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 1. 18:5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단향(檀香)[본초강목]
^^^^^^^^^^^^^^^^^^^^^^^^^^^^^^^^^^^^^^^^^^^^^^^^^^^^^^^^^^^^^^^^^^^^^^^^^^^
檀香
(《別錄》下品)
【釋名】
旃檀(《綱目》)、眞檀。
時珍曰︰檀,善木也,故字從亶。亶,善也。釋氏呼為旃檀,以為湯沐,猶言離垢也。
番人訛為真檀。雲南人呼紫檀為勝沉香,即赤檀也。
檀(단)은 善木(선목)이다. 그래서 文字(문자)는 亶(단)에 따른다. 亶(단)은 善(선)인 것이다. 釋氏(석씨)는 이것을 旃檀(전단)이라고 하였고, 湯沐(탕목)에 사용했다. 역시 離垢(이구)라는 것과 같은 뜻이다. 番人(번인)은 轉訛(전와)하여 眞檀(진단)이라 하고, 雲南地方(운남지방)에서는 紫檀(자단)이라 하는데 沉香(침향) 즉 赤檀(적단)보다 優秀(우수)한 것이다.
【集解】
藏器曰︰白檀出海南。樹如檀。
恭曰︰紫真檀出昆侖盤盤國。雖不生中華,人間遍有之。
頌曰:檀香有數種,黃、白、紫之異,今人盛用之。江淮、河朔所生檀木,即其類,但不香爾。
時珍曰︰按《大明一統志》雲:檀香出廣東、雲南,及占城、真臘、爪哇、渤泥、暹羅、三佛齊、回回等國,今嶺南諸地亦皆有之。
樹、葉皆似荔枝,皮青色而滑澤。葉廷珪《香譜》云︰皮實而色黃者為黃檀,皮潔而色白者為白檀,皮腐而色紫者為其木並堅重清香,而白檀尤良。宜以紙封收,則不泄氣。王佐《格古論》云︰紫檀諸溪峒出之。性堅。新者色紅,舊者色紫,有蟹爪文。新者以水浸之,可染物。真者揩壁上色紫,故有紫檀名。黃檀最香。俱可作帶 、扇骨等物。
白旃檀
【氣味】
辛,溫,無毒。
大明曰︰熱。
元素曰︰陽中微陰。入手太陰、足少陰,通行陽明經。
陽中(양중)의 微陰(미음)으로 手太陰(수태음), 足少陰(족소음)에 들어가며, 陽明經(양명경)을 通行(통행)한다.
【主治】
消風熱腫毒(弘景)。
風熱腫毒(풍열종독)을 消(소)한다.
治中惡鬼氣,殺蟲(藏器)。
中惡(중악), 歸期(귀기)를 治(치)하며, 殺蟲(살충)한다.
煎服,止心腹痛,霍亂腎氣痛。水磨,塗外腎並腰腎痛處(大明)。
煎服(전복)하면 心腹痛(심복통), 霍亂(곽란), 腎氣痛(신기통)을 멎게 한다. 水(수)로 麿(마)하여 外腎(외신), 및 腰腎(요신)의 痛處(통처)에 塗(도)한다.
散冷氣,引胃氣上升,進飲食(元素)。
冷氣(냉기)를 散(산)하고, 胃氣(위기)를 引(인)하여 上升(상승)하며, 飮食(음식)을 增進(증진)한다.
噎膈吐食。又面生黑子,每夜以漿水洗拭令赤,磨汁塗之,甚良(時珍)。
噎膈吐食(일격토식), 또는 顔面(안면)에 黑子(흑자)가 發生(발생)한 경우에는 每夜(매야) 漿水(장수)로 씻고 닦아 빨갛게 한 다음 磨汁(마즙)을 塗(도)하면 매우 좋다.
