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안(龍眼)[본초강목]

2020. 1. 12. 02:04[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용안(龍眼)[본초강목]

 

 










^^^^^^^^^^^^^^^^^^^^^^^^^^^^^^^^^^^^^^^^^^^^^^^^^^^^^^^^^^^^^^^

 

 

龍眼

 

(《本經中品

 

 


 

校正

 

自木部移入此


 

宗奭曰龍眼專為果未見入藥本草編入木部非矣


 

龍眼(용안)은 오로지 ()로 해야 하는 것이다. ()에 넣은 적은 없다. 本草(본초)에서 木部(목부) 編入(편입)한 것은 옳지 않다.

 

 


 

釋名


 

龍目(《吳普》)圓眼俗名益智(《本經》)亞荔枝(《開寶》)荔枝奴驪珠燕卵蜜脾鮫淚川彈子南方草木狀

 

 


時珍曰龍眼龍目象形也。《吳普本草謂之龍目又曰比目曹憲博雅謂之益智

 


龍眼(용안), 龍目(용목)이라는 것은 象形(상형)한 것이다. 吳普本草(오보본초)에서는 이것을 龍目(용목)이라고 하고, 또는 比目(비목)이라고 한다. 朝憲(조헌) 博雅(박아)에는 이것을 益智(익지)라 하고 있다.

 

 


弘景曰廣州有龍眼非益智也恐彼人別名耳


 

廣州(광주) 龍眼(용안)이라는 것이 있는데 益智(익지)는 아니다. 어쩌면 그 地方(지방) 別名(별명)일 것이다.

 

 


志曰甘味歸脾能益人智故名益智非今之益智子也


 

甘味(감미) ()에 돌아가는 것인데 곧잘 사람의 () ()한다. 그래서 益智(익지)라 하는 것이며, 지금의 益智子(익지자)가 아닌 것이다.

 


頌曰荔枝才過龍眼即熟故南人目為荔枝奴又名木彈晒乾寄遠北人以為佳果目為亞荔枝


 

 

荔枝(여지) 時期(시기)가 약간 지마면 同時(동시) 龍眼(용안)이 익는다. 그래서 南部地方(남부지방)에서는 이것을 가리켜 荔枝奴(여지노)라고 한다. 또한 木彈(목탄)이라 하여 曬乾(쇄건)해서 遠方(원방) 膳物(선물)한다. 北部地方(북부지방)에서는 이것을 佳果(가과)로 하고, 亞荔枝(아려지)라 한다.

 

 


集解


 

別錄龍眼生南海山谷一名益智其大者似檳榔

 

恭曰龍眼樹似荔枝葉若林檎花白色子如檳榔有鱗甲大如雀卵

 

頌曰今閩蜀道出荔枝處皆有之嵇含南方草木狀木高一二丈似荔枝而枝葉微小凌冬不凋春末夏初開細白花七月實熟殼青黃色紋作鱗甲形圓大如彈丸核若木 子而不堅肉薄於荔枝白而有漿其甘如蜜實極繁每枝三二十顆作穗如蒲桃漢時南海常貢之大為民害臨武長唐羌上書言狀和帝感其言下詔止之

 

時珍曰龍眼正圓,《別錄》、蘇恭比之檳榔殊不類也其木性畏寒白露後方可采摘晒焙令乾成朵乾者名龍眼錦按范成大桂海志有山龍眼出廣中色青肉如龍眼夏月實熟可啖此亦龍眼之野生者歟

 

 


 


氣味


 

無毒

恭曰

 


李鵬飛曰生者沸湯瀹過食不動脾


 

()것을 沸湯(비탕)에 데쳐서 먹으면 () ()하지 않게 한다.

 

 


主治


 

五臟邪氣安志厭食除蠱毒去三蟲久服強魂聰明輕身不老通神明( 《本經》)。

 


五臟(오장) 邪氣(사기) 安志(안지)하게 하고, 厭食(염식)하면 蠱毒(고독) 三蟲(삼충) 除去(제거)한다. 久服(구복)하면 強魂聰明(강혼총명)하게 하고, 經身不老(경신불노)하게 하며, 通神明(통신명)한다.

 


 

開胃益脾補虛長智時珍)。


 

開胃益脾(개위익비)하고 補虛長智(보허장지)한다.

 

 

 


發明

 


時珍曰食品以荔枝為貴而資益則龍眼為良蓋荔枝性熱而龍眼性和平也嚴用和濟生方》,治思慮勞傷心脾有歸脾湯取甘味歸脾能益人智之義


 

食品(식품)으로 荔枝(여지)를 귀중한 것으로 하나, 資益(자익)하는데는 龍眼(용안) 良品(양품)으로 친다. 대개 荔枝(여지) () ()하나 龍眼(용안) () 和平(화평)한 것이다. 嚴用和(엄용화) 濟生方(제생방)에는 思慮(사려)에 의해 心脾(심비) 勞傷(노상)한 것을 ()하는 歸脾湯(귀비탕) 甘味(감미) 歸脾(귀비)하여 곧잘 補益(보익)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附方


 

新一

 

歸脾湯治思慮過度勞傷心脾健忘怔忡虛煩不眠自汗驚悸用龍眼肉酸棗仁)、 )、白朮)、茯神各一兩木香人參各半兩炙甘草二錢半 

每服五錢薑三片棗一枚水二鍾煎一鍾溫服。《濟生方》。

 

 

 

 


 


主治

 


胡臭六枚同胡椒二七枚研遇汗出即擦之時珍)。


 

 

胡臭(호취)에는 六枚(육매) 胡椒(호초) 十四個(십사개)와 함께 ()하여 땀이 나올 대 ()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화(欒華)[본초강목]  (0) 2020.01.19
무환자(無患子)[본초강목]  (0) 2020.01.19
단향(檀香)[본초강목]  (0) 2020.01.01
오동(梧桐)[본초강목]  (0) 2019.12.26
신이(辛夷)[본초강목]  (0) 2019.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