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12. 04:3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과루(栝蔞)[본초강목]
^^^^^^^^^^^^^^^^^^^^^^^^^^^^^^^^^^^^^^^^^^^^^^^^^^^^^^^^^^^^^^^^^^^^^^^^^^^
栝蔞
(《本經》中品)
【校正】並入《圖經》天花粉。
【釋名】
果鸁、栝蔞(《綱目》)天瓜(《別錄》)黃瓜(《別錄》)地蔞(《本經》)澤姑(《別錄 》)根名百藥(《圖經》)天花粉(《圖經》)瑞雪
時珍曰︰鸁,與蓏同。
鸁(나)는 蓏(나)와 같다.
許慎雲︰木上曰果,地下曰蓏。此物蔓生附木,故得兼名。
許愼(허신)은 “木上(목상)의 것을 果(과)라 하고 地下(지하)의 것을 蓏(나)라고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蔓生(만생)으로 木(목)에 附著(부저)한다. 그래서 雙方(쌍방)으로 兼用(겸용)되는 名稱(명칭)이 생겨났다.
《詩》雲︰果鸁之實,亦施於宇,是矣。栝蔞,即果鸁 二字音轉也,
詩(시)에 “果鸁之實(과라지실),亦施於宇(역시어우)” 라고 되어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인데 栝樓(괄루)는 果鸁(과라) 二字(이자)의 發音(발음)이 轉化(전화)한 것이다. 또한
亦作 艸+舌+瓜, 艸+婁+瓜,後人又轉為栝蔞,愈轉愈失其真矣。 古者瓜姑同音,故有澤姑之名。
艸+舌+瓜, 艸+婁+瓜라고 記書(기서)하며 後世(후세)에 와서는 다시 轉化(전화)되어서 瓜蔞(과루)라 했는데 점점 轉化(전화)해서는 마침내 眞實(진실)을 상실하고 말았다. 古代(고대)에는 瓜(과)의 音(음)과 姑(고)의 音(음)이 같았던 데서 澤姑(택고)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齊人謂之天瓜,象形也。雷斅《炮炙論》,以圓者為栝,長者為蔞,亦出牽強,但分雌雄可也。其根作粉,潔白如雪,故謂之天花粉。
齊地方(제지방)에서 天瓜(천과)라고 부르는 것은 그 形狀(형상)의 形容(형용)이다. 雷斅炮炙論(뇌효포자론)에 둥근 것을 栝(괄)로 하고 긴 것을 樓(누)라고 한 것은 牽強(견강)의 說明(설명)이다. 다만 雌(자)와 雄(웅)으로 分別(분별)한 것은 참으로 잘 한 것이다. 根(근)은 粉(분)을 만들면 潔白(결백)한 雪(설)과 같다. 그래서 天花粉(천화분)이라고 한다.
蘇頌《圖經》重出天花粉,謬矣。今削之。
蘇頌(소송)은 圖經(도경)에 天花粉(천화분)을 重複(중복)해서 揭載(게재)했지만, 잘못이다. 本書(본서)에는 그 條(조)를 削除(삭제)한다.
【集解】
《別錄》曰︰栝蔞,生弘農川穀及山陰地。根入土深者,良;生鹵地者,有毒。二月、八月採根曝乾,三十日成。
弘景曰︰出近道。藤生,狀如土瓜而葉有叉。入土六、七尺,大二、三圍者,服食亦用之。實入摩膏用。
恭曰︰出陝州者,白實最佳。
頌曰︰所在有之。三、四月生苗,引藤蔓。葉如甜瓜葉而窄,作叉,有細毛。七月開花,似壺盧花,淺黃色。結實在花下,大如拳,生青,至九月熟,赤黃色。其形有正圓者,有銳而長者,功用皆同。根亦名白藥,皮黃肉白。
時珍曰︰其根直下生,年久者長數尺。秋後掘者結實有粉。夏月掘者有筋無粉,不堪用。其實圓長,青時如瓜,黃時如熟柿,山家小兒亦食之。內有扁子,大如絲瓜子,殼色褐,仁色綠,多脂,作青氣。炒乾搗爛,水熬取油,可點燈。
實
【修治】
雷斅曰︰凡使皮子莖根,其效各別。其栝,圓黃皮濃蒂小;蔞則形長赤皮蒂粗。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데는 皮(피), 子(자), 莖(경), 根(근) 제각기 効果(효과)는 別途(별도)이다. 栝(괄)이라는 것은 둥글고 黃色(황색)으로 皮厚(피후)하며 蒂(체)가 작다. 樓(누)라는 것은 形(형)이 기다랗고 皮赤(피적)하며 蒂(체)가 거칠다.
