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과루(栝蔞)[본초강목]
과루(栝蔞)[본초강목] ^^^^^^^^^^^^^^^^^^^^^^^^^^^^^^^^^^^^^^^^^^^^^^^^^^^^^^^^^^^^^^^^^^^^^^^^^^^ 栝蔞 (《本經》中品) 【校正】並入《圖經》天花粉。 【釋名】 果鸁、栝蔞(《綱目》)天瓜(《別錄》)黃瓜(《別錄》)地蔞(《本經》)澤姑(《別錄 》)根名百藥(《圖經》)天花粉(《圖經》)瑞雪 時珍曰︰鸁,與蓏同。 鸁(나)는 蓏(나)와 같다. 許慎雲︰木上曰果,地下曰蓏。此物蔓生附木,故得兼名。 許愼(허신)은 “木上(목상)의 것을 果(과)라 하고 地下(지하)의 것을 蓏(나)라고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蔓生(만생)으로 木(목)에 附著(부저)한다. 그래서 雙方(쌍방)으로 兼用(겸용)되는 名稱(명칭)이 생겨났다. 《詩》雲︰果鸁之實,亦施於宇,是矣。栝蔞,即果鸁 二字音轉也..
2022.03.12 -
발계(菝葜)[본초강목]
발계(菝葜)[본초강목] 청미래덩굴/발계(菝葜) 청미래덩굴 이명:[망개나무] [명감나무] [매발톱가시] [섬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좀명감나무] [청열매덤불] [팔청미래] [명감] [좀청미래] 학명: Smilax china L. 분류군: Liliaceae(백합과) 일어: サルトリイバラ 영명: Wild Smilax, China Root 잎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혁질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두껍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덩굴손이 된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
2022.03.12 -
토복령(土茯苓)[본초강목]
토복령(土茯苓)[본초강목] ^^^^^^^^^^^^^^^^^^^^^^^^^^^^^^^^^^^^^^^^^^^^^^^^^^^^^^^^^^^^^^^^^^^^^^^^^^^ 土茯苓 (《綱目》) 【校正】 並入《拾遺》草禹餘糧。 拾遺(습유)의 禹餘糧(우여량)을 倂入(병입)한다. 【釋名】 土萆薢(《綱目》)刺豬苓(《圖經》 山豬糞《綱目》草禹餘糧《拾遺》仙遺糧《綱目》冷飯團《綱目》硬飯《綱目》山地栗《綱目》。 時珍曰︰按︰陶弘景注石部禹餘糧雲︰南中平澤有一種藤,葉如菝 ,根作塊有節,似菝而色赤,味如薯蕷,亦名禹餘糧。言昔禹行山乏食,采此充糧而棄其餘,故有此名。 陶弘景(도홍경)은 石部(석부)의 禹餘糧(우여량)의 注(주)에 “南方(남방)의 平澤(평택)에 一種(일종)의 禹餘糧(우여량)이라는 것이 있다. 藤生(등생)으로 葉(엽)은 菝葜(발계)와 같고, 根(..
2022.03.12 -
여정자(女貞子)[본초]
여정자(女貞子)[본초] ^^^^^^^^^^^^^^^^^^^^^^^^^^^^^^^^^^^^^^^^^^^^^^^^^^^^^^^^^^^^^^^^^^^^ 女貞 (《本經》上品) 【釋名】 貞木(《山海經》)、冬青(《綱目》) 時珍曰︰此木淩冬青翠,有貞守之操,故以貞女狀之。 이 나무는 겨울에 견디고 青翠(청취)한 것으로서 貞操(정조)를 지킨다. 그래서 貞女(정녀)로 形容(형용)한 것이다. 《琴操》載魯有處女見女貞木而作歌者,即此也。晉‧蘇彥女貞頌序雲︰女貞之木,一名冬青。負霜蔥翠,振柯淩風。故清士欽其質,而貞女慕其名。是矣。 琴操(금조)의 記載(기재)에 “魯(노)에 處女(처녀)가 있었는데, 女貞木(여정목)을 보고 노래를 만들었다.” 고 한 것이 곧 이것이며, ‧蘇顔頌(소안송)의 序(서)에서 “女貞(여정)의 나무 一名(일명), 冬靑(동청)..
2022.03.10 -
말리화(茉莉花)[본초강목]
말리화(茉莉花)[본초강목] 말리화(茉莉花)/ 말리화(茉莉花) 아라비아 쟈스민 영명-Arabian jasmine 학명-Jasminum sambac (L.) Aiton 인도 원산의 상록관목이다. 말리화(茉莉花) Jasminum sambac Soland. ex Ait. 이명(異名) Nyctanthes sambac L. Jasminum bicorollatum Noronha Jasminum blancoi Hassk. Jasminum fragrans Salisb. Jasminum heyneanum Wall. ex G.Don Jasminum odoratum Noronha Jasminum quadrifolium Buch.-Ham. ex Wall. Jasminum quinqueflorum var. pubescens G...
2022.03.10 -
소형(素馨)[본초강목]
소형(素馨)[본초강목] 그랜디플로룸 자스민 Jasminum grandiflorum 素馨花 Jasminum grandiflorum Linn. 이명(異名) Jasminum officinale f. grandiflorum (L.) Kobuski Jasminum officinale var. grandiflorum (L.) Stokes Jasminum officinale subsp. grandiflorum (L.) E.Laguna Jasminum grandiflorum L. Sp. Pl., ed. 2. 1: 9. 1762 [Sep 1762] Links: basionym of:Oleaceae Jasminum officinale L. subsp. grandiflorum (L.) E.Laguna Toll Negre 8..
202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