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20. 04:5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호박/남과(南瓜)
호박
이명 : [당호박]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분류군 : Cucurbitaceae(박과)
일명 : カボチャ(Kabocha)
영명 : Pumpkin, Canada Pumpkin, Crookneck Squash, Winter
漢名 : 南瓜(남과)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크고 많은 변종이 있으며 모양과 빛깔도 변종에 따라 다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편평하고 맛이 좋다. 열매는 익으면 바깥면이 짙은 황갈색을 띤다.
꽃
꽃은 1가화로서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수꽃은 화경(花梗)이 길며 꽃받침통이 얕고 열편의 기부가 화관에 붙어 있으며 암꽃은 화경(花梗)이 짧고 밑부분에 긴 자방이 있으며 꽃받침열편이 다소 잎같이 된다.
줄기
덩굴은 단면이 오각형이고 흰색의 긴 연모(軟毛)가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자라지만 개량된 것은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원산지
열대 아프리카 원산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덩굴성 1년초
꽃/번식방법
완숙된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과실은 南瓜(남과), 뿌리는 南瓜根(남과근), 줄기는 南瓜藤(남과등), 덩굴손은 南瓜鬚(남과수), 잎은 南瓜葉(남과엽), 꽃은 南瓜花(남과화), 과실의 꼭지는 남과체, 호박속은 남과양, 종자는 南瓜子(남과자), 과실내에서 발아된 幼芽(유아)는 盤腸草(반장초)라 하며 약용한다.
⑴南瓜(남과) - 補中(보중), 益氣(익기), 消腫(소종), 止痛(지통),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심장을 좋게 하고 斂肺(염폐)한다. 잘 쪄 가지고 乾性肋膜炎(건성늑막염),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의 환부에 붙이면 消炎鎭痛(소염진통)이 된다.
⑵南瓜根(남과근) - 利濕熱(이습열), 通乳汁(통유즙)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황달, 이질, 乳汁不通(유즙불통)을 치료한다.
⑶南瓜藤(남과등) - 淸肺(청폐), 和胃(화위), 通絡(통락)의 효능이 있다. 폐결핵에 의한 微熱(미열), 위통, 월경불순, 화상을 치료한다.
⑷南瓜鬚(남과수) - 婦人(부인)의 乳縮(유축-부인의 乳頭(유두)가 유방내로 들어가는 증상), 극심한 疼痛(동통)에 남과수 한줌에 소금을 조금 넣고 짓찧어서 더운물에 넣었다가 복용한다.
⑸南瓜葉(남과엽) - 엽록소가 많이 함유된 천연의 식용색소이다. 이질, 疳積(감적), 創傷(창상)을 치료한다.
⑹南瓜花(남과화) - 淸濕熱(청습열), 消腫毒(소종독)의 효능이 있다. 황달, 이질, 咳嗽(해수), 癰疽腫毒(옹저종독)을 치료한다.
⑺남과체 - 排痰(배담)하고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癰瘍(옹양), 정창, 화상을 치료한다.
⑻南瓜 (남과양) - 화상, 創傷(창상)을 치료한다.
⑼南瓜子(남과자) - 穡蟲症(조충증), 蛔蟲症(회충증), 産後手足浮腫(산후수족부종), 당뇨병, 백일해, 痔瘡(치창) 등을 치료한다.
⑽盤腸草(반장초) - 소아의 盤腸氣痛(반장기통-蟲垂炎(충수염)에 의한 氣痛(기통)), 驚風(경풍), 感冒(감모), 風濕熱(풍습열)을 치료한다.
유사종
▶박: 전체가 청록색, 짧은 털이 있고, 덩굴손은 잎과 대생한다.
특징
과실은 한명으로 남과(南瓜), 북과(北瓜), 금동과(金冬瓜), 번포(番蒲)라 한다.
