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20. 05:2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첨과(甜瓜)[본초강목]
^^^^^^^^^^^^^^^^^^^^^^^^^^^^^^^^^^^^^^^^^^^^^^^^^^^^^^^^^^^^^^^^^^
甜瓜
(宋《嘉祐 》)
【校正】
自菜部移入此。並入《本經》瓜蒂。
【釋名】
甘瓜(《唐本》)、果瓜。
時珍曰︰瓜字篆文,象瓜在鬚蔓間之形。甜瓜之味甜於諸瓜,故獨得甘、甜之稱。舊列菜部,誤矣。
瓜字(과자)의 篆文(전문)은 瓜(과)가 鬚蔓(수만) 사이에 있는 形(형)을 形容(형용)한 것이다. 甜瓜(첨과)의 맛은 諸瓜(제과)보다도 甜(첨)하기 때문에 唯獨(유독) 甘(감), 甜(첨)의 稱呼(칭호)를 獲得(획득)한 것이다. 舊本(구본)에서 菜部(채부)에다 配列(배열)한 것은 잘못이다.
按︰王禎雲︰瓜類不同,其用有二︰供果者為果瓜,甜瓜、西瓜是也;供菜者為菜瓜,胡瓜、越瓜是也。在木曰果,在地曰 。大曰瓜,小曰瓞。其子曰㼓,其肉曰瓤。其跗曰環,謂脫花處也;其蒂曰㚄,謂系蔓處也。
王禎(왕정)은 “ 瓜(과)는 類(유)가 같지 않는데, 그 用處(용처)에는 두 가지가 있다. 果(과)에서 供(공)하는 것은 果瓜(과과)이고, 甜瓜(첨과), 西瓜(서과)가 이에 屬(속)한다. 菜(채)에 供(공)하는 것은 菜瓜(채과)로서 胡瓜(호과), 越瓜(월과)가 이에 屬(속)한다.” 라고 하였다. 나무에 있는 것을 果(과)라 하고 땅에 있는 것을 蓏(나)라 하며, 큰 것을 瓜(과)라 하고 작은 것을 瓞(질)이라고 한다. 그 子(자)를 㼓(렴)이라 하고, 그 肉(육)을 瓤(양)이라 하며, 그 跗(부)를 環(환)이라 하는데 그 꽃이 떨어진 부분을 말한다. 그 蔕(체)를 㚄(체)라고 한다. 이것을 蔓(만)에 이어지는 部分(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禮記》為天子削瓜及瓜祭,皆指果瓜也。本草瓜蒂
禮記(예기)에는 天子(천자)를 위해서 削瓜(삭과)한다 하였고, 또한 瓜祭(과제)라고도 하였는데 모두 果瓜(과과)를 指稱(지칭)한 것이다. 本草(본초)의 瓜蔕(과체)도 이 瓜(과)의 蒂(체)인 것이다.