陰人服蔞,陽人服栝。並去殼皮革膜及油。用根亦取大二、三圍者,去皮搗爛,以水澄粉用。
陰人(음인)은 樓(누)를 服用(복용)하고 陽人(양인)은 栝(괄)을 服用(복용)한다. 어느 것 할 것 없이 殼皮(각피), 革膜(혁막)과 기름을 除去(제거)하고 使用(사용)한다. 根(근)도 쓰는데 굵기가 二(이)~三圍(삼위)되는 것을 取(취)해서 去皮(거피)하고 搗爛(도란)해서 澄水(징수)한 후에 粉(분)을 取(취)하여 使用(사용)한다.
時珍曰︰栝蔞,古方全用,後世乃分子、瓤各用。
栝樓(괄루)는 古方(고방)에서는 全部(전부) 그대로 使用(사용)했지만, 後世(후세)에 와서는 子(자)와 瓤(양)을 각기 나누어 使用(사용)하고 있다.
【氣味】
苦,寒,無毒。
時珍曰︰味甘,不苦。
【主治】
胸痺,悅澤人面(《別錄》)。
胸痺(흉비), 顔面(안면)을 悅澤(열택)하게 한다.
潤肺燥,降火,治咳嗽,滌痰結,利咽喉,止消渴,利大腸,消癰腫瘡毒(時珍)。
肺燥(폐조)를 潤(윤)하고, 火(화)를 降(강)하며, 咳嗽(해수)를 治(치)하고, 痰結(담결)을 洗滌(세척)하고, 咽喉(인후)를 利(이)하고, 消渴(소갈)을 止(지)하며, 大腸(대장)을 通利(통리)하며, 癰腫瘡毒(옹종창독)을 消(소)한다.
子︰炒用,補虛勞口乾,潤心肺,治吐血,腸風瀉血,赤白痢,手面皺(大明)。
子(자)를 炒用(초용)하면 虛勞口乾(허로구건)을 補(보)하고, 心肺(심폐)를 潤(윤)하며, 吐血(토혈), 腸風瀉血(장풍사혈), 赤白痢(적백리) 手(수), 眼(안)의 皺(추)를 治(치)한다.
【發明】
震亨曰︰栝蔞實治胸痺者,以其味甘性潤。甘能補肺,潤能降氣。
栝樓(괄루)의 實(실)은 胸痺(흉비)를 治(치)한다. 그것은 그 味(미)가 甘(감)하고 性(성)이 潤(윤)하기 때문으로 甘(감)은 能(능)히 肺(폐)를 補(보)하고, 潤(윤)은 能(능)히 氣(기)를 下(하)하는 것이다.
胸中有痰者,乃肺受火逼,失其降下之令。今得甘緩潤下之助,則痰自降,宜其為治嗽之要藥也。且又能洗滌胸膈中垢膩鬱熱,為治消渴之神藥。
胸中(흉중)의 痰(담)이 있는 것은 肺(폐)가 火(화)의 壓迫(압박)으로 降下活動(강하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인데 그에 대해 甘緩(감완), 潤下(윤하)의 도움을 받게 되면 痰(담)은 스스로 解消(해소)되기 마련이다. 이것은 治嗽(치수)의 要藥(요약)으로서 適當(적당)한 것이다. 또한 能(능)히 胸膈中(흉격중)의 垢膩(구니), 鬱熱(울열)을 洗滌(세척)하는 것으로 消渴(소갈)을 治(치)하는 神藥(신약)인 것이다.
