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7. 13. 18:2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소벽(小檗)[본초강목]
매자나무/소벽(小檗)
이명:산딸나무, 상동나무
학명:Berberis koreana Palib.
분류군:Berberidaceae(매자나무과)
일본명:朝鮮目木(チョウセンメギ/Chosen-megi)
영명:Korean Barberry
잎
잎은 마디 위에서 총생하고 혁질이며 길이 3~7cm로서 도란형,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침상의 예리한 톱니는 고르지 않고 양면에 털은 없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회록색이다. 잎이 가을철에 적색으로 된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구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지름 6㎜정도이며 광택이 있고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꽃
꽃은 담황색의 양성화로 5월에 피며 잎보다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2-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4-6mm이다.
줄기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소지에는 구(溝)가 있으며 마디 마다 1-3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나있다. 2년지는 적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고 가시는 길이 5-10mm이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관목, 수형:타원형.
크기
높이 2m.
생육환경
▶양지바른 산기슭 등 햇빛이 잘 들고, 비옥하며 보습성, 배수성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해서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며 음지나 양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내염성, 내공해성이 강하지 못하므로 식재지 선정에 주의를 기울인다. 식재지는 통풍이 잘 되는 곳이 좋다.
광선
양생,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꽃/번식방법
▶가을철에 잘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거나, 채취한 종자를 10℃정도의 습한 모래나 버어미큘라이트 등에 습적하여 싹을 틔워 파종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6월 초순 또는 8월 하순경에 녹지삽목을 하면 발근이 잘된다.
재배특성
생장속도가 느리다.
파종기
3월,4월
이식기
3월,4월,10월,11월
결실기
9월,10월
삽목기
5월,6월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조경수종
▶관상가치가 높은 관목이다. 맹아력이 뛰어나므로 생담장으로 이용하거나 강전정으로 토피아리를 만들어 감상하여도 좋다. 5월에 황금색으로 피는 총상화서의 꽃은 아래로 드리워져 마치 초롱등을 전시한 듯하며 가을에 무르익는 진주같은 진분홍색 열매가 흥미롭고 가시가 날카로와 낮은 생울타리나 단식, 군식, 열식 할 수도 있고 전정을 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낼 수도 있다.
▶가는 줄기는 각종 세공품의 재료로 이용된다.
▶어린 순을 나물로서 먹는다.
▶잎,뿌리 등은 건위제와 천연 염료용으로 사용된다.
▶뿌리 및 莖枝(경지)를 小蘗(소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매발톱의 전초에는 alkaloid를 함유하며 根皮(근피)는 대량의 berberine 외에 palmatine, columbamine, jatrorrhizine 및 oxyacanthine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도 berber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消炎(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급성장염, 이질, 황달, 熱痺(열비-熱性 全身症狀(열성 전신증상))에 수반하는 痺證(비증)), 나력, 폐렴, 인후부의 염증, 骨蒸(골증-結核性發熱(결핵성발열)), 결막염, 癰腫(옹종), 瘡癤(창절), 血崩(혈붕)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돼지의 살코기와 같이 약한 불로 삶아서 먹는다. <외용> 煎液(전액)을 點眼(점안)하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 또는 煎液(전액)을 가열하여 바른다.
보호방안
자생지 보존은 물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하고 인공증식을 통해 경제작물로 적극 이용한다.
유사종
▶좁은잎매자 (var.angustifolia NAK.): 잎이 도피침형이다.
▶연밥매자나무 (var. ellipsoidea NAK.): 열매가 긴 타원형이다.
특징
▶우리 나라 특산종으로 단풍이 특히 아름다우며 따뜻한 곳에서는 겨울철에도 상록으로 월동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병충해정보
▶병해 : 흰가루병
▶충해 : 선충
방제방법
▶흰가루병 : 한 여름에 다이센, 카라센, 보르도액(4-4식), 톱신 등을 뿌린다.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등의 토양훈증제로 토양훈증을 하여야 한다.
