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18. 01:3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작목(柞木)[본초강목]
산유자나무/ 작목피(柞木皮)
산유자나무
학명: Xylosma congesta (Lour.) Merr.
분류군: 이나무과
일어: クストイゲ
영문: Shiny Xylosma
잎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예첨두이며 때로는 끝이 둔하고 예저이지만 어린 나무의 것은 원저이며 길이 4-8cm, 너비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mm이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 5mm이며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11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꽃
총상화서는 액생하고 꽃은 이가화로서 8-9월에 피며 지름 2.5mm이고 황백색이며 짧은 화병이 있고 꽃받침은 4개로서 원형이며 화서와 더불어 겉에 털이 있다. 자방은 둥글고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줄기
어릴 때는 끝이 가시로 된 짧은 가지가 있으며 가지는 적갈색이고 어릴 때는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남과 제주도의 표고 700m 이하의 바닷가나 숲속 계곡에서 드물게 자란다.
▶일본과 대만, 인도, 필리핀 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크기
높이는 7m정도, 직경 10-15㎝
생육환경
주로 따뜻한 해안지방에서 자라며 산지의 양지쪽에서 잘 적응하고 건조한 곳에서도 견딘다.
꽃/번식방법
과피를 제거한 후 종자를 가려내어 11월경 직파하거나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6-7월에 가지삽목 또는 이른 봄에 뿌리삽목을 하기도 한다. 발근이 잘 되는 편은 아니다.
결실기
11월
이용방안
▶관상용이나 생울타리 소재로 알맞다.
▶수피는 작목피, 근(根)은 작목근, 枝葉(지엽)은 작목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작목피
①약효 : 燥濕(조습), 除熱(제열)의 효능이 있다. 황달, 나력, 爛瘡毒(난창독)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분말하여 복용한다.
⑵작목근
①늦가을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황달, 水腫(수종), 이질, 폐결핵의 喀血(객혈), 나력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2-18g(신선한 것은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분말로 만든 다음 술에 타서 복용한다.
⑶작목엽 - 癰疽(옹저), 腫毒(종독)을 치료한다. 下死胎(하사태)의 효능이 있다.
특징
맹아력이 강하고 가시가 치밀하게 많다.
학명 Xylosma congesta (Lour.) Merr.
Philip. Journ. Sci. 15 : 247
1. Apactis japonica Thunb.
Nova Gen. Pl. 3 : 66 (178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Casearia subrhombea Hance
Journ. Japr. 23 : 323 (188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Croton congestum Lour.
Fl. Cochinch. 2 : 582(1790), excl. descr. fruct.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Flacourtia chinensis Clos
Ann. Sci. Mat. ser. 4, 8 : 219 (185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Flacourtia japonica Walp.
Repert. Bot. Syst. (Walpers) 1 : 205 (184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Hisingera japonica Siebold & Zucc.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68 (184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Hisingera racemosa Siebold & Zucc.
Fl. Jap. 1 : 169 & 189, t. 88 & 100, f. III, 1~14 (184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Myroxylon japonicum (Thunb.) Makino
Bot. Mag. (Tokyo) 18 : 53 (190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9. Myroxylon racemosum (Siebold & Zucc.) Kuntze
Revis. Gen. Pl. 1 : 44 (Kuntze, 189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0. Xylosma apactis (Thunb.) Koidz.
Bot. Mag. (Tokyo) 39 : 316 (192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1. Xylosma japonicum (Siebold & Zucc.) A.Gray
Mem. Amer. Akad. Arts. & Sci. n. s. 6 : 381 (185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2. Xylosma racemosa (Siebold & Zucc.) Miq.
Ann. Mus. Lugd.-Bt. 2 : 155 (186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Philip. Journ. Sci. 15 : 247
국명 산유자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III) (박수현,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Shiny Xylosma
일본명
クストイゲ
Xylosma congesta ( Lour. ) Merr.
Philipp. J. Sci. 15: 247. 1920 [dt. 1919; issued 1920]
15: 247 192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작목(柞木)
Xylosma congesta (Lour.) Merr.
이명(异名)
Xylosma racemosum (Sieb. et Zucc.) Miq.
Xylosma racemosum var. glaucescens Franch.
Xylosma racemosum var. caudata (S. S. Lai) S. S. Lai
Apactis japonica Thunb.
Croton congestus Lour.
Flacourtia chinensis Clos
Hisingera japonica Siebold et Zucc.
Hisingera racemosa Siebold et Zucc.
