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26. 23:3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오동(梧桐)[본초강목]
벽오동/오동백피(梧桐白皮)
벽오동
이명:[벽오동나무] [청오동나무]
학명: Firmiana simplex (L.) W.F.Wight
분류군: Sterculiaceae(벽오동과)
일어: アオギリ
영문: Chinese Parasol Tree, Chinese Bottle Tree, Japanese Varnish Tree,
잎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끝이 3-5개로 갈라지며 길이와 나비가 각 16-25cm이고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 짧은 털과 맥액에 갈색 밀모가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잎보다 길고 맥이 뚜렷하다. 오동잎과 비슷하다.
열매
열매는 5개의 분과로 되어 익기 전에 벌어져서 완두콩 같은 종자가 보이고 10월에 익는다.
꽃
원추화서는 길이 25-50cm로서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단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담황색이고 한 화서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수술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통 끝에 10-15개의 꽃밥이 있다. 암술은 수술통 끝에서 서고 암술머리가 넓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통직하며 수피는 성숙되어도 청녹색으로 평활하며 갈라지지 않고 줄기의 수피가 푸른색을 띄어 벽오동이라 한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하와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지역에 많이 식재하고 있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15-20m.
학명 Firmiana simplex (L.) W.F.Wight
U. S. D. A. Bur. Pl. Industry Bull. 142:67 (1909)
1. Culhamia simplex (L.) Nakai
Bull. Natl. Sci. Mus. Tokyo 31:76 (1952)
1) Flora Coreana 4 (Im, 2001)
2. Firmeana simplex var. glabra Hatus.
J. Jap. Bot. 24:83 (194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Firmiana Chinensis L.W.Medicus ex Steud.
Nom. Bot. 814 (182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Firmiana platanifolia (L.f.) Schott & Endl.
Melet. Bot. 33 (183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Firmiana platanifolia for. tomentosa (Thunb.) Hara
Enum. sperm. Jap. 3:153 (195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Hibiscus simplex L.
Sp. Pl., (ed. 2) 2 : 977 (176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Sterculia firmiana J.F.Gmelin
Syst. nat. ed. 13, 2-2:103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Sterculia platanifolia L.f.
Suppl. Pl. 423 (1781)
1) Flora Coreana 4 (Im, 2001)
9. Sterculia pyriformis Bunge
Enum. Pl. Chin. Bor. 9 (Bunge, 18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0. Sterculia tomentosa Thunb.
Icon. Pl. Jap. 4 (1802)
1) Flora Coreana 4 (Im, 2001)
국명 벽오동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벽오동나무
2. 청오동나무
영문명 : Chinese Parasol Tree, Chinese Bottle Tree, Japanese Varnish Tree,
일본명 : アオギリ
북한명 : 벽오동나무
Firmiana simplex W.Wight
U.S.D.A. Bur. Pl. Industr. Bull. 142, 67 (1909).
142, 67 (1909). 0
Original Data:
Notes: Hibiscus simplex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梧桐(오동)
Firmiana simplex (L.) W. Wight
异名(이명)
Firmiana platanifolia (Linn. f.) Marsili
Sterculia pyriformis Bunge
Sterculia platanifolia L. f.
Firmiana ohinensis Medicus ex Steud.
Hibiscus simplex L.
Firmiana simplex var. glabra Hatusima
Sterculia firmiana J. F. Gmel.
Sterculia simplex (Linnaeus) Druce
Caucanthus platanifolia (L.) Raf.
Clompanus pyriformis Kuntze
Clompanus simplex (L.) Kuntze
Culhamia hadiensis J.F.Gmel.
Culhamia platanifolia Steud.
Culhamia simplex (L.) Nakai
Culhamia triloba Raf.