【集解】
《別錄》曰︰瓜蒂生嵩高平澤,七月七日采,陰乾。
頌曰︰瓜蒂即甜瓜蒂也,處處有之。園圃所蒔,有青、白二種,子色皆黃。入藥當用早青瓜蒂為良。
時珍曰︰甜瓜,北土、中州種蒔甚多。二、三月下種,延蔓而生,葉大數寸,五、六月花開黃色,六、七月瓜熟。其類甚繁︰有團有長,有尖有扁;大或徑尺,小或一撚;其棱或有或無;其色或青或綠,或黃斑、糝斑,或白路、黃路;其瓤或白或紅,其子或黃或赤,或白或黑。按︰王禎《農書》雲︰瓜品甚多,不可枚舉。以狀得名,則有龍肝、虎掌、兔頭、狸首、羊髓、蜜筒之稱;以色得名,則有烏瓜、白團、黃 、白 、小青、大斑之別。然其味,不出乎甘香而已。《廣志》惟以遼東、敦煌、廬江之瓜為勝。然瓜州之大瓜,陽城之禦瓜,西蜀之溫瓜,永嘉之寒瓜,未可以優劣論也。甘肅甜瓜,皮、瓤皆甘勝糖蜜,其皮曝乾猶美。浙中一種陰瓜,種於陰處,熟則色黃如金,膚皮稍濃,藏之至春,食之如新。此皆種之功,不必拘於土地也。甜瓜子曝裂取仁,可充果食。凡瓜最畏麝氣,觸之甚至一蒂不收。
瓜瓤
【氣味】
甘,寒,滑,有小毒。
大明曰︰無毒。
思邈曰︰多食,發黃疸,令人虛羸多忘,解藥力。病後食多,或反胃。腳氣人食之,患永不除也。
多食(다식)하면 黃疸(황달)이 發生(발생)하고, 虛嬴(허영)하여 健忘症(건망증)을 일으키며, 藥力(약력)을 解除(해제)한다. 病後(병후)에 多食(다식)하면 혹은 反胃(반위)한다. 腳氣病(각기병)이 있는 사람이 이것을 먹으면 그 病(병)을 오랫동안 除去(제거)할 수 없게 되고 만다.
詵曰︰多食,令人陰下濕癢生瘡,動宿冷症癖病,破腹,發虛熱,令人 氣弱,腳手無力。少食則可。
多食(다식)하면 陰下濕癢(음하습양)으로 瘡(창)이 發生(발생)하며, 宿冷(숙랭), 癥癖(징벽)의 病(병)을 動(동)하고, 破腹(파복)하며, 虛熱(허열)을 일으킴으로써 사람으로 하여금 마음이 산란해 져서 氣弱(기약)하게 하고, 腳(각), 手(수)를 無力(무력)하게 한다. 少食(소식)하면 좋다.
《龍魚河圖》雲︰凡瓜有兩鼻、兩蒂者,殺人。五月瓜沉水者,食之得冷病,終身不瘥。九月被霜者,食之冬病寒熱。與油餅同食,發病。多食瓜作脹者,食鹽花即化。
龍魚河圖(용어하도)에는 “대개 瓜(과)에 있는 兩鼻(양비), 兩蔕(양체)인 것이 사람을 죽인다. 五月(오월)에 瓜(과)가 물에 沈(침)하는 것을 먹으면 冷病(냉병)을 앓게 된다. 油餠(유병)과 함께 먹으면 發病(발병)한다.”라고 하였다. 瓜(과)를 多食(다식)하고 脹(창)이 된 경우에는 鹽花(염화)를 먹으면 消化(소화)되어 버린다.
弘景曰︰食瓜多,即入水自漬,便消。
瓜(과)를 多食(다식)한 경우에는 물에 들어가 自漬(자지)하면 解病(해병)된다.
時珍曰︰張華《博物志》言︰人以冷水漬至膝,可頓啖瓜至數十枚;漬至項,其啖轉多,水皆作瓜氣也。則水浸消瓜,亦物性也。瓜最忌麝與酒,凡食瓜過多,但飲酒及水服麝香,尤勝於食鹽、漬水也。
張華(장화)의 博物志(박물지)에는 “사람은 冷水(냉수)에 들어가 무릎까지 담그고 있으면 數十個(수십개)까지 瓜(과)를 먹을 수 있다. 項(항)까지 담그면 더욱 많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이 모두 瓜(과)의 氣(기)처럼 느껴진다.”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浸水(침수)하여 消瓜(소과)한다는 것은 역시 物(물)의 性(성)이 그렇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瓜(과)는 麝(사)와 酒(주)를 가장 忌(기)하기 때문에 瓜(과)를 過多(과다)하게 먹은 경우에는 다만 술과 물을 마시고, 麝香(사향)을 服用(복용)한다. 이것이 食鹽水(식염수)에 漬(지)하는 것보다도 좋은 것이다.