時珍曰︰張仲景治胸痺痛引心背,咳唾喘息,及結胸滿痛,皆用栝蔞實。乃取其甘寒不犯胃氣,能降上焦之火,使痰氣下降也。
張仲景(장중경)은 胸痺(흉비)로 心背(심배)에까지 痛症(통증)이 미치고 咳唾(해타)하며 喘息(천식)하는 것 및 結胸滿痛(결흉만통)을 治(치)하는 데는 모두 栝樓實(괄루실)을 使用(사용)하고 있다. 그것은 이것이 甘(감), 寒(한)하기 때문에 胃(위)의 氣(기)를 犯(범)하지 않고, 能(능)히 上焦(상초)의 火(화)를 내리고, 痰氣(담기)를 下降(하강)시키는 힘을 應用(응용)한 것이다.
成無己不知此意,乃雲苦寒以瀉熱。蓋不嘗其味原不苦,而隨文傅會爾。
成無已(성무기)는 이러한 意味(의미)를 理解(이해)하지 못했던 까닭에 “苦(고), 寒(한)이 熱(열)을 瀉(사)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成無己(성무기)는 그 味(미)를 自己自身(자기자신)이 직접 맛보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렇듯 元來(원래) 苦(고)하지 않다는 것을 몰랐던 탓으로 오직 記述(기술)하는 文字(문자)만으로 억지 解釋(해석)한 것이다.
【附方】舊十二,新二十八。
痰咳不止︰栝蔞仁一兩,文蛤七分,為末,以薑汁澄濃腳,丸彈子大。噙之。(《摘玄方》)
乾咳無痰︰熟栝蔞搗爛絞汁,入蜜等分,加白礬一錢,熬膏。頻含咽汁。(楊起《簡便方》)
咳嗽有痰︰熟栝蔞十個,明礬二兩,搗和餅陰乾,研末,糊丸梧子大。每薑湯下五、七十丸。(《醫方摘要》)
痰喘氣急︰ KT 二個,明礬一棗大。同燒存性,研末。以熟蘿蔔蘸食,藥盡病除。(《普濟熱咳不止︰用濃茶湯一鐘,蜜一鐘,大熟栝蔞一個去皮,將瓤入茶蜜湯洗去子,以碗盛,於飯上蒸,至飯熟取出。時時挑三四匙咽之。(《摘玄方》)
肺熱痰咳,胸膈塞滿︰用栝蔞仁、半夏(湯泡七次,焙研)各一兩。薑汁打麵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食後薑湯下。(嚴用和《濟生方》)
肺痿咳血不止︰用栝蔞五十個(連瓤瓦焙),烏梅肉五十個(焙),杏仁(去皮尖炒)二十一個,為末。每用一撚,以豬肺一片切薄,摻末入內炙熟,冷嚼咽之,日二服。(《聖濟錄》)
酒痰咳嗽,用此救肺︰栝蔞仁、青黛等分,研末,薑汁蜜丸芡子大。每噙一丸。(《丹溪心法》)
飲酒發熱︰即上方研膏,日食數匙。一男子年二十病此,服之而愈。(《摘玄方》)
飲酒痰 ,兩脅脹滿,時複嘔吐,腹中如水聲︰栝蔞實(去殼,焙)一兩,神曲(炒)半兩,為小兒痰喘,咳嗽,膈熱久不瘥︰瓜蔞實一枚(去子)。為末,以寒食面和作餅子,炙黃再研末。每服一錢,溫水化下,日三服,效乃止。
婦人夜熱痰嗽,月經不調,形瘦者︰用栝蔞仁一兩,青黛、香附(童尿浸曬)一兩五錢,為末。蜜調,噙化之。(《丹溪心法》)
胸痺痰嗽,胸痛徹背,心腹痞滿,氣不得通,及治痰嗽︰大栝蔞去瓤,取子炒熟,和殼研末,麵糊丸梧子大。每米飲下二、三十丸,日二服。(《杜壬方》)
胸中痺痛引背,喘息咳唾,短氣,寸脈沉遲,關上緊數。用大栝蔞實一枚(切),薤白半斤。以白酒七斤,煮二升,分再服。加半夏四兩更善。(仲景《金匱》方) 清痰利膈,治咳嗽︰用肥大栝蔞(洗取子,切焙)、半夏四十九個(湯洗十次,捶焙)等分。為末,用洗栝蔞水並瓤同熬成膏,和丸中風 斜︰用栝蔞絞汁,和大麥麵作餅,炙熱熨之。正便止,勿令太過。(《聖惠方》)
