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산모(酸模)
산모(酸模)[본초강목] ^^^^^^^^^^^^^^^^^^^^^^^^^^^^^^^^^^^^^^^^^^^^^^^^^^^^^^^^^^^^^^^^^^^^^^^ 酸模 (《日華》) 【釋名】 山羊蹄(《綱目》)山大黃(《拾遺》)薞蕪(《爾雅》)酸母(《綱目》)蓨(同)當藥。 時珍曰︰薞蕪,乃酸模之音轉,酸模又酸母之轉,皆以味而名,與三葉酸母草同名。掌禹錫以 蕪為蔓菁菜,誤矣。 孫武(손무)라고 한 것은 酸模(산모)의 發音(발음)이 訛傳(와전), 酸模(산모)는 또한 酸母(산모)의 訛傳(와전)으로 모두 味(미)로 인하여 名稱(명칭)된 것이다. 三葉酸母草(삼엽산모초)와 同名(동명)이다. 掌禹錫(장우석)이 薞蕪(손무)를 蔓菁菜(만청채)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集解】 弘景曰︰一種極似羊蹄而味酸,呼為酸模,根亦療疥也。 大明曰︰所在有之,生山岡上。狀似羊..
2021.09.17 -
양제(羊蹄)[본초강목]
양제(羊蹄)[본초강목] ^^^^^^^^^^^^^^^^^^^^^^^^^^^^^^^^^^^^^^^^^^^^^^^^^^^^^^^^^^^^^^^^^^^^^^^ 羊蹄 (《本經》下品) 【釋名】 蓄(《別錄》)禿菜(弘景)敗毒菜(《綱目》)牛舌菜(同)羊蹄大黃(《庚辛玉冊》)鬼目(《本經》)東方宿(同)連蟲陸(同)水黃芹(俗)子名金蕎麥。 弘景曰︰今人呼為禿菜,即蓄字音訛也。 요즘 一般(일반)에서 禿菜(독채)라 부른 것이 있는데 禿(독)은 蓄(축)의 字音(자음)의 訛音(와음)이다. 時珍曰︰羊蹄以根名,牛舌以葉形,名禿菜以治禿瘡名也。《詩‧小雅》云︰蓫言采其 。 羊蹄(양제)라는 것은 根(근)을 名稱(명칭)한 것이다. 牛舌(우설)이란 葉(엽)의 形(형)이 비슷해서 呼名(호명)한 것이다. 禿菜(독채)라는 것은 禿瘡(독창)을 治(치)하는 데서 名稱(..
2021.08.22 -
지구자(枳椇子)[본초강목]
지구자(枳椇子)[본초강목] 헛개나무 이명:[홋개나무] [호리깨나무] [볼게나무] [고려호리깨나무] [민헛개나무] 학명: Hovenia dulcis Thunb. ex Murray 분류군: Rhamnaceae(갈매나무과) 일어: チョウセンケンボナシ 영문: Japanese Raisin Tree 잎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길이 8-15cm, 나비 6-12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탁엽이 없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갈색이 돌며 지름 8mm로서 3실에 각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편평하며 외과피는 윤기가 ..
2021.07.07 -
석위(石韋)[본초강목]
석위(石韋)[본초강목] ^^^^^^^^^^^^^^^^^^^^^^^^^^^^^^^^^^^^^^^^^^^^^^^^^^^^^^^^^^^^^^^^^^^^^^^^^^ 石韋 (《本經》中品) 【釋名】 石䩾 、石皮(《別錄》)、石蘭。 弘景曰︰蔓延石上,生葉如皮,故名石韋。 石上(석상)에 蔓延(만연)해서 葉(엽)이 나고, 石皮(석피)처럼 보인다. 따라서 石韋(석위)라고 名稱(명칭)한 것이다. 時珍曰︰柔皮曰韋,䩾亦皮也。 柔皮(유피)를 韋(위)라 한다. 䩾(사)도 역시 皮(피)를 뜻한 것이다. 【集解】 《別錄》曰︰石韋生華陰山谷石上,不聞水聲及人聲者良。二月採葉,陰乾 弘景曰︰處處有之。出建平者,葉長大而濃。 恭曰︰此物叢生石旁陰處,亦不作蔓。其生古瓦屋上者名瓦韋,療淋亦好。 頌曰︰今晉、絳、滁、海、福州,江寧皆有之。叢生石上,葉如柳,背有毛,而斑點如皮..
2021.05.27 -
삼칠(三七)[본초강목]
삼칠(三七)[본초강목] 삼칠(三七) 전칠삼 [ sanchi, tienchi seng , 田七蔘 ] 중국 운남성과 광서성에서 주로 재배되는 삼 삼칠(三七) Panax notoginseng (Burkill) F. H. Chen ex C. H. Chow 异名(이명) Aralia quinquefolia var. notoginseng Burkill Panax pseudoginseng Wall.: Li Panax pseudoginseng var. notoginseng (Burkill) C. Ho et C. J. Tseng Panax japonicus var. bipinnatifidus (Seem.) C.Y.Wu & Feng Panax notoginseng ( Burkill ) F.H.Chen ex C.Y.Wu & ..
2021.05.18 -
대극(大戟)[본초강목]
대극(大戟)[본초강목] ^^^^^^^^^^^^^^^^^^^^^^^^^^^^^^^^^^^^^^^^^^^^^^^^^^^^^^^^^^^^^^^^^^^^^^^^^^^ 大戟 (《本經》下品) 【釋名】 邛巨(《爾雅》)、下馬仙(《綱目》)。 時珍曰︰其根辛苦,戟人咽喉,故名。今俚人呼為下馬仙,言利人甚速也。郭璞注《爾雅》云︰蕎,邛巨,即大戟也。 그 根(근)이 辛(신), 苦(고)해서 사람의 咽喉(인후)를 銳(예)하게 刺戟(자극)하므로 名稱(명칭)된 것이다. 요즘 賤俗(천속)들은 下馬仙(하마선)이라 呼名(호명)한다. 그 意味(의미)는 사람을 下痢(하리)시키는 것이 甚速(심속)하다는 뜻이다. 郭璞注(곽박주)의 爾雅(이아)에 “蕎(교)는 邛巨(공거)이니 즉, 大戟(대극)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다. 【集解】 《別錄》曰︰大戟生常山。十二月採..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