【主治】
止渴,除煩熱,利小便,通三焦間壅塞氣,治口鼻瘡(《嘉祐》)。
止渴(지갈)하고, 煩熱(번열)을 除(제)하고, 小便(소변)을 利(이)하며, 三焦(삼초)사이의 壅塞(옹색)한 氣(기)를 疏通(소통)시키며, 口鼻瘡(구비창)을 治(치)한다.
暑月食之,永不中(《宗奭》)。
暑期(서기)에 이것을 먹으면, 오래도록 더위를 먹지 않는다.
【發明】
宗奭曰︰甜瓜雖解暑氣,而性冷,消損陽氣,多食未有不下利者。貧下多食,深秋作痢,最為難治。惟以皮蜜浸收之良,皮亦可作羹食。
甜瓜(첨과)는 暑期(서기)를 解消(해소)하지만, 性(성)이 冷(냉)하기 때문에 陽氣(양기)를 消損(소손)한다. 多食(다식)하고 下痢(하리)하지 않는 者(자)는 없다. 夏期(하기)에는 多食(다식)하면 深秋(심추)에 下痢(하리)를 일으키게 되는데, 가장 難治(난치)하다. 오직 皮(피)를 蜜浸(밀침)하여 收貯(수저)하는 것이 좋다. 皮(피)는 또한 羹(갱)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弘景曰︰凡瓜皆冷利,早青者尤甚。熟瓜除瓤食之,不害人。
무릇 瓜(과)는 모두 冷痢(냉리)한 것인데 早靑(조청)한 것은 더욱 甚(심)하다. 熟果(숙과)를 除瓤(제양)하고 먹으면 害(해)가 없다.
時珍曰︰瓜性最寒,曝而食之尤冷。故《稽聖賦》雲︰瓜寒於曝,油冷於煎,此物性之異也。
瓜(과)는 性(성)이 가장 寒(한)한 것인데 曝乾(폭건)해서 먹으면 더욱 冷(냉)한 것이다. 그래서 稽聖(계성)의 賦(부)에는 “瓜(과)는 曝乾(폭건)하면 寒(한)하고, 油(유)는 煎(전)하면 冷(냉)하다.”고 하였다. 이것은 物性(물성)의 特異(특이)한 點(점)이다.
王冀《洛都賦》雲︰瓜則消暑蕩悁,解渴療飢。又《奇效良方》雲︰昔有男子病膿血惡痢,痛不可忍。以水浸甜瓜食數枚,即愈。此亦消暑之驗也。
王冀(왕기)의 洛都賦(낙도부)에 “ 瓜(과)는 곧 暑(서)를 解消(해소)하고, 悁(연)을 蕩(탕)하며, 解渴療飢(해갈요기)한다.”라고 하였으며, 또한 奇效良方(기효양방)에는 “옛날 한 男子(남자)가 膿血惡痢(농혈악리)를 앓았는데, 견딜 수 없이 아팠을 때 물에다 甜瓜(첨과)를 담가 數個(수개)를 먹었던바 治癒(치유)되었다.” 고 하였다. 이것도 消暑(소서)하는 效驗(효험)인 것이다.
瓜子仁
【修治】
雷斅曰︰凡收得曝乾杵細,馬尾篩篩過成粉,以紙三重裹壓去油用。不去油,其力短也。西瓜子仁同。
대개 收得(수득)하면 暴乾(폭건)해서 細末(세말)하고 馬尾篩(마미사)로 쳐서 粉(분)으로 만들어 종이에다 세겹으로 싼 다음 油(유)를 壓去(압거)한 후 사용한다. 去油(거유)하지 않으면 그 힘이 弱(약)하다. 西瓜子仁(서과자인)도 같다.
【氣味】
甘,寒,無毒。
【主治】
腹內結聚,破潰膿血,最為腸胃脾內壅要藥(《別錄》)。
腹內(복내)의 結聚(결취), 膿血(농혈)을 破潰(파궤)한다. 腸(장), 胃(위), 脾(비)의 內壅(내옹)에 대한 要藥(요약)으로서 가장 좋은 것이다.