학명 Cucurbita moschata Duchesne
Encycl. (Lamarck) 2 : 152 (Lam., 1786)
1. Cucurbita moschata var. toonas Makino
Bot. Mag. (Tokyo) 36 : 183 (1912)
국명 호박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당호박
영문명 : Pumpkin, Canada Pumpkin, Crookneck Squash, Winter
일본명 : カボチャ
북한명 : 호박
Cucurbita moschata Duchesne
Essai Hist. Nat. Courges 7. 1786
7 1786
Remarks: The data from: H. S. Paris, Taxon 49(2): 304. 2000
---(GCI)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ex Poir.
Dict. Sci. Nat., ed. 2. [F. Cuvier] 11: 234. 1819 [1818 publ. 9 Jan 1819]
11: 234 1819
Original Data:
Notes: As.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남과(南瓜)
Cucurbita moschata Duchesne
이명(異名)
Cucurbita pepo var. moschata Duchesne ex Lam.
Pepo moschata (Duchesne ex Lam.) Britt.
Cucurbita colombiana (Zhit.) Bukasov
Cucurbita hippopera Ser.
Cucurbita macrocarpa Gasp.
Cucurbita meloniformis Carrière
Cucurbita moschata f. yokohamana Makino
Cucurbita moschata var. colombiana Zhit.
Cucurbita moschata var. meloniformis (Carrière) Millán
Gymnopetalum calyculatum Miq.
Pepo macrocarpus Rich. ex Spach
Pepo moschatus Sageret
Pepo eximius Sageret
一年生蔓生草本;莖常節部生根,被短剛毛。卷須分3-4叉;葉稍柔軟,寬卵形或卵圓形,5淺裂或有5角,兩面密被茸毛,沿邊緣及葉面上常有白斑,邊緣有細齒。花雌雄同株,單生;雄花花托短,花萼裂片條形,上部擴大成葉狀,花冠鍾狀,5中裂,裂片外展,具皺紋,雄蕊3,花藥靠合,藥室規則S形折曲;雌花花萼裂片顯著葉狀,子房1室,花柱短,柱頭3,膨大,2裂。果柄有棱和槽,瓜蒂擴大成喇叭狀;瓠果常有數條縱溝,形狀多樣因品種而不同;種子灰白色,邊緣薄。 世界各國普遍栽培;我國各地廣泛種植。果實作蔬菜;種子藥用,亦含油可食。
^^^^^^^^^^^^^^^^^^^^^^^^^^^^^^^^^^^^^^^^^^^^^^^^^^^^^^^^^^^^^^^^^^^^^^^^^^^
南瓜
(《綱目》)
【集解】
時珍曰︰南瓜種出南番,轉入閩、浙,今燕京諸處亦有之矣。三月下種,宜沙沃地。四月生苗,引蔓甚繁,一蔓可延十餘丈,節節有根,近地即著。其莖中空。其葉狀如蜀葵而大如荷葉。八、九月開黃花,如西瓜花。結瓜正圓,大如西瓜,皮上有棱如甜瓜。一本可結數十顆,其色或綠或黃或紅。經霜收置暖處,可留至春。其子如冬瓜子。其肉濃色黃,不可生食,惟去皮瓤瀹食,味如山藥。同豬肉煮食更良,亦可蜜煎。按︰王禎《農書》雲︰浙中一種陰瓜,宜陰地種之。秋熟色黃如金,皮膚稍濃,可藏至春,食之如新。疑此即南瓜也。
【氣味】
甘,溫,無毒。
時珍曰︰多食發腳氣、黃疸。不可同羊肉食,令人氣壅。
多食(다식)하면 腳氣(각기), 黃疸(황달)을 發(발)하고, 羊肉(양육)과 同食(동식)하면 안 된다. 사람으로 하여금 氣壅(기옹)하게 한다.
【主治】
補中益氣(時珍)。
補中益氣(보중익기)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과(苦瓜)[본초강목] 여주 (0) | 2022.03.20 |
---|---|
첨과(甜瓜)[본초강목] (0) | 2022.03.20 |
동과(冬瓜)[본초강목] (0) | 2022.03.20 |
사과(絲瓜)[본초강목] (0) | 2022.03.20 |
서과(西瓜)[본초강목]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