熱病頭痛,發熱進退︰用大栝蔞一枚,取瓤細銼,置瓷碗中。用熱湯一盞沃之,蓋定良久,去滓服。(《聖惠方》)
時疾發黃,狂悶煩熱,不識人者︰大栝蔞實(黃者)一枚,以新汲水九合浸淘取汁,入蜜半合,樸消八分,合攪令消盡,分再服,便瘥。(蘇頌《圖經本草》)
小兒黃疸,眼黃脾熱︰用青栝蔞焙研。每服一錢,水半盞,煎七分,臥時服。五更瀉下黃物,立可。名逐黃散。(《普濟方》)
酒黃疸疾︰方同上。
小便不通腹脹︰用栝蔞焙研。每服二錢,熱酒下。頻服,以通為度。紹興劉駐雲︰魏明州病此,禦醫用此方治之,得效。(《聖惠方》)
消渴煩亂︰黃栝蔞一個,酒一盞,洗去皮子,取瓤煎成膏,入白礬末一兩,丸梧子大。每米飲下十丸。(《聖惠方》)
燥渴腸秘︰九月、十月熟 KT 實,取瓤拌幹葛粉,銀石器中慢火炒熟,為末。食後、夜臥各以沸湯點服二錢。(寇宗奭《衍義》)
吐血不止︰栝蔞(泥固 存性研)三錢,糯米飲服,日再服。(《聖濟錄》)
腸風下血︰栝蔞一個(燒灰),赤小豆半兩,為末。每空心酒服一錢。(《普濟方
久痢五色︰大熟 蔞一個。 存性,出火毒,為末。作一服,溫酒服之。胡大卿一仆,患痢半年,杭州一道人傳此而愈。(《本事方》)
大腸脫肛︰生栝蔞搗汁,溫服之。以豬肉汁洗手, 之令暖,自小兒脫肛,脣白齒焦,久則兩頰光,眉赤脣焦,啼哭︰黃 蔞一個,入白礬五錢在內,固濟 存性,為末,糊丸梧子大。每米飲下二十丸。(《摘玄方》)
牙齒疼痛︰ 蔞皮、露蜂房燒灰擦牙。以烏 根、荊柴根、蔥根煎湯嗽之。(危氏《得效方》)
咽喉腫痛,語聲不出︰經進方用栝蔞皮、白僵蠶(炒)、甘草(炒)各二錢半,為末。每服三錢半,薑湯下。或以綿裹半錢,含咽。一日二服。名發聲散。(《禦藥院方》)
堅齒烏須︰大栝蔞一個(開頂),入青鹽二兩,杏仁(去皮尖)三七粒,原頂合紮定,蚯蚓泥和鹽固濟,炭火 存性,研末。每日揩牙三次,令熱,百日有驗。如先有白須,拔去以藥投之,即生黑者。其治口齒之功,未易具陳。(《普濟方》)
面黑令白︰栝蔞瓤三兩,杏仁一兩,豬胰一具。同研如膏。每夜塗之,令人光潤,冬月不皴。(《聖濟錄》)
胞衣不下︰栝蔞實一個,取子細研,以酒與童子小便各半盞,煎七分,溫服。無實,用根亦可。(陳良甫《婦人良方》)
乳汁不下︰ 蔞子淘洗,控乾炒香,瓦上拓令白色,為末。酒服一錢匕,合面臥,一夜流出。(
乳癰初發︰大熟栝蔞一枚熟搗,以白酒一鬥,煮取四升,去滓,溫服一升,日三服。(《子母秘錄》)
諸癰發背,初起微赤︰栝蔞搗末,井華水服方寸匕。(《梅師方》)
便毒初發︰黃 蔞一個,黃連五錢,水煎。連服效。(李仲南《永類方》)
風瘡疥癩︰生栝蔞一、二個、打碎,酒浸一日夜。熱飲。( 仙《乾坤秘韞》)
熱遊丹腫︰栝蔞子仁末二大兩,釅醋調塗。(楊氏《產乳集驗方》)
指頂,遍身者。先服敗毒散,後用此解皮膚風熱,不過十服愈︰用栝蔞皮為末。每服三錢,燒酒下,日三服。(《集簡方》)
根
【修治】
天花粉。
周憲王曰︰秋冬采根,去皮寸切,水浸,逐日換水,四、五日取出,搗泥,以絹袋濾汁澄粉,曬乾用。