재배품종] 매자나무 8종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humbergii 'Nana'
일본매자나무 '나나'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hunbergii 'Gold Ring'
일본매자나무 '골드 링'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thunbergii 'Atropurpurea'
일본매자나무 '아트로퍼퍼레아'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thunbergii 'Aurea'
매자나무 '아우레아'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thunbergii 'Rose Glow'
일본매자 '로즈 글로우'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thunbergii 'Sparkle'
일본매자나무 '스파클'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xottawensis 오타웬시스매자 2003/12/03
재배품종 정명 Berberis xwintonensis
윈터넨시스매자 2003/12/03
-자료 : 국가 표준식물목록 구축시스템-
학명 Berberis koreana Palib.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7: 22
국명 매자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산딸나무
2. 상동나무
북한명 매자나무
외국명 영문명
Korean Barberry
일본명
チョウセンメギ
Berberis koreana Palib.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xvii. I. 22.
xvii. I. 22 0
Original Data:
Notes: Core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장자소벽(掌刺小檗)
Berberis koreana Palib.
이명(异名)
Berberis koreana f. angustifolia (Nakai) W.Lee
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
조선소벽(朝鲜小檗)
형태특정(形态特征)
株高1米左右,1年生枝条紫红色,具棱,径3-5毫米,木质部黄色,髓白色,叶刺掌状,3-7裂,长8-10毫米,黄褐色,叶片椭圆形或倒卵状椭圆形。总状苓长4-6厘米,有花10-20朵,花瓣倒卵形。浆果球形,红色,花期为4月,果期为9月。
&&&&&&&&&&&&&&&&&&&&&&&&&&&&&&&&&&&&&&&&&&&&&&&&&&&&
당매자나무/소벽(小檗)
학명:Berberis poiretii C.K.Schneid.
분류군:Berberidaceae(매자나무과)
일본명:トウメギ(To-megi)
영명:Poiret Barberry; Chinese barberry
잎
잎은 어린가지에서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2~4cm로서 예두 또는 절두이며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
과실은 장과로서 길이가 약 1cm 정도이며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9월에 붉게 익는다.
꽃
꽃은 양성화로서 4~5월에 피며 액출(腋出)하여 아래로 늘어지고 황색이지만 표면은 붉은 빛이 돌며 짧은 가지위의 총상화서에 8-15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황색으로 6개이다.
줄기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다소 능선이 지며 자갈색이고 가시는 단순하거나 3개로 갈라지며 길이 0.5-1cm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만주, 간도, 몽고, 유럽 등지에도 분포한다.
▶경기도 수원과 강원도, 평북 등지의 표고 800m이하에서 자생하고,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재식한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약 2m.
생육환경
▶산과 들에 나고 내한성이 커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비옥하고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해안지방과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이나 삽목에 의한다.
①실생 : 과피를 제거한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②삽목 : 3-4월, 6-7월, 9월에 가지삽목을 하여도 뿌리가 잘 내리며 발근촉진제 처리를 해주면 효과적이다.
결실기
9월
이용방안
▶줄기에 예리한 가시가 있고 전정으로 수형이 잘 다듬어지므로 울타리용이나 관상수,정원수로 적합하다.
▶뿌리 및 莖枝(경지)를 小蘗(소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매발톱의 전초에는 alkaloid를 함유하며 根皮(근피)는 대량의 berberine 외에 palmatine, columbamine, jatrorrhizine 및 oxyacanthine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도 berber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消炎(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급성장염, 이질, 황달, 熱痺(열비-熱性 全身症狀(열성 전신증상)에 수반하는 痺證(비증)), 나력, 폐렴, 인후부의 염증, 骨蒸(골증-結核性發熱(결핵성발열)), 결막염, 癰腫(옹종), 瘡癤(창절), 血崩(혈붕)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돼지의 살코기와 같이 약한 불로 삶아서 먹는다. <외용> 煎液(전액)을 點眼(점안)하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 또는 煎液(전액)을 가열하여 바른다.
유사종
▶매발톱나무(B. amurensis)
▶섬매자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매자나무(B. koreana)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
특징
맹아력이 강하다.
학명 Berberis poiretii C.K.Schneid.
Mitt. Deutsch. Dendrol. Ges. 15: 180
1. Berberis poiretii var. angustifolia (Regel) Nakai
2. Berberis sinensis f. weichangensis Schneider
3. Berberis sinensis var. angustifolia Regel
국명 당매자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당매자나무
외국명 영문명
Poiret Barberry
일본명
トウメギ
Berberis poiretii C.K.Schneid.
Mitt. Deutsch. Dendrol. Ges. 15: 180. 1906 (as "poireti")
15: 180 1906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세엽소벽(细叶小檗)
Berberis poiretii Schneid.