止月經太過,研末去油,水調服(藏器。《炮炙論序》曰︰血泛經過,飲調瓜子)。
月經太過(월경태과)를 멎게 한다. 硏末(연말)하고 去油(거유)한 다음 물로 調和(조화)해서 服用(복용)한다. 炮炙論(포자론)의 序文(서문)에 있기를 血泛(혈범)하고 過經(과경)인 경우에는 瓜子(과자)를 飮(음)으로 調服(조복)한다.
炒食,補中宜人(孟詵)。
炒食(초식)하면 補中(보중)하고 사람에게 좋다.
清肺潤腸,和中止渴(時珍)。
淸肺潤腸(청폐윤장)하고 和中止渴(화중지갈)한다.
【附方】
舊一,新二。
口臭︰用甜瓜子杵末,蜜和為丸。每旦漱口後含一丸。亦可貼齒。(《千金》)
腰腿疼痛︰甜瓜子三兩,酒浸十日,為末。每服三錢,空心酒下,日三。(《壽域神方》)
腸癰已成︰小腹腫痛,小便似淋,或大便難澀下膿。用甜瓜子一合,當歸(炒)一兩,蛇蛻皮一條, 咀。每服四錢,水一盞半,煎一盞,食前服,利下惡物為
瓜蒂
(《本經》上品)
【釋名】
瓜丁(《千金》)、苦丁香(象形)。
【修治】
雷斅曰︰凡使勿用白瓜蒂,要取青綠色瓜,氣足時,其蒂自然落在蔓上。采得,系屋東有風處,吹乾用。
대개 이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白瓜蔕(백과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靑綠色(청록색)인 것은 瓜(과)의 氣(기)가 충분해지면 그 蔕(체)가 절로 떨어져 蔓上(만상)에 있는 것을 取(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 採取(채취)하면 지붕 東側(동측)에 바람이 부는 곳에 걸어 暴乾(폭건)한 다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宗奭曰︰此甜瓜蒂也。去瓜皮用蒂,約半寸許,曝極乾,臨時研用。
이것은 甜瓜蒂(첨과체)로서 果皮(과피)를 除去(제거)하고 蔕(체)를 사용한다. 約半寸(약반촌) 정도를 曝乾(폭건)하고 硏末(연말)하여 사용한다.
時珍曰︰按唐瑤雲︰甜瓜蒂以團而短瓜、團瓜者良。若香甜瓜及長如瓠子者,皆供菜之瓜,其蒂不可用也。
생각하건대 唐瑤(당보)는 “甜瓜蒂(첨과체)는 둥근 것의 短瓜(단과), 團瓜(단과)인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香甜瓜(향첨과)가 成長(성장)하여 瓠子(호자)처럼 되는 것이라면 그것으 모두 菜(채)로 사용할 수 있는 瓜(과)로서 그 蔕(체)는 사용할 수 없다.” 고 하였다.
【氣味】
苦,寒,有毒。
大明曰︰無毒。
【主治】
大水,身面四肢浮腫,下水殺蠱毒,咳逆上氣,及食諸果,病在胸腹中,皆吐下之(《本經》)。
大水(대수)로서 身面(신면), 四肢(사지)의 浮腫(부종)일 때 水(수)를 下(하)한다. 蠱毒(고독)을 殺(살)한다. 咳逆上氣(해역상기) 및 諸果(제과)를 먹고 病(병)이 胸腹內(흉복내)에 있는 경우, 모두 吐(토), 下(하)한다.
去鼻中瘜肉,療黃疸(《別錄》)。
鼻中(비중)의 瘜肉(식육)을 除去(제거)하고 黃疸(황달)을 療(요)한다.
治腦塞熱癰,眼昏吐痰(《大明》)。
腦塞(뇌색), 熱癰(열옹), 眼昏(안혼)을 治(치)하고, 吐痰(토담)한다.
