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토형피(土荊皮)[본초강목습유]
토형피(土荊皮)[본초강목습유] 금전송(金錢松, Pseudolarix amabilis (Nelson) Rehd.)의 뿌리껍질 또는 뿌리 근처의 나무껍질을 건조한 것 金錢松 Pseudolarix amabilis (J. Nelson) Rehder,1919 이명(異名) Abies kaempferi Lindl. Larix amabilis J. Nelson Pseudolarix pourtetii Ferré Pseudolarix fortunei Mayr Pseudolarix kaempferi Gordon Laricopsis kaempferi (Lindl.) Kent Chrysolarix amabilis (J. Nelson) H. E. Moore Laricopsis fortunei (Mayr) Mayr ^^^^^^^^..
2022.05.07 -
송(松)[본초강목]
송(松)[본초강목] ^^^^^^^^^^^^^^^^^^^^^^^^^^^^^^^^^^^^^^^^^^^^^^^^^^^^^^^^^^^^^^^^^^^^^^^^^^^^ 松 (《別錄》上品) 【釋名】 時珍曰︰按王安石《字說》云︰松柏為百木之長。松猶公也,柏猶伯也。故松從公,柏從白。 생각하건대 王安石(왕안석)의 字說(자설)에는 “松(송), 栢(백)은 百木(백목)의 良(양)으로서 松(송)은 또한 公(공)과 같고, 栢(백)은 伯(백)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松(송)은 公(공)에 따르고 栢(백)은 白(백)에 따른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松脂生太山山谷。六月採。 頌曰︰松處處有之。 其葉有兩鬣、五鬣、七鬣。歲久則實繁。中原雖有,不及塞上者佳好也。松脂以通明如薰陸香顆者為勝。 宗奭曰︰松黃一如蒲黃,但味差淡。松子多海東來,今關右亦有,但細小味..
2022.05.07 -
패모(貝母)[본초강목]
패모(貝母)[본초강목] ^^^^^^^^^^^^^^^^^^^^^^^^^^^^^^^^^^^^^^^^^^^^^^^^^^^^^^^^^^^^^^^^^^^^^^^ 貝母 (《本經》中品) 【釋名】 (《爾雅》,音萌)、勤母(《別錄》)、苦菜(《別錄》)、苦花(《別錄》)、空草(《本經》)、藥實。 弘景曰︰形似聚貝子,故名貝母。 貝(패)가 集合(집합)된 모양이어서 貝母(패모)라고 이름 지어졌다. 時珍曰︰《詩》雲言采其莔,即此。一作虻,謂根狀如虻也。苦菜、藥實,與野苦蕒 、黃藥子同名。 詩經(시경)에 “말로만 듣던 그 莔(맹)을 采(채)하였다.”라고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한편에서 蝱(맹)이라 쓰기도 한다. 그것은 根(근)의 形狀(형상)이 蝱(맹)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苦菜(고채), 藥實(약실)이라 부르는 名稱(명칭)은 野苦蕒(야고매), 黃..
2022.04.29 -
녹약(鹿藥)
녹약(鹿藥) 풀솜대 이명:[솜대] [솜죽대] [왕솜대] [큰솜죽대] [품솜대] [솜때] [지장보살] 학명:Smilacina japonica A.Gray var. japonica 분류군:Liliaceae(백합과) 영명:Japanese False Solomonseal 잎 잎은 호생하며 5-7개가 2줄로 배열되고 길이 6-15cm, 폭 2-5cm로서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예두(銳頭)로 되고 밑부분은 원저(圓底)이다. 밑부분의 잎은 짧은 엽병이 있으나 위로 가면서 점차 없어지며 양면에 거센 털이 있고 특히 뒷면에 많다. 열매 장과는 둥글며 적색으로 익는다. 꽃 꽃은 양성으로서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끝이 복총상화서를 형성하며 화서에 털이 많다. 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2022.04.29 -
황정(黃精)[본초강목]
황정(黃精)[본초강목] ^^^^^^^^^^^^^^^^^^^^^^^^^^^^^^^^^^^^^^^^^^^^^^^^^^^^^^^^^^^^^^^^^^^^^ 黃精 (《別錄》上品) 【校正】 並入《拾遺》救荒草。 【釋名】 黃芝(《瑞草經》)、戊己芝(《五符經》)、菟竹(《別錄》)、鹿竹(《別錄》)、仙人餘糧(弘景)、救窮草(《別錄》)、米鋪(《蒙筌》)、野生薑(《蒙筌》)、重樓(《別錄》)、雞格(《別錄》)、龍銜(《廣雅》)、垂珠。 頌曰︰隋時羊公服黃精法雲︰黃精是芝草之精也,一名葳蕤,一名白芨,一名仙人餘糧,一名苟格,一名馬箭,一名垂珠,一名菟竹。 時珍曰︰黃精為服食要藥,故《別錄》列於草部之首,仙家以為芝草之類,以其得坤土之精粹,故謂之黃精。《五符經》雲︰黃精獲天地之淳精,故名為戊己芝,是此義也。餘糧、救窮,以功名也;鹿竹、菟竹,因葉似竹,而鹿兔食之也。垂珠,以子形也。陳..
2022.04.21 -
파라밀(波羅蜜)[본초강목]
파라밀(波羅蜜)[본초강목] 바라밀 학명 Artocarpus heterophyllus 분류 뽕나무과 원산지 인도·말레이시아 인도·말레이시아 원산이다. 높이 15m에 달한다. 잎은 길이 10∼20cm로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에 상처를 내면 유액(乳液)이 나온다. 꽃은 단성화로 암꽃은 줄기와 가지에 직접 달리고, 수꽃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줄기에 직접 달리고 원통형이다. 길이 25∼60cm, 지름 15∼20cm로서 무게가 7∼9kg이지만, 큰 것은 25kg에 달하는 것도 있다. 꽃은 1년 동안 계속 피며, 열매는 8개월이 지나면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익는다. 종자를 둘러싼 육질부와 육질화한 꽃턱을 식용한다. 열매는 빵나무와 비슷하고, 목재는 노란색이며 건축..
202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