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26. 18:1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신이(辛夷)[본초강목]
^^^^^^^^^^^^^^^^^^^^^^^^^^^^^^^^^^^^^^^^^^^^^^^^^^^^^^^^^^^^^^^^^^^^^^^^^^^
辛夷
(《本經》上品)
【釋名】
辛雉(《本經》)、侯桃同 房木同 木筆《拾遺》迎春、
時珍曰︰夷者荑也。其苞初生如荑而味辛也。揚雄《甘泉賦》云︰列辛雉於林薄。服虔注云︰即辛夷。雉、夷聲相近也。今本草作辛矧,傳寫之誤矣。
夷(이)란 荑(이)라는 뜻인데, 그 苞(포)는 初生(초생)한 것이 荑(이)와 같고, 味(미)는 辛(신)한 것이다. 揚雄(양웅)의 甘泉賦(감천부)에는 “辛雉于林薄(신치우림박)” 이라 하였고, 服虔(복건)의 註(주)에는 즉 辛夷(신이)이다. 雉(치), 夷(이)는 聲(성)이 想近(상근)하다. 本草(본초)에서 辛矧(신신)이라고 表記(표기)한 것은 傳寫(전사)의 誤謬(오류)인 것이다.
藏器曰︰辛夷花未發時,苞如小桃子,有毛,故名侯桃。初發如筆頭,北人呼為木筆。其花最早,南人呼為迎春。
辛夷(신이)는 꽃이 피지 아직 피지 않을 때에는 苞(포)에서 小桃子(소도자)처럼 털이 있다. 그래서 侯桃(후도)라고 한다. 갓 피어나면 筆頭(필두)와 같은데, 北方地方(북방지방)에서는 木筆(목필)이라고 한다. 그 꽃이 가장 먼저 피기 때문에 南方地方(남방지방)에서는 迎春(영춘)이라 부른다.
【集解】
《別錄》曰︰辛夷生漢中、魏興、梁州川谷。其樹似杜仲,高丈餘。子似冬桃而小。九月採實,曝乾,去心及外毛。毛射人肺,令人咳。
弘景曰︰今出丹陽近道。形如桃子,小時氣味辛香。
恭曰︰此是樹,花未開時收之。正月、二月好采。云九月採實者,恐誤也。
保升曰︰其樹大連合抱,高數仞。葉似柿葉而狹長。正月、二月花,似有毛小桃,色白而帶紫。花落而無子。夏杪複著花,如小筆。又有一種,花、葉皆同,但三月花開,四月花落,子赤似相思子。二種所在山谷皆有。
禹錫曰︰今苑中有樹,高三、四丈,其枝繁茂。正、二月花開,紫白色。花落乃生葉,夏初複生花。經秋歷冬,葉花漸大,如有毛小桃,至來年正、二月始開。初是興元府進來,樹才三、四尺,有花無子,經二十餘年方結實。蓋年淺者無子,非有二種也。其花開早晚,各隨方土節氣爾。
宗奭曰︰辛夷,處處有之,人家園亭亦多種植。先花後葉,即木筆花也。
其花未開時,苞上有毛,尖長如筆,故取象而名。花有桃紅、紫色二種,入藥當用紫者,須未開時收之,已開者不佳。時珍曰︰辛夷花,初出枝頭,苞長半寸,而尖銳儼如筆頭,重重有青黃茸毛順鋪,長半分許。及開則似蓮花而小如盞,紫苞紅焰,作蓮及蘭花香。亦有白色者,人呼為玉蘭。又有千葉者。諸家言苞似小桃者,比類欠當。
苞
【修治】
雷斅曰︰凡用辛夷,拭去赤肉毛了,以芭蕉水浸一宿,用漿水煮之,從巳至未,取出焙乾用。若治眼目中患,即一時去皮,用向裡實者。
무릇 辛夷(신이)를 使用(사용)할 경우에는 赤肉毛(적육모)를 完全(완전)히 拭去(식거)하고, 芭蕉水(파초수)에다 하룻밤 浸(침)한 다음 漿水(장수)로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二時(이시)까지 煮(자)하여 焙乾(배건)해서 使用(사용)한다. 眼中(안중)의 患(환)을 治(치)할 경우에는 卽時(즉시) 一時(일시)에 去皮(거피)하고 裏(이)를 向(향)해 實(실)한 것을 使用(사용)한다.
大明曰︰入藥微炙。
入藥(입약)에는 微炙(미자)한다.
