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자(女貞子)[본초]

2022. 3. 10. 21:5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여정자(女貞子)[본초]

 

 

 

 

^^^^^^^^^^^^^^^^^^^^^^^^^^^^^^^^^^^^^^^^^^^^^^^^^^^^^^^^^^^^^^^^^^^^

 

女貞

 

(《本經上品

 

 

 

釋名

 

貞木(《山海經》)、冬青(《綱目》)

 

時珍曰此木淩冬青翠有貞守之操故以貞女狀之

 

이 나무는 겨울에 견디고 青翠(청취)한 것으로서 貞操(정조)를 지킨다. 그래서 貞女(정녀)形容(형용)한 것이다.

 

 

琴操載魯有處女見女貞木而作歌者即此也蘇彥女貞頌序雲女貞之木一名冬青負霜蔥翠振柯淩風故清士欽其質而貞女慕其名是矣

 

琴操(금조)記載(기재)()處女(처녀)가 있었는데, 女貞木(여정목)을 보고 노래를 만들었다.” 고 한 것이 곧 이것이며, 蘇顔頌(소안송)()에서 女貞(여정)의 나무 一名(일명), 冬靑(동청), 負霜(부상)하고 蔥翠(총취)하게 ()를 흔들어 ()을 견딘다. 그래서 淸士(청사)는 그 ()()하고, 貞女(정녀)는 그 이름을 ()한다.” 고 한 것이 곧 이것이다.

 

 

別有冬青與此同名今方書所用冬青皆此女貞也近時以放蠟蟲故俗呼為蠟樹

 

이와는 다른 冬靑(동청)이라는, 이것과 同名(동명)이 있으나, 여기에서 方書(방서)에 사용하는 冬靑(동청)은 모두 이 女貞(여정)인 것이다. 近者(근자)에는 이 나무에 蠟蟲(납충)放飼(방사)하고 있는 데서 俗稱(속칭) 蠟樹(납수)라 한다.

 

 

 

集解

 

別錄女貞實生武陵川穀立冬采

 

弘景曰諸處時有葉茂盛淩冬不凋皮青肉白與秦皮為表裡其樹以冬生可愛仙方亦服食之俗方不複用人無識者

 

恭曰女貞葉似冬青樹及枸骨其實九月熟黑似牛李子陶言與秦皮為表裡誤矣

秦皮葉細冬枯女貞葉大冬茂殊非類也

 

頌曰女貞處處有之。《山海經泰山多貞木是也其葉似枸骨及冬青木淩冬不凋五月開細花青白色九月實成似牛李子或雲即今冬青樹也而冬青木理肌白紋如象齒實亦治病嶺南一種女貞花極繁茂而深紅色與此殊異不聞入藥

 

時珍曰女貞冬青枸骨三樹也女貞即今俗呼蠟樹者冬青即今俗呼凍青樹者枸骨即今俗呼貓兒刺者東人因女貞茂盛亦呼為冬青與冬青同名異物蓋一類二種爾

二種皆因子自生最易長其葉濃而柔長綠色面青背淡女貞葉長者四五寸子黑色凍青葉微團子紅色為異其花皆繁子並累累滿樹冬月 鵒喜食之木肌皆白膩今人不知女貞但呼為蠟樹立夏前後取蠟蟲之種子裹置枝上半月其蟲化出延緣枝上造成白蠟民間大獲其利詳見蟲部白蠟下枸骨詳本條

 

 

 

 

氣味

 

無毒

 

時珍曰

 

 

 

主治

 

補中安五臟養精神除百病久服肥健輕身不老(《本經》)。

 

補中(보중)하고 五臟(오장)安定(안정)하게 하며, 養精神(양정신)하고, 百病(백병)除去(제거)한다. 久服(구복)하면 肥建(비건)하고 經身不老(경신불노)한다.