周憲王曰(주헌왕왈) 秋冬(추동) 사이에 採根(채근)해서 去皮(거피)하고 一寸(일촌) 정도로 잘라 水浸(수침)하며 날마다 그 물을 갈아 주며 四(사)~五日(오일)이 될 때 꺼내어 搗泥(도니)해서 絹布(견포)에 濾過(여과)하여 그 汁(즙)을 澄淸(징청)하고 粉(분)을 내어 曬乾(쇄건)해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苦,寒,無毒。
時珍曰︰甘、微苦、酸,微寒。
之才曰︰枸杞為之使。惡乾薑,畏牛膝、幹漆,反烏頭。
【主治】
消渴身熱,煩滿大熱,補虛安中,續絕傷(《本經》)。
消渴身熱(소갈신열), 煩滿大熱(번만대열), 補虛(보허)하고 安中(안중)하며 絶傷(절상)을 續(속)한다.
除腸胃中痼熱,八疸身面黃,脣乾口燥短氣,止小便利,通月水(《別錄》)。
腸胃中(장위중)의 痼熱(고열), 八疸(팔달)로 身體面部(신체면부)가 黃色(황색)이 되고 입술이 말라붙고 입이 마르며 呼吸(호흡)이 短(단)해지는 것을 除(제)하고, 小便(소변)을 멈추며, 月經(월경)을 利通(이통)시킨다.
治熱狂時疾, 通小腸, 消腫毒乳癰發背,痔漏瘡癤,排膿生肌長肉,消撲損瘀血(大明)。
熱狂時疾(열광시질)을 治(치)하고, 小腸(소장)을 通(통)하며, 腫毒(종독), 乳癰(유옹), 發背(발배), 痔漏(치루), 瘡癤(창절)을 消(소)하고, 排膿(배농)하며, 生肌(생기)하고, 長肉(장육)하며, 撲損瘀血(박손어혈)을 消(소)한다.
【發明】
恭曰︰用根作粉,潔白美好,食之大宜虛熱人。
根(근)으로 만든 粉(분)은 潔白(결백)하고 美(미)하며 이것을 먹으면 虛熱(허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매우 좋다.
杲曰︰栝蔞根純陰,解煩渴,行津液。心中枯涸者,非此不能除。與辛酸同用,導腫氣。
栝樓根(괄루근)은 純陰(순음)으로 煩渴(번갈)을 解(해)하고 津液(진액)을 行(행)한다. 心中(심중)이 枯涸(고학)하는 데는 이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辛酸(신산)을 功用(공용)하면 重紀(중기)를 引導(인도)한다.
成無己曰︰津液不足則為渴。栝蔞根味苦微寒,潤枯燥而通行津液,是為渴所宜也。
津液(진액)이 不足(부족)하면 渴(갈)한다. 栝樓根(괄루근)은 味(미)는 苦(고)하고 氣(기)는 微寒(미한)하며, 枯燥(고조)를 潤(윤)하고, 津液(진액)을 通行(통행)하게 한다. 그러므로 渴(갈)에 대한 適當(적당)한 藥(약)이다.
時珍曰︰栝蔞根味甘微苦酸。其莖葉味酸。酸能生津,感召之理,故能止渴潤枯。微苦降火,甘不傷胃。昔人只言其苦寒,似未深察。
栝樓根(괄루근)은 味(미)는 甘(감), 微苦(미고)하며 酸(산)하다. 莖葉(경엽)은 味(미)가 酸(산)하다. 酸(산)은 能(능)히 生津(생진)하는 것은 感召(감소)의 理致(이치)이다. 그래서 能(능)히 止渴(지갈)하고 潤枯(윤고)하는 것이다. 微苦(미고)로 火(화)를 내리고 甘(감)으로 胃(위)를 傷(상)하지 않도록 한다. 旣往學者(기왕학자)들은 오직 그 味(미)가 苦寒(고한)하다는 것만 言及(언급)하고 이에 대한 깊은 硏究(연구)는 소홀히 한 듯 하다.