【發明】
杲曰︰白檀調氣,引芳香之物,上至極高之分。最宜橙、橘之屬,佐以薑、棗,輔以葛根、縮砂、益智、豆蔻,通行陽明之經,在胸膈之上,處咽嗌之間,為理氣要藥。
白檀(백단)는 調氣(조기)하고 芳香物(방향물)을 引(인)하여 極高部位(극고부위)에 이르는 것인데 橙(등), 橘(귤)의 屬(속)에 가장 좋다. 佐(좌)로서 薑(강), 棗(조)를 사용하고 補(보)로서 葛根(갈근), 縮砂(축사), 益智(익지), 荳蔲(두구)를 사용하면 佯名(양명)경을 通行(통행)하여 胸膈(흉격)의 위에 있고 咽嗌(인익) 사이에 있으면서 理氣(이기)하는 要約(요약)인 것이다.
時珍曰︰《楞嚴經》云︰白旃檀塗身,能除一切熱惱。今西南諸番酋,皆用諸香塗身,取此義也。杜寶《大業錄》云︰隋有壽禪師妙醫術,作五香飲濟人。沉香飲、檀香飲、丁香飲、澤蘭飲、甘松飲,皆以香為主,更加別藥,有味而止渴,兼補益人也。道書檀香謂之浴香,不可燒供上真。
楞嚴經(능엄경)에는 “白旃檀(백전단)을 몸에 바르면 능히 一切(일체)의 熱惱(열뇌)를 제거한다.”고 하였다. 현재 西南(서남)의 諸番酋(제번추)가 모두 諸香(제향)을 몸에 바른 것은 이 義(의)을 取(취)한 것이다. 杜甫(두보)의 大業錄(대업록)에는 “隋(수)에 壽禪師(수신사)라는 醫術(의술)에 妙(묘)를 得(득)한 사람이 있었는데, 五香飲(오향음)을 만들어 一般人(일반인)을 救濟(구제)하였다. 그것은 沉香飲(침향음) 檀香飲(단향음) 丁香飲(정향음) 澤蘭飲(택란음)
甘松飲(감송음) 등이었는데 모두 向(향)을 主藥(주약)으로 하고 이에 다른 藥(약)을 加(가)한 것으로서 그 味(미)가 있어 止渴補益(지갈보익)한다.“고 하였다. 道書(도서)에서는 檀香(단향)을 浴香(욕향)이라 하였고 燒(소)하여 上眞(상진)으로는 供(공)할 수 없는 것이다.
紫檀
【氣味】
咸,微寒,無毒。
【主治】
摩塗惡毒風毒(《別錄》)。
惡毒(악독), 風毒(풍독)에 摩塗(마도)한다.
刮末敷金瘡,止血止痛。療淋(弘景)。
刮末(괄말)하여 金瘡(금창)에 傅(부)하면 止血(지혈)止痛(지통)하고 淋(임)을 療(요)한다.
醋磨,敷一切猝腫(千金)。
醋(초)로 磨(마)하여 一切(일체)의 猝腫(졸종)에 傅(부)한다.
【發明】
時珍曰︰白檀辛溫,氣分之藥也。 故能理衛氣而調脾肺,利胸膈。
白檀(백단)은 辛(신), 溫(온)으로서 氣分(기분)의 藥(약)이다. 그래서 能(능)히 衛氣(위기)를 理(이)하여 脾肺(비폐)를 調和(조화)하고 胸膈(흉격)을 通利(통리)한다.
紫檀鹹寒,血分之藥也。故能和營氣而消腫毒,治金瘡。
紫檀(자단)은 鹹(함), 寒(한)하며, 血分藥(혈분약)이다. 그래서 能(능)히 營氣(영기)를 調和(조화)하여 腫毒(종독)을 消(소)하고 金瘡(금창)을 治(치)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환자(無患子)[본초강목] (0) | 2020.01.19 |
---|---|
용안(龍眼)[본초강목] (0) | 2020.01.12 |
오동(梧桐)[본초강목] (0) | 2019.12.26 |
신이(辛夷)[본초강목] (0) | 2019.12.26 |
작목(柞木)[본초강목]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