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433)
-
해송자(海松子)[동의보감]
해송자(海松子)[동의보감] 잣나무/해송자(海松子) 잣나무 이명:[홍송] 학명: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분류군:Pinaceae(소나무과)일어:チョウセンマツ영명:Korean Pine, Corean Pine 잎 잎은 5개씩 속생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7~12cm로 양면에 백색 기공조선이 5~6줄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횡단면의 수지구는 3개로서 내위(內位)이다. 열매 구과는 긴 난형 또는 원통상 난형으로서 길이 12~15cm, 지름 6~8cm이고 실편 끝이 길게 자라서 뒤로 젖혀진다. 종자는 일그러진 삼각형, 긴 난형 또는 난형으로서 날개가 없으며 양면에 얇은 막이 있고 길이 12-18mm, 지름 12mm로서 식용으로 한다. 다음해 9월..
2025.04.24 -
사슴[동의보감]
사슴[동의보감] 사슴/녹각(鹿角) 사슴 학명 Cervus nippon (Temminck, 1838) 생물학적 분류 우제목 > 사슴과분포지 동북아시아 일대. 유럽은 20세기 초에 아시아지역에서 유입 야생화. 북한, 남한지역은 1940년대 절멸.서식장소 산지 산림지대 특징형태 : 사슴류 가운데 중형으로, 크기는 서식지역에 따라 변이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북부지역의 개체가 남부지역에 비해 30% 정도 몸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수의 성적 차이에 따라서도 현저하게 차이가 있으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대형이다. 여름털은 갈색에 소형의 흰 반점무늬가 있고, 겨울에는 흰 반점무늬가 사라져 회갈색이 된다. 크기 : 몸길이 90∼190cm(수컷), 90∼150cm(암컷), 어깨높이(체고) 70..
2025.04.24 -
사매(동의보감)
사매(동의보감) 뱀딸기 이명:배암딸기, 큰배암딸기, 홍실뱀딸기학명:Duchesnea indica (Andr.) Focke분류군:Rosaceae(장미과)일본명:Hebi-ichigo漢名: 鷄冠果(닭 계, 갓 관,열매 과). 野楊梅(들 야, 버들 양, 매화 매) 잎 잎은 어긋나며 3출엽이다.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의 원형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 2~3.5cm, 너비 1~3cm이다. 표면은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엽맥을 따라 긴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0mm정도이다. 연한 홍백색 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수과가 점처럼 흩어져 있다. 꽃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엽액에서 자라는 긴 꽃자루에 1개씩 달리고, 겉꽃받침잎은 5개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지며 꽃받침보다 크고 꽃..
2025.02.22 -
두충(동의보감)
두충(동의보감) ^^^^^^^^^^^^^^^^^^^^^^^^^^^^^^^^^^^^^^^^^^^^^^^^^^^^^^^^^^^^^^^^^^^^^^^^^^^ 杜沖 性平溫味辛甘無毒 성(性)은 평온(平溫)하고 미(味)는 신감(辛甘)하며 무독(無毒)하다. 治腎勞腰脊攣痛脚中攣疼堅筋骨除陰下濕痒小便餘瀝益精氣能治腎冷㵐腰痛 신로(腎勞), 요척련통(腰脊攣痛), 각중련동(脚中攣疼)을 치(治)하며, 근골(筋骨)을 견(堅)하고, 음하습양(陰下濕痒), 소변여력(小便余沥)을 제거(除去)한다. 익정기(益精氣)하고 신랭(腎冷)의 둔요통(臀腰痛)을 치(治)한다. 狀如厚朴折之內有白絲相連者佳削去上皮橫理切令絲斷《本草》 형상(形狀)은 후박(厚朴)과 같으며 절(折)하여 백사(白絲)가 많은 것을 가품(佳品)으로 친다. 겉껍질을 긁어 ..
2025.02.22 -
백호(동의보감)
백호(동의보감) ^^^^^^^^^^^^^^^^^^^^^^^^^^^^^^^^^^^^^^^^^^^^^^^^^^^^^^^^^^^^^^^^^^^^^^^^^^^^ 白蒿 诈날제흰性平味甘無毒 성(性)은 평(平)하고 미(味)는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五藏邪氣風寒濕痺療心懸少食常飢 오장(五臟)의 사기(邪氣), 풍한습비(風寒濕痺)에 주효(主效)하고, 심현(心縣)한데 식소(食少)하며 항상 기(飢)한 것을 치료(治療)한다. 白蒿蓬蒿也所在皆有春初最先諸草而生上有白毛錯澁頗似細艾二月採者春及秋香美可食醋淹爲菹甚益人《本草》 백호(白蒿)는 봉호(蓬蒿)이다. 어느 곳에든지 다 있다. 이른 봄에 다른 풀들보다 제일 먼저 돋아 나오고 줄기와 잎에 깔깔한 흰털이 배어 나서 마치 가는 쑥 같다. 이월(二月)에 채(採)한다..
2025.02.22 -
도꼬마리(동의보감)
도꼬마리(동의보감) ^^^^^^^^^^^^^^^^^^^^^^^^^^^^^^^^^^^^^^^^^^^^^^^^^^^^^^^^^^^^^^^^^^^^^^^^^ 栠耳 시이(葈耳) 돋고마리性微寒味苦辛有小毒 성(性)은 미한(微寒)하고 미(味)는 고(苦), 신(辛)하며 소독(小毒)이 있다. 主風頭寒痛風濕周痺四肢拘攣痛惡肉死肌治一切風塡骨髓煖腰膝治岤嵤疥癬瘙痒 풍두한통(風頭寒痛), 풍습주비(風濕周痺), 사지구련통(四肢拘攣痛), 악육(惡肉), 사기(邪肌)에 주효(主效)하다. 일체(一切)의 풍기(風氣)를 치(治)하며 골수(骨髓)를 보충(補充)하고, 요슬(腰膝)을 난(煖)하며, 나력(癩癧), 개선(疥癬), 소양(瘙痒)을 치(治)한다. 卽蒼耳也一名喝起草處處皆有實名羊負來昔中國無此從羊毛中粘綴遂至中國故以爲名五月..
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