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진피(秦皮)[본초강목]
진피(秦皮)[본초강목] ^^^^^^^^^^^^^^^^^^^^^^^^^^^^^^^^^^^^^^^^^^^^^^^^^^^^^^^^^^^^^^^ 秦皮 (《本經》中品) 【校正】 並入《拾遺》桪木。 【釋名】 梣皮 。樳木。石檀《別錄》。樊槻 (弘景)。盆槻《日華》。苦樹 (蘇恭)。苦櫪 〔時珍曰〕秦皮,本作梣皮。其木小而岑高,故以爲名。人訛爲桪木,又訛爲秦。或雲本出秦地,故得秦名也。高誘注《淮南子》雲:梣,苦櫪木也。 秦皮(진피)는 元來(원래) 梣皮(침피)라고 썼다. 그 나무는 작으면서 岑高(잠고)하기 때문에 그에 衍由(연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世人(세인)은 轉訛(전와)하여 桪木(심목)이라 하였고, 또 轉訛(전와)되어 秦木(진목)이라고 하였다. 혹은 元來(원래) 秦地(진지)에서 産出(산출)된 것이기 때문에 秦(진)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
2022.03.10 -
무환자(無患子)[본초강목]
무환자(無患子)[본초강목] ^^^^^^^^^^^^^^^^^^^^^^^^^^^^^^^^^^^^^^^^^^^^^^^^^^^^^^^^^^^^^^^^^^^^^^^^^^ 無患子 (宋《開寶》) 【釋名】 桓(《拾遺》)木患子(《綱目》)噤婁(《拾遺》)肥珠子(《綱目》)油珠子(《綱目》) 藏器曰︰桓、患字,聲訛也。 桓(환), 患(환)은 文字(문자) 發音(발음)의 轉訛(전와)인 것이다. 崔豹《古今注》雲︰昔有神巫曰瑤眊 能符劾百鬼,得鬼則以此木為棒,棒殺之。世人傳以此木爲眾鬼所畏,竟取爲器用 ,以厭卻邪鬼,故曰無患也。 崔豹(최표)의 古今注(고금주)에서는 “옛날, 瑤眊(요모)라는 神巫(신무)가 있었는데 能(능)히 百鬼(백괴)를 符劾(부핵)하였고, 鬼(귀)를 얻으면 이 나무를 棒(봉)으로 하여 棒(봉)으로 하여 棒殺(봉살)하였다. 世人(세인)은..
2022.03.01 -
용안(龍眼)[본초강목]
용안(龍眼)[본초강목] ^^^^^^^^^^^^^^^^^^^^^^^^^^^^^^^^^^^^^^^^^^^^^^^^^^^^^^^^^^^^^^^ 龍眼 (《本經》中品) 【校正】 自木部移入此。 宗奭曰︰龍眼專為果,未見入藥。本草編入木部,非矣。 龍眼(용안)은 오로지 果(과)로 해야 하는 것이다. 藥(약)에 넣은 적은 없다. 本草(본초)에서 木部(목부)에 編入(편입)한 것은 옳지 않다. 【釋名】 龍目(《吳普》)圓眼(俗名)益智(《本經》)亞荔枝(《開寶》)荔枝奴、驪珠、燕卵、蜜脾、鮫淚、川彈子《南方草木狀》 時珍曰︰龍眼、龍目,象形也。《吳普本草》謂之龍目,又曰比目。曹憲《博雅》謂之益智。 龍眼(용안), 龍目(용목)이라는 것은 象形(상형)한 것이다. 吳普本草(오보본초)에서는 이것을 龍目(용목)이라고 하고, 또는 比目(비목)이라고 한다. 朝憲..
2022.03.01 -
신이(辛夷)[본초강목]
신이(辛夷)[본초강목] ^^^^^^^^^^^^^^^^^^^^^^^^^^^^^^^^^^^^^^^^^^^^^^^^^^^^^^^^^^^^^^^^^^^^^^^^^^^ 辛夷 (《本經》上品) 【釋名】 辛雉(《本經》)、侯桃同 房木同 木筆《拾遺》迎春、 時珍曰︰夷者荑也。其苞初生如荑而味辛也。揚雄《甘泉賦》云︰列辛雉於林薄。服虔注云︰即辛夷。雉、夷聲相近也。今本草作辛矧,傳寫之誤矣。 夷(이)란 荑(이)라는 뜻인데, 그 苞(포)는 初生(초생)한 것이 荑(이)와 같고, 味(미)는 辛(신)한 것이다. 揚雄(양웅)의 甘泉賦(감천부)에는 “辛雉于林薄(신치우림박)” 이라 하였고, 服虔(복건)의 註(주)에는 즉 辛夷(신이)이다. 雉(치), 夷(이)는 聲(성)이 想近(상근)하다. 本草(본초)에서 辛矧(신신)이라고 表記(표기)한 것은 傳寫(전사)의..
2022.02.28 -
목란(木蘭)[본초강목]
목란(木蘭)[본초강목] ^^^^^^^^^^^^^^^^^^^^^^^^^^^^^^^^^^^^^^^^^^^^^^^^^^^^^^^^^^^^^^^^^^^^^ 木蘭 (《本經》上品) 【釋名】 杜蘭(《別錄》)林蘭(《本經》) 林蘭(《綱目》)黃心。 時珍曰︰其香如蘭,其花如蓮,故名。其木心黃,故曰黃心。 그 香(향)이 蘭(난)과 같고, 그 꽃이 蓮(연)과 같기 때문에 이렇게 命名(명명)한 것이다. 그 木(목)의 心(심)이 黃色(황색)이기 때문에 黃心(황심)이라고 한다. 【集解】 《別錄》曰︰木蘭生零陵山穀及太山。皮似桂而香。十二月采皮, 陰幹。 弘景曰︰零陵諸處皆有之。狀如楠樹,皮甚薄而味辛香。今益州者皮濃,狀如厚樸,而氣味為勝。今東人皆以山桂皮當之,亦相類。道家用合香亦好。 保升曰︰所在皆有。樹高數仞。葉似菌桂葉,有三道縱紋,其葉辛香不及桂也。皮如板桂,有..
2022.02.28 -
남천죽(南天竹)[본초강목습유]
남천죽(南天竹)[본초강목습유] 남천/남천죽자(南天竹子) 남천 이명:남천죽(중) 학명:Nandina domestica Thunb. 분류군:Berberidaceae(매자나무과) 일본명:南天(ナンテン/Nanten) 영명:Nandina heavenly bamboo 漢名:南天竹(남녁 남, 하늘 천, 대나무 죽) 잎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3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30-50cm이며 엽축에 마디가 있다.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로 톱니가 없고 엽병 기부가 흔히 흑자색으로 되며 줄기를 감싼다. 겨울철에는 홍색으로 변한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며 지름 8mm정도이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한다. 다음해 2월에 익는 것도 있다. 꽃 꽃은 양성화로서 6-7월에 피고 가지..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