【氣味】
辛,溫,無毒。
時珍曰︰氣味俱薄,浮而散,陽也。入手太陰、足陽明經。
기미(氣味)가 모두 박(薄)하고 부(浮)하면서 산(散)하며 양(陽)인데 수태음경(手太陰經), 족양명경(足陽眀經)에 들어간다.
之才曰︰芎藭為之使。惡五石脂,畏菖蒲、蒲黃、黃連、石膏、黃環。
궁궁(芎藭)이 사(使)가 된다. 오석지(五石脂)를 오(惡)하며 창포(菖蒲), 포황(蒲黃), 황련(黄连), 석고(石膏), 황환(黃環)을 외(畏)한다.
【主治】
五臟身體寒熱,風頭腦痛面䵟。久服下氣,輕身明目,增年耐老(《本經》)。
五臟(오장), 身體(신체)의 寒熱(한열), 風頭腦痛(풍두뇌통), 面䵟(면간), 久服(구복)하면 下氣(하기)하고 輕身(경신)明目(명목)하며, 千壽(천수)를 더하고 耐老(내로)한다.
溫中解肌,利九竅,通鼻塞涕出,治面腫引齒痛,眩冒身兀兀如在車船之上者,生鬚髮,去白蟲(《別錄》)。
온중해기(溫中解肌)하고 구규(九竅)를 통리(通利)하며 비새체출(鼻塞涕出)을 소통(疏通)하고, 면종(面腫)에 의한 치통(齒痛), 현모(眩冒)하고 몸이 兀兀(올올)하며, 車船(차선) 위에 있는 것과 같이 되는 것을 治(치)하고 鬚髮(수발)을 發生(발생)하게 하며 白蟲(백충)을 除去(제거)한다.
通關脈,治頭痛憎寒,體噤瘙癢。入面脂,生光澤(大明)。
關脈(관맥)을 通(통)하게 하고, 頭痛憎寒(두통증한), 體噤瘙癢(체금소양)을 治(치)한다. 面脂(면지)에 넣으면 光澤(광택)을 發生(발생)한다.
鼻淵鼻鼽,鼻窒鼻瘡,及痘後鼻瘡,並用研末,入麝香少許,蔥白蘸入數次,甚良(時珍)
鼻淵(비연), 鼻鼽(비구), 鼻窒(비질), 鼻瘡(비창)에는 모두 이것을 硏末(연말)하고 麝香(사향) 소량을 加(가)하여 蔥白(총백)에다 蘸(잠)하여 數回(수회) 넣으면 深量(심량)하다.
【發明】
時珍曰︰鼻氣通於天。天者,頭也、肺也。肺開竅於鼻,而陽明胃脈環鼻而上行。
腦為元神之府,而鼻為命門之竅。人之中氣不足,清陽不升,則頭為之傾,九竅為之不利。
鼻氣(비기)를 通天(통천)한다. 天(천)이란 頭(두)이고 肺(폐)이다. 肺(폐)는 竅(구)를 鼻(비)에 通(통)하는 것이며 陽明(양명), 胃脈(위맥)은 鼻(비)를 環(환)하여 上行(상행)한다. 腦(뇌)는 元神(원신)의 府(부)이고 鼻(비)는 命門(명문)의 竅(구)이다. 一般的(일반적)으로 中氣不足(중기부족)으로 淸陽(청양)이 升(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頭(두)가 그로 因(인)해 傾(경)하고 九竅(구규)가 그로인해 不利(불리)하게 된다
辛夷之辛溫走氣而入肺,其體輕浮,能助胃中清陽上行通於天。所以能溫中,治頭面目鼻九竅之病。軒岐之後,能達此理者,東垣李杲一人而已。
辛夷(신이)의 辛溫(신온)은 氣(기)를 走(주)하여 肺(폐)에 들어가고, 그 體(체)는 輕浮(경부)하여 곧잘 胃中(위중)의 淸陽(청양)을 도와 上行(상행)하고 通天(통천)한다. 곧잘 溫中(온중)하며 頭面(두면), 頭面目鼻(두면목비)의 病(병)을 治(치)하는 것이다. 黃帝(황제), 岐伯(기백) 後(후) 이에 대해 理致(이치)를 通達(통달)한 사람은 東垣李杲(동원이고) 한 사람 뿐이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향(檀香)[본초강목] (0) | 2020.01.01 |
---|---|
오동(梧桐)[본초강목] (0) | 2019.12.26 |
작목(柞木)[본초강목] (0) | 2019.12.18 |
석류피(石榴皮)[본초강목] (0) | 2019.12.18 |
목천료(木天蓼)[본초강목]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