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이(木耳)[본초강목]

2022. 3. 12. 05:2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목이(木耳)[본초강목]

 

 

 

 

^^^^^^^^^^^^^^^^^^^^^^^^^^^^^^^^^^^^^^^^^^^^^^^^^^^^^^^^^^^^^^^^^^^^^^^

 

木耳

 

(《本經中品

 

 

 

校正

 

自桑根白皮條分出

 

상근백피(桑根白皮)조하(條下)에서 분출(分出)한다.

 

 

釋名

 

軟二音)。木菌卷二音)。木㙡 樹雞韓文)、木蛾

 

時珍曰木耳生於朽木之上無枝葉乃濕熱餘氣所生曰耳曰蛾象形也曰檽以軟濕者佳也

 

木耳(목이)朽木上(후목상)에서 自生(자생)하며, 枝葉(지엽)이 없다. 이것은 濕熱(습열)餘氣(여기)에서 發生(발생)하는 것이다. ()()라는 것은 象形(상형)한 것이다. ()이란 ()하고 ()한 것을 佳品(가품)으로 치기 때문이다.

 

曰雞曰㙡因味似也南楚人謂雞為㙡曰菌蜠猶也亦象形也蜠乃貝子之名

 

()라든가 ()이라는 것은 ()가 유사한 데서 緣由(연유)한 것인데 南楚地方(남초지방)에서는 ()()이라 한다. ()이라 하는 것은 ()이라 하는 것과 같은 뜻인데 역시 象形(상형)한 것이다. ()이란 貝子(패자)의 이름이다.

 

或曰地生為菌木生為蛾北人曰蛾南人曰蕈

 

혹은 땅에서 나오는 것을 ()이라 하고, 나무에서 自生(자생)하는 것을 ()라 하는데 北方(북방)에서는 ()라 하고, 南方(남방)에서는 ()이라 하는 것이다.

 

 

 

集解

 

別錄五木耳生犍為山穀六月多雨時采即曝乾

 

五木耳(오목이)犍為(건위)山穀(산곡)에서 自生(자생)한다. 六月(육월)의 비가 많이 내릴때 採取(채취)하여 曝乾(폭건)하는 것이다.

 

 

弘景曰此雲五木耳而不顯言是何木惟老桑樹生桑耳有青白者軟濕者人采以作菹無複藥用

 

恭曰此為五木耳軟者並堪啖楮耳人常食槐耳療痔煮漿粥安諸木上以草覆之即生蕈爾

 

時珍曰木耳各木皆生其良毒亦必隨木性不可不審然今貨者亦多雜木惟桑榆之耳為多雲

 

목이(木耳)는 각 나무에서 모두 자생한다. 그 양()한 것과 유독(有毒)한 것은 역시 그 나무의 성()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소상(昭詳)히 밝혀둘 필요(必要)가 있다.

 

 

氣味

 

有小毒

 

權曰蕈耳古槐桑樹上者良柘木者次之其餘樹上多動風氣發痼疾令人肋下急損經絡背膊悶人

 

蕈耳(심이)古槐(고괴), 桑樹上(상수상)의 것이 좋으며, 柘木(자목)의 것이 버금간다. 그 박의 樹上(수상)인 것은 대부분 風氣(풍기)()하고, 痼疾(고질)()하게 하며, 肋下(늑하)()하게 하고, 經絡(경락), 背膊(배전)損傷(손상)하게 하고, 사람을 煩悶(번민)하게 한다.

 

 

藏器曰木耳惡蛇蟲從下過者有毒楓木上生者令人笑不止采歸色變者有毒夜視有光者欲爛不生蟲者並有毒並生搗冬瓜蔓汁解之

 

木耳(목이)惡蛇蟲(악사충)이 그 밑을 지나간 것은 ()이 있다. 風木上(풍목상)에서 自生(자생)한 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웃는 것을 멎지 않게 한다. 採取(채취)하여 돌아왔을 때 變色(변색)한 것은 모두 有毒(유독)한 것이다. 밤에 보아 光彩(광채)가 있는 것, 穈爛(미란)하면서 ()發生(발생)하지 않는 것, 모두 有毒(유독)한 것인데 이들에게는 冬瓜蔓(동과만)()으로 ()()이 그것을 解毒(해독)한다.

 

 

時珍曰張仲景雲木耳赤色及仰生者並不可食

 

장중경(張仲景)목이(木耳)는 적색(赤色)인 것과 앙생(仰生)한 것은 먹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主治

 

益氣不飢輕身強志(《本經》)。

 

益氣不飢(익기불기)하고, 輕身強志(경신강지)한다.

 

 

斷穀治痔時珍)。

 

斷穀(단곡)하고, 治痔(치치)한다.

 

 

 

發明

 

穎曰一人患痔諸藥不效用木耳煮羹食之而愈極驗

 

어떤 ()를 앓고 諸藥(제약)奏效(주효)하지 않았던 ()木耳(목이)()으로 만들어 먹고 治癒(치유)하였다. 著效(저효)가 있는 것이다.

 

 

珍曰︰《生生編柳蛾補胃木耳衰精言老柳之蛾能補胃理氣木耳乃朽木所生得一陰之氣故有衰精冷腎之害也

 

생생편(生生編)에는 유아(柳蛾)는 보위(補胃)하고 목이(木耳)는 정()을 쇠()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그것은 노류(老柳)의 아()는 곧잘 보위이기(補胃理氣)하고, 목이(木耳)는 후목(朽木)에서 발생(發生)하는 것으로 일음(一陰)의 기()를 득()하고 있는데서 정()을 쇠()하게 하며, 냉신(冷腎)하는 해()가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附方

 

新六

 

眼流冷淚木耳一兩燒存性),木賊一兩為末每服二錢以清米泔煎服。(《惠濟方》)。

血注腳瘡桑耳楮耳牛屎菰各五錢胎髮灰男用女女用男三錢研末油和塗之或乾塗之。(《奇效良方》)。

崩中漏下木耳半斤炒見煙為末每服二錢一分頭髮灰三分共二錢四分以應二十四氣好酒調服出汗。(孫氏集效方》)

新久泄痢乾木耳一兩),鹿角膠二錢半),為末每服三錢溫酒調下日二。(《禦藥院方》)。

血痢下血木耳炒研五錢酒服即可亦用井花水服或以水煮鹽醋食之以汁送下。(《普濟方》)。

一切牙痛木耳荊芥等分煎湯頻漱。(《普濟方》)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絲瓜)[본초강목]  (0) 2022.03.20
서과(西瓜)[본초강목]  (0) 2022.03.20
과루(栝蔞)[본초강목]  (0) 2022.03.12
발계(菝葜)[본초강목]  (0) 2022.03.12
토복령(土茯苓)[본초강목]  (0)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