 

 

 

強陰健腰膝變白發明目(《時珍》)。

 

()()하게 하고, 腰膝(요슬)()하게 하며, 白髮(백발)()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

 

 

 

發明

 

時珍曰女貞實乃上品無毒妙藥而古方罕知用者何哉

 

女貞實(여정실)上品(상품)無毒(무독)妙藥(묘약)이다. 그런데도 古方(고방)에서 使用(사용)한다는 것을 알았던 ()가 적었던 것은 왜일까?

 

 

典術女貞木乃少陰之精故冬不落葉觀此則其益腎之功尤可推矣

 

典術(전술)에서 女貞實(여정실)少陰(소음)()이다. 그래서 겨울에 잎이 떨어지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그 益腎(익신)하는 ()充分(충분)推想(추상)할 수 있다.

 

 

世傳女貞丹方雲女貞實即冬青樹子去梗葉酒浸一日夜布袋擦去皮曬乾為末待旱蓮草出多取數石搗汁熬濃和丸梧桐子大每夜酒送百丸

 

 

世間(세간)傳來(전래)되고 있는 女貞丹(여정단)()女貞實(여정실) 冬青樹子(동청수자)莖葉(경엽)除去(제거)하고 하룻밤 酒浸(주침)한 다음 包袋(포대)()擦去(찰거)하여 曬乾作末(쇄건작말)하고, 旱蓮草(한련초)가 나오는 것을 기다려 數石(수석)을 많이 ()하고, 搗汁(도즙)濃熬調和(농오조화)하여 梧子(오자)크기의 ()을 만들어 每晩(매만) 술로 百丸(백환)送下(송하)한다.

 

 

不旬日間膂力加倍老者即不夜起又能變白髮為黑色強腰膝起陰氣

 

旬日(순일)이 지나지 않아 膂力(여력)倍加(배가)되는데 老者(노자)는 밤에 일어나지 않게 되고 또한 곧잘 白髮(백발)黑髮(흑발)()하게 되며, 腰膝(요슬)()하게 되고 陰氣(음기)를 일으킨다.”라고 하였다.

 

 

 

附方

 

新二

 

虛損百病久服發白再黑返老還童用女貞實十月上巳日收陰乾用時以酒浸一日蒸透曬乾一斤四兩旱蓮草五月收陰乾十兩為末),桑椹子三月收陰乾十兩為末煉蜜丸如梧桐子大每服七八十丸淡鹽湯下若四月蓮搗汁和藥即不用蜜矣。(《簡便方》)。

 

風熱赤眼冬青子不以多少搗汁熬膏淨瓶收固埋地中七日每用點眼。(《濟急仙方》)

 

 

 

 

氣味

 

微苦無毒

 

 

 

主治

 

除風散血消腫定痛治頭目昏痛諸惡瘡腫胻瘡潰爛久者以水煮乘熱貼之頻頻換易米醋煮亦可口舌生瘡舌腫脹出搗汁含浸吐涎時珍)。

 

諸風散血(제풍산혈)하고, 消腫定痛(소종정통)하며, 頭目昏痛(두목혼통)()한다. 諸惡瘡腫(제악창종), 胻瘡潰爛(행창궤란)이 오래된 것에는 水煮(수자)하여 뜨거울 때 붙이고, 자주 바꾼다. 米醋(미초)()하는 것도 좋다. 口舌(구설)生瘡(생창)하고, 舌腫脹出(설종창출)하는 경우에는 搗汁(도즙)으로 含浸(함침)하여 吐涎(토연)한다.

 

 

附方

 

新三

 

風熱赤眼︰《普濟方》︰用冬青葉五鬥搗汁浸新磚數片五日掘坑架磚於內蓋之日久生霜刮熬成膏收㸃眼

 

一切眼疾冬青葉研爛入樸消貼之。《海上方。《普濟方》。

 

 

 

[本草綱目(본초강목)]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계(菝葜)[본초강목]  (0) 2022.03.12
토복령(土茯苓)[본초강목]  (0) 2022.03.12
말리화(茉莉花)[본초강목]  (0) 2022.03.10
소형(素馨)[본초강목]  (0) 2022.03.10
진피(秦皮)[본초강목]  (0) 202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