【附方】舊十二,新十三。
消渴飲水︰《千金方》作粉法︰取大栝蔞根去皮寸切,水浸五日,逐日易水,取出搗研,濾過澄粉曬乾。每服方寸匕,水化下,日三服。亦可入粥及乳酪中食之。《肘後方》︰用栝蔞根薄切炙,取五兩,水五升,煮四升,隨意飲之。《外台秘要》︰用生栝蔞根三十斤,以水一石,煮取一鬥半,去滓,以牛脂五合,煎至水盡。用暖酒先食服如雞子大,日三服。最妙。《聖惠方》︰用栝蔞根、黃連三兩。為末,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日二服。
又玉壺丸︰用栝蔞根、人參等分,為末,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麥門冬湯下。
傷寒煩渴思飲︰栝蔞根三兩。水五升,煮一升,分二服。先以淡竹瀝一升,水二升,煮好
百合病渴︰栝蔞根、牡蠣(熬)等分。為散。飲服方寸匕。(《永類方》)
黑疸危疾︰ 蔞根一斤,搗汁六合,頓服。隨有黃水從小便出。如不出,再服。(楊起
《簡便方》)
小兒發黃,皮肉面目皆黃︰用生栝蔞根搗取汁二合,蜜二大匙和勻,暖服,日一服。(《利方》)
虛熱咳嗽︰天花粉一兩,人參三錢。為末。每服一錢,米湯下。(《集簡方》)
偏疝痛極,劫之立住︰用綿袋包暖陰囊。取天花粉五錢,以醇酒一碗浸之,自卯至午,微煎滾,露一夜。次早低凳坐定,兩手按膝,飲下即愈。未效,再一服。(《本草蒙筌》)
小兒囊腫︰天花粉一兩,炙甘草一錢半,水煎,入酒服。(《全幼心耳卒烘烘︰栝蔞根削尖,以臘豬脂煎三沸,取塞耳,三日即愈。(《肘後方》)
耳聾未久︰栝蔞根三十斤細切,以水煮汁,如常釀酒。久服甚良。(《肘後方》)
產後吹乳,腫硬疼痛,輕則為妒乳,重則為乳癰︰用栝蔞根末一兩,乳香一錢。為末。溫酒每服二錢。(李仲南《永類方》)
乳汁不下︰栝蔞根燒存性,研末。飲服方寸匕。或以五錢,酒水煎服。(楊氏《產乳》)
癰腫初起︰孟詵《食療》︰用栝蔞根苦酒熬燥,搗篩,以苦酒和,塗紙上,貼之。楊文蔚方︰用栝蔞根、天泡濕瘡︰天花粉、滑石等分,為末,水調搽之。(《普濟方》)
楊梅天泡︰天花粉、川芎 各四兩,槐花一兩,為末,米糊丸梧子大。每空心淡薑湯下七、八十丸。(《簡便方》)
折傷腫痛︰栝蔞根搗塗,重布裹之。熱除,痛即止。(葛洪《肘後方》)
箭鏃不出︰栝蔞根,搗敷之,日三易,自出。(崔元亮《海上方》)
針刺入肉︰方同上。
痘後目障︰天花粉、蛇蛻(洗焙)等分。為末。羊子肝批開,入藥在內,米泔汁煮熟,切食。次女病此,服之旬餘而愈。(周密《齊東野語》)
莖、葉
【氣味】
酸,寒,無毒。
【主治】
中熱傷暑(《別錄》)。
中熱(중열), 傷暑(상서)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과(西瓜)[본초강목] (0) | 2022.03.20 |
---|---|
목이(木耳)[본초강목] (0) | 2022.03.12 |
발계(菝葜)[본초강목] (0) | 2022.03.12 |
토복령(土茯苓)[본초강목] (0) | 2022.03.12 |
여정자(女貞子)[본초] (0) | 202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