條分出。 상근백피(桑根白皮)조하(條下)에서 분출(分出)한다. 【釋名】 木 (而、軟二音)。木菌(窘、卷二音)。木㙡 樹雞(韓文)、木蛾 。 時珍曰︰木耳生於朽木之上,無枝葉,乃濕熱餘氣所生。曰耳曰蛾,象形也。曰檽,以軟濕者佳也。 木耳(목이)는 朽木上(후목상)에서 自生(자생)하며, 枝葉(지엽)이 없다. 이것은 濕熱(습열)의 餘氣(여기)에서 發生(발생)하는 것이다. 耳(이)나 蛾(아)라는 것은 象形(상형)한 것이다. 檽(연)이란 軟(연)하고 濕(습)한 것을 佳品(가품)으로 치기 때문이다. 曰雞曰㙡,因味似也。南楚人謂雞為㙡。曰菌,蜠猶也,亦..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