Myroxylon racemosum Kuntze
Xylosma racemosum var. pubescens Rehder et E. H. Wilson
Flacourtia racemosum (Siebold et Zucc.) Walp.
Xylosma japonicum var. pubescens (Rehder et Wilson) C. Y. Chang
Myroxylon japonicum (Thunb.) Makino
Flacourtia japonica Walp.
Xylosma apactis Koidz.
Xylosma congestum var. caudata S. S. Lai
Xylosma congestum var. pubescens (Rehder et E. H. Wilson) Chun
Xylosma japonica (Walpers) A. Gray
Xylosma japonicum (Siebold et Zucc.) A. Gray
Xylosma senticosa Hance
Casearia subrhombea Hance
Xylosma congestum (Lour.) Merr.
Kurkas congestum (Lour.) Raf.
Xylosma congesta var. caudata S.S. Lai
Xylosma congesta var. pubescens (Rehder & E.H. Wilson) Chun
Xylosma japonica var. pubescens (Rehder & E.H. Wilson) C.Y. Chang
Xylosma racemosa var. caudata (S.S. Lai) S.S. Lai
Xylosma racemosa var. glaucescens Franch.
Xylosma racemosa var. pubescens Rehder & E.H. Wilson
Xylosma racemosa (Siebold & Zucc.) Miq.
^^^^^^^^^^^^^^^^^^^^^^^^^^^^^^^^^^^^^^^^^^^^^^^^^^^^^^^^^^^^^^^^^^
柞木
(宋嘉祐)
【釋名】
鑿子木。
時珍曰︰此木堅韌,可為鑿柄,故俗名鑿子木。方書皆作柞木,蓋昧此義也。柞乃橡櫟之名,非此木也。
이 나무는 堅韌(견인)한 것으로서 鑿(착)의 자루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속칭 鑿子木(착자목)이라고 한다. 方書(방서)에는 모두 作木(작목)이라고 記錄(기록)되어 있는데 미상불 이 뜻에 理由(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柞(작)이라고 하는 것은 橡(상), 櫟(역)의 이름으로서 나무가 아니다.
【集解】
藏器曰︰柞木生南方,細葉,今之作梳者是也。
時珍曰︰此木處處山中有之,高者丈餘。葉小而有細齒,光滑而韌。其木及葉丫皆有針刺,經冬不凋。五月開碎白花,不結子。其木心理皆白色。
木皮
【氣味】
苦,平,無毒。
時珍曰︰酸,澀。
【主治】
黃疸病,燒末,水服方寸匕,日三(藏器)。
黃疸病(황저병)에는 燒末(소말)하여 물로 方寸匕(방촌비)를 服用(복용)한다. 一日(일일) 三回(삼회)
治鼠瘻難產,催生利竅(時珍)。
鼠瘻(서루)를 治(치)하고, 難産(난산)에 催生(최생)하며, 利竅(이규)한다.
【附方】
新二。
鼠瘻︰柞木皮五升,水一斗,煮汁二升服,當有宿肉出而愈。乃張子仁方也。(《外台秘要》)。
婦人難產︰催生柞木飲︰不拘橫生倒產,胎死腹中,用此屢效,乃上蔡張不愚方也。用大柞木枝一大握(長一尺,洗淨),大甘草五寸,並寸折。以新汲水三升半,同入新沙瓶內,以紙三重緊封,文武火煎至一升半。待腰腹重痛,欲坐草時,溫飲一小盞,便覺心下開豁。 如渴又飲一盞至三四盞下重/便生更無諸苦切勿坐草太早也。(《昝殷產寳》)
如渴,又飲一盞,至三、四盞,覺下重便生,更無諸苦。切不可坐草太早,及坐婆亂為也。(《婦人良方》)
葉
【主治】
腫毒癰疽(時珍)。
腫毒(종독) 癰疽(옹저)
【附方】
新一。
柞木飲︰治諸般癰腫發背。用乾柞木葉四兩、乾荷葉中心蒂、乾萱草根、甘草節、地榆各一兩,細銼。每用半兩,水二碗,煎一碗,早晚各一服。已成者其膿血自漸乾涸,未成者其毒自消散也。忌一切飲食毒物。(《許學士本事普救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동(梧桐)[본초강목] (0) | 2019.12.26 |
---|---|
신이(辛夷)[본초강목] (0) | 2019.12.26 |
석류피(石榴皮)[본초강목] (0) | 2019.12.18 |
목천료(木天蓼)[본초강목] (0) | 2019.12.09 |
무루자(無漏子)[본초강목]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