吐風熱痰涎,治風眩頭痛,癲癇喉痺,頭目有濕氣(時珍)。
風熱痰涎(풍열담연)을 吐(토)하고, 風眩(풍현), 頭痛(두통), 癲癎(전간), 喉痺(후비), 頭目(두목)에 濕氣(습기)가 있는 것을 治(치)한다.
得麝香、細辛,治鼻不聞香臭(好古)。
麝香(사향), 細辛(세신)을 配合(배합)하면 코로 香臭(향취)를 맡을 수 없는 것을 治(치)한다.
【發明】
張機曰︰病如桂枝証,頭不痛,項不強,寸脈微浮,胸中痞硬,氣上沖咽喉,不得息者,此為胸中有寒也,當吐之;太陽中暍,身熱疼重而脈微弱,此夏月傷冷水,水行皮中也,宜吐之;
病(병)이 桂枝証(계지증)과 같은데 頭痛(두통)이 없고, 項(항)은 弱(약)하고, 寸脈(촌맥)이 微浮(미부)하며, 胸中(흉중)이 痞硬(비경)하고, 氣(기)가 咽喉(인후)에 上衝(상충)하여 息不能(식불능)인 경우에는 胸中(흉중)에 寒(한)이 있기 때문인데 吐(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太陽(태양)의 中暍(중갈)로 身熱(신열)이 나고, 疼痛(동통)이 있으며, 脈(맥)이 微弱(미약)한 것은 夏期(하기)dpl 冷水(냉수)로 損傷(손상)되어서 물이 皮中(피중)에 循行(순행)하는 것이니 吐(토)하는 것이 좋다.
少陽病,頭痛發寒熱,脈緊不大,是膈上有痰也,宜吐之;病胸上諸實,鬱鬱而痛,不能食,欲人按之,而反有濁唾,下利日十餘行,寸口脈微弦者,當吐之;
少陽病(소양병)으로서 頭痛(두통)이 있고, 寒熱(한열)을 發(발)하며, 脈(맥)이 굳어져서 順調(순조)롭지 못한 것은 膈上(격상)에 痰(담)이 있는 것인데 吐(토)하는 것이 좋다. 病(병)이 凶狀(흉상)의 諸實(제실)로서 鬱結(울결)하고 아프며, 食事不能(식사불능)인데다 남이 按摩(안마)해 주는 것을 慾求(욕구)하고, 도리어 濁唾(탁타)가 있는데다 一日(일일) 十餘回(십여회) 下痢(하리)하고, 寸口脈(촌구맥)이 微弱(미약)한 경우에는 吐(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懊煩躁不得眠,未經汗下者,謂之實煩,當吐之;宿食在上管者,當吐之,並宜以瓜蒂散主之。
惟諸亡血虛家,不可與瓜蒂散也。
懊憹煩燥(오뇌번조)하고 宿食(숙식)이 上腕(상완)에 있는 것은 吐(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모두 瓜蔕散(과체산)으로써 主(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단지 諸亡血(제망혈)이 虛(허)한 者(자)에게는 瓜蔕散(과체산)을 投與(투여)해서는 안 된다.
成無己曰︰高者越之,在上者湧之。故越以瓜蒂、香豉之苦,湧以赤小豆之酸,酸苦湧泄為陰也。
높은 것은 이를 越(월)하고, 위에 있는 것은 이것을 湧(용)한다. 따라서 越(월)하는데는 瓜遞(과체), 香豉(향시)의 苦(고)로 하고, 湧(용)하는 데는 赤小豆(적소두)의 酸(산)으로 한다. 酸苦(산고), 湧泄(용설)은 陰(음)이다.