이명(异名)
Berberis poiretii var. biseminalis P. Y. Li
Berberis poiretii var. angustifolia (Regel) Nakai
Berberis sinensis var. angustifolia Regel
落叶灌木,高1-2米;枝灰褐色,有槽及疣状突起;刺三分叉,长4-9毫米,或不分叉或无刺。叶狭倒披针形,长1.5-4.5厘米,宽5-10毫米,顶端急尖、渐尖或有短刺尖头,基部渐狭,无柄,全缘或下部叶边缘有锯齿。总状花序有时近伞形,长3-6厘米,有花4-15朵;花黄色,直径约6毫米;花梗3-6毫米;小苞片2,披针形;萼片6,花瓣状,排列成2轮;花瓣倒卵形,长约2.5毫米,宽1.5毫米,较萼片稍短;雄蕊长约1.5毫米;子房内胚珠单生。浆果红色,矩圆形,长约9毫米,直径4.5毫米。
分布于吉林、辽宁、内蒙古、河北和山西;苏联,蒙古也有。
生于山坡路旁或溪边。
根和茎含小檗碱,可为制黄连素的原料,治肠胃炎、结膜炎。
약용개치(药用价值)
根、根皮(三颗针):苦,寒。清热解毒,健胃。用于吐泻,消化不良,痢疾,咳嗽,胆囊炎,目赤,口疮,无名肿毒,湿疹,烧、烫伤,高血压症
&&&&&&&&&&&&&&&&&&&&&&&&&&&&&&&&&&&&&&&&&&&&&&&&&&&&
화서소벽(華西小檗)/소벽(小檗)
화서소벽(华西小檗)
Berberis silva-taroucana Schneid.
Berberis silva-taroucana C.K.Schneid.
Pl. Wilson. (Sargent) 1(3): 370. 1913 [15 May 1913]
1(3): 370 1913
Original Data:
Notes: China (Szechuan)
출처:IPNI
^^^^^^^^^^^^^^^^^^^^^^^^^^^^^^^^^^^^^^^^^^^^^^^^^^^^^^^^^^^^^^^^^^^^^
小蘗
(《唐本草》)
【釋名】
子柏(弘景)、山石榴。
時珍曰︰此與金櫻子、杜鵑花並名山石榴,非一物也。
이것과 金樱子(금앵자), 杜鵑花(두견화), 모두 山石榴(산석류)라고 하는데 一物(일물)이 아니다.
【集解】
弘景曰︰子柏樹小,狀如石榴,其皮黃而苦。又一種多刺,皮亦黃。並主口瘡。
恭曰︰小柏生山石間,所在皆有,襄陽峴山東者為良。一名山石榴,其樹枝葉與石榴無,但花異,子細黑圓如牛李子及女貞子爾。其樹皮白,陶云皮黃,恐謬矣。今太常所貯,乃小樹多刺而葉細者,名刺柏,非小柏也。
藏器曰︰凡是柏木皆皮黃。今既不黃,非柏也。小柏如石榴,皮黃,子赤如枸杞子,兩頭尖。人銼枝以染黃。若云子黑而圓,恐是別物,非小柏也。
時珍曰︰小柏山間時有之,小樹也。其皮外白裡黃,狀如柏皮而薄小。
【氣味】
苦,大寒,無毒。
【主治】
口瘡疳䘌,殺諸蟲,去心腹中熱氣(《唐本》)。
口瘡(구창), 疳䘌(감닉), 諸蟲(제충)을 殺(살)하고 心腹中(심복중)의 熱氣(열기)를 除去(제거)한다.
治血崩 (時珍),茄《婦人良方》 治血崩, 阿茄陀丸方中用之)。
血崩(혈붕)을 治(치)한다. 婦人良方(부인양방)의 血崩(혈붕)을 治(치)하는 阿茄陀丸(아가타환)의 方中(방중)에 이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초(通草)[본초강목] (0) | 2019.07.28 |
---|---|
궐채(蕨菜)[본초강목] (0) | 2019.07.13 |
소합향(蘇合香)[본초강목] (0) | 2019.07.02 |
풍향지(楓香脂)[본초강목] (0) | 2019.06.21 |
구척(狗脊)[본초강목] (0) | 2019.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