Firmiana platanifolia var. tomentosa (Thunb.) Sa.Kurata
落叶乔木,高达15米;树皮绿色,平滑。叶宽达30厘米,三至五浅或深裂,上面近无毛,下面有星状短柔毛。圆锥花序长约20厘米,被短绒毛;花单性,无花瓣;萼管长约2毫米,裂片5,条状披针形,长约10毫米,外面密生淡黄色短绒毛;雄花的雄蕊柱约与萼裂片等长,花药约15生雄蕊柱顶端;雌花的雌蕊具柄5,心皮的子房部分离生,子房基部有退化雄蕊。蓇葖5,在成熟前即裂开,纸质,长7-9.5厘米;种子4-5,球形。
原产我国,自华南至河北栽培甚广。
木材可制乐器;种子可食或榨油;叶、花、根、种子入药,有清热解毒、去湿健脾之效。
^^^^^^^^^^^^^^^^^^^^^^^^^^^^^^^^^^^^^^^^^^^^^^^^^^^^^^^^^^^^^^^^^^^^
梧桐
(《綱目》)
【釋名】
櫬。
時珍曰︰梧桐名義未詳。《爾雅》謂之櫬,因其可為棺,《左傳》所謂“桐棺三寸”是矣。
舊附桐下,今別出條。
梧桐(오동)이란 名稱(명칭)의 意味(의미)는 未詳(미상)이다. 爾雅(이아)에서는 이것을 襯(친)이라고 한 것은 이것으로 棺(관)을 만드는 것에서 緣由(연유)한 것이다. 左傳(좌전)에서 “桐棺三寸(동관삼촌)” 이라고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舊本(구본)에는 桐(동)의 條下(조하)에 附記(부기)하고 있었는데 여기에서는 따로 一條(일조)로 揭記(게기)하였다.
【集解】
弘景曰︰梧桐皮白,葉似青桐,而子肥可食。頌曰︰陶氏謂白桐一名椅桐。陸機謂梓實桐皮為椅,即今梧桐。是二種俱有椅名也。《遁甲書》云︰梧桐可知日月正閏。生十二葉,一邊有六葉,從下數一葉為一月,至上十二葉。有閏十三葉,小余者。視之,則知閏何月也。故曰梧桐不生則九州異。
宗奭曰︰梧桐四月開嫩黃小花,一如棗花。枝頭出絲,墮地成油,沾漬衣履。五、六月結子,人收炒食,味如菱、芡。此是《月令》“清明桐始華”者。
時珍曰︰梧桐處處有之。樹似桐而皮青不 ,其木無節直生,理細而性緊。葉似桐而稍小,光滑有尖。其花細蕊,墜下如醭。其莢長三寸許,五片合成,老則裂開如箕,謂之 鄂。
其子綴於 鄂上,多者五、六,少或二、三。子大如胡椒,其皮皺。羅願《爾雅翼》云︰梧桐多陰,青皮白骨,似青桐而多子。其木易生,鳥銜子墮輒生。但晚春生葉,早秋即凋。古稱鳳凰非梧桐不棲,豈亦食其實乎?《詩》云︰梧桐生矣,於彼朝陽。《齊民要術》云︰梧桐生山石間者,為樂器更鳴響也。
木白皮
【氣味】
缺。
【主治】
燒研,和乳汁塗鬚髮,變黃赤(時珍)。
燒硏(소연)하고, 乳汁(유즙)과 調和(조화)하여 鬚髮(수발)에 바르면 黃赤(황적)을 바꾼다.
治腸痔(蘇頌。《刪繁方》治痔,青龍五生膏用。
瘡痔(창치)를 治(치)한다. 蘇頌(소송) 刪繁方(산번방)에는 治痔(치치)하는 青龍五生膏(청룡오생고)에서 이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다.
葉
【主治】
發背,炙焦研末,蜜調敷,乾即易(《肘後》)。
發背(발배)에는 炙焦硏末(자초연말)하고, 蜜(밀)로 調和(조화)해서 傅(부)하여, 마르면 바꾼다.
子
【氣味】
甘,平,無毒。
【主治】
搗汁塗,拔去白髮,根下必生黑者。又治小兒口瘡,和雞子燒存性,研摻(時珍)。
搗汁(도즙)을 바르고 白髮(백발)을 拔去(발거)하면 根下(근하)에서 반드시 黑髮(흑발)이 나온다. 또한 小兒(소아)의 口瘡(구창)을 治(치)할 경우에는 鷄子(계자)에다 調和(조화)하고 구워서 性(성)을 남겨 研摻(연참)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안(龍眼)[본초강목] (0) | 2020.01.12 |
---|---|
단향(檀香)[본초강목] (0) | 2020.01.01 |
신이(辛夷)[본초강목] (0) | 2019.12.26 |
작목(柞木)[본초강목] (0) | 2019.12.18 |
석류피(石榴皮)[본초강목]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