杲曰︰《難經》雲︰上部有脈,下部無脈,其人當吐不吐者,死。此飲食內傷,填塞胸中,食傷太陰,風木生發之氣伏於下,宜瓜蒂散吐之,
難經(난경)에 “上部(상부)에 脈(맥)이 있고, 下部(하부)에 脈(맥)이 없는 경우에는 마땅히 吐(토)해야만 한다. 吐(토)하지 않으면 죽는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飮食(음식)의 內傷(내상)으로서 胸中(흉중)이 塡塞(진색)하고, 食(식)이 太陰(태음)을 損傷(손상)하여 風木生發(풍목생발)의 氣(기)가 下伏(하복)하는 것이다. 이것은 瓜蔕散(과체산)으로 吐(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素問》所謂木鬱則達之也。吐去上焦有形之物,則木得舒暢,天地交而萬物通矣。若尺脈絕者,不宜用此,恐損真元,令人胃氣不複也。
素問(소문)에 所謂(소위) “木(목)이 鬱(울)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達(달)한다.”라고 하였는데, 上焦(상초)의 有形(유형)인 物(물)을 吐去(토거)하면 木(목)이 舒暢(서창)할 수 있게 되고, 天地(천지)가 相交(상교)하여 萬物(만물)은 通(통)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尺脈(척맥)이 絶(절)한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미상불 眞元(진원)을 損傷(손상)시키고, 사람의 胃氣(위기)를 回復(회복)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宗奭曰︰此物吐涎,甚不損人,全勝石綠、硇砂輩也。
이것은 吐涎(토연)하므로 사람을 損傷(손상)하지 않는다. 石綠(석록), 硇砂(요사)등에 앞서는 격이다.
震亨曰︰瓜蒂性急,能損胃氣,胃弱者宜以他藥代之。病後、產後,尤宜深戒。
瓜遞(과체)의 性(성)이 急(급)하여 곧잘 胃氣(위기)를 損傷(손상)한다. 胃弱者(위약자)는 他藥(타약)으로 이를 代身(대신)하는 것이 좋다. 病後(병후), 産後(산후)에는 特(특)히 驚悸(경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時珍曰︰瓜蒂乃陽明經除濕熱之藥,故能引去胸脘痰涎,頭目濕氣,皮膚水氣,黃疸濕熱諸証,凡胃弱人及病後、產後用吐藥,皆宜加慎,何獨瓜蒂為然。
瓜遞(과체)는 陽明經(양명경)에서 濕熱(습열)을 除去(제거)하는 藥(약)이다. 따라서 곧잘 胸脘(흉완)의 痰涎(담연), 頭目(두목)의 濕氣(습기), 皮膚(피부)의 水氣(수기), 黃疸(황달), 濕熱(습열)의 諸證(제증)을 引去(인거)한다. 대개 胃弱者(위약자), 病後(병후), 産後(산후)에 吐藥(토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두 愼重(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찌 唯獨(유독) 瓜遞(과체)만이겠는가.
【附方】
舊七,新十五。
瓜蒂散︰治証見上。其方用瓜蒂二錢半(熬黃),赤小豆二錢半,為末。每用一錢,以香豉一合,熱湯七合,煮糜去滓,和服。稍稍加之,快吐乃止。(仲景《傷寒論》)
太陽中 ︰身熱頭痛而脈微弱,此夏月傷冷水,水行皮中所致。瓜蒂二七個,水一升,煮五合,頓服取吐。(《金匱要略》)
風涎暴作,氣塞倒仆︰用瓜蒂為末。每用一、二錢,膩粉一錢匕,以水半合調灌,良久涎自出。不出,含沙糖一塊,下咽即涎出也。(寇氏《衍義》)
諸風諸癇︰諸風膈痰,諸癇涎湧。用瓜蒂炒黃為末,量人以酸齏水一盞,調下取吐。風癇,加蠍梢半錢。濕氣腫滿,加赤小豆末一錢;有蟲,加狗油五、七點,雄黃一錢,甚則加芫花半錢,立吐蟲出。(東垣《活法機要》)
風癇喉風︰咳嗽,及遍身風疹,急中涎潮等症,不拘大人、小兒。此藥不大吐逆,只出涎水。瓜蒂為末,壯年服一字,老少半字,早晨井華水下。一食頃,含沙糖一塊。良久涎如水出,年深者出墨涎,有塊布水上也。涎盡食粥一、兩日。如吐多,人困甚,即以麝香泡湯一盞飲之,即止。(《經驗後方》)
急黃喘息,心上堅硬,欲得水吃者︰瓜蒂二小合,赤小豆一合,研末。暖漿水五合,服方寸匕。一炊久當吐,不吐再服。吹鼻取水亦可。(《傷遍身如金︰瓜蒂四十九枚,丁香四十九枚,甘鍋內燒存性,為末。每用一字,吹鼻取出黃水。亦可揩牙追涎。(《經驗方》)
熱病發黃︰瓜蒂為末,以大豆許吹鼻中。輕則半日,重則一日,流取黃水乃愈。(《千金翼》)
黃疸 黃︰並取瓜蒂、丁香、赤小豆各七枚,為末。吹豆許入鼻,少時黃水流出。隔日一用,瘥乃止。(孟詵《食療》)
身面浮腫︰方同上。十種蠱氣︰苦丁香為末,棗肉和,丸梧桐子大。每服三十丸,棗湯下,甚效。(《瑞竹堂方》)
濕家頭痛︰瓜蒂末一字, 入鼻中,口含冷水,取出黃水愈。(《活人書》)
瘧疾寒熱︰瓜蒂二枚,水半盞,浸一宿,頓服,取吐愈。(《千金》)
發狂欲走︰瓜蒂末,井水服一錢,取吐即愈。(《聖惠方》)
大便不通︰瓜蒂七枚,研末,綿裹,塞入下部即通。(《必效方》)
鼻中息肉︰《聖惠》︰用陳瓜蒂末,吹之,日三次,瘥乃已。又方︰瓜蒂末、白礬末各半錢,綿裹塞之,或以豬脂和挺子塞之。日一換。又方︰青甜瓜蒂二枚,雄黃、麝香半分,為末。先抓破,後貼之,日三次。《湯液》︰用瓜蒂十四個,丁香一個,黍米四十九粒,研末。
口風熱牙痛︰瓜蒂七枚(炒研),麝香少許和之,綿裹咬定,流涎。(《聖濟總錄》)
雞屎白禿︰甜瓜蔓連蒂不拘多少,以水浸一夜,砂鍋熬取苦汁,去滓再熬如餳盛收。每剃去痂 ,洗淨,以膏一盞,加半夏末二錢,薑汁一匙,狗膽汁一枚,和勻塗之,不過三上。
忌食動風之物。(《儒門事親》)
喘痰氣︰苦丁香三個,為末。水調服,吐痰即止。(《朱氏集驗方》)
蔓(陰乾)
【主治】
女人月經斷絕,同使君子各半兩,
婦人(부인)의 月經斷絶(월경단절), 使君子(사군자)와 함께 各(각) 半兩(반량), 甘草(감초) 六錢(육전)을 作末(작말)하여 술로 二錢(이전)씩을 服用(복용)한다.
花
【主治】
心痛咳逆(《別錄》)。
心痛咳逆(심통해역)
葉
【主治】
人無發,搗汁塗之即生(《嘉祐》)。
髮(발)이 없는 경우 搗汁(도즙)을 塗布(도포)하면 出毛(출모)한다.
補中,治小兒疳,及打傷損折,為末酒服,去瘀血(孟詵)。
補中(보중)하고 小兒(소아)의 疳(감) 및 打傷損折(타상손절)을 治(치)한다. 作末(작말)하여 술로 服用(복용)하면 瘀血(어혈)을 除去(제거)한다.
【附方】
新一。
面上 子︰七月七日午時,取生瓜葉七枚,直入北堂中,向南立,逐枚拭靨,即滅去也。(淮南萬畢術)。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 2022.03.20 |
---|---|
고과(苦瓜)[본초강목] 여주 (0) | 2022.03.20 |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0) | 2022.03.20 |
동과(冬瓜)[본초강목] (0) | 2022.03.20 |
사과(絲瓜)[본초강목]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