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지금초(地錦草)[본초강목]
지금초(地錦草)[본초강목] 큰땅빈대/지금초(地錦草) 큰땅빈대 이명: 애기땅빈대 학명: Euphorbia maculata L. 분류군: 대극과 일어: オオニシキソウ 영문: Eyebane 잎 잎은 대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지름 1.7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평활하고 종자는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1-1.2mm로서 흑갈색이고 옆으로 달린 2-3개의 주름살이 있다. 꽃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배상화서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
2021.04.30 -
압척초(鴨跖草)[본초강목]
압척초(鴨跖草)[본초강목] 좀닭의장풀/압척초(鸭跖草) 좀닭의장풀 이명 : [가는닭의밑씻개] [가는잎달개비] [산닭개비]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분류군 : Commelinaceae(닭의장풀과) 일명 : ホソバツユクサ(Hosoba-tsuyu-kusa) 잎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1cm정도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져 막질의 엽초와 연결되며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백록색으로 털이 있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이며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꽃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나온 화경 끝의 총포 안쪽에 달리며 하나씩 나와서 핀다. 총포는 앞같거나 접혀서 합쳐진 조개껍질 같으며 겉에..
2021.04.20 -
질려(蒺藜)[본초강목]
질려(蒺藜)[본초강목] ^^^^^^^^^^^^^^^^^^^^^^^^^^^^^^^^^^^^^^^^^^^^^^^^^^^^^^^^^^^^^^^^^^^^^^^^^^ 蒺藜 (《本經》上品) 【釋名】 茨(《爾雅》)、旁通(《本經》)、屈人(《本經》)、止行(《本經》)、豺羽(《本經》)、升推。 弘景曰︰多生道上及牆上,葉布地,子有刺,狀如菱而小。長安最饒,人行多著木履。今軍家乃鑄鐵作之,以布敵路,名鐵蒺藜。《易》云︰據於蒺藜,言其凶傷;《詩》云︰牆有茨,不可掃也,以刺梗穢。方用甚稀。 易(역)에 “蒺藜(질려)에 의한다.” 라고 하는 것은 그 凶銳(흉예)하게 傷(상)하게 하는 依微(의미)를 表現(표현)한 것이다. 時珍曰︰蒺,疾也;藜,利也;茨,刺也。其刺傷人,甚疾而利也。屈人、止行,皆因其傷人也。 蒺(질)은 疾(질)이다. 藜(여)는 利(이)를 말한다. 茨..
2021.04.20 -
석곡(石斛)[본초강목]
석곡(石斛)[본초강목] ^^^^^^^^^^^^^^^^^^^^^^^^^^^^^^^^^^^^^^^^^^^^^^^^^^^^^^^^^^^^^^^^^^^^^^^^ 石斛 (《本經》上品) 【釋名】 石蓫(《別錄》)、金釵(《綱目》)、禁生(《別錄》)、林蘭(《本經》)、杜蘭《別錄》。 時珍曰︰石斛名義未詳。其莖狀如金釵之股,故古有金釵石斛之稱。 石斛(석곡)이라는 名稱(명칭)의 意味(의미)는 未詳(미상)이다. 莖(경)의 形狀(형상)이 金釵(금채)의 股(고)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古代(고대)부터 金釵石斛(금채석곡)이라는 名稱(명칭)이 있었다. 今蜀人栽之,呼為金釵花。盛弘之《荊州記》云︰耒陽龍石山多石斛,精好如金釵,是矣。林蘭、杜蘭,與木部木蘭同名,恐誤。 【集解】 《別錄》曰︰石斛生六安山谷水旁石上。七月、八月採莖,陰乾。 弘景曰︰今用石斛,出始興。生石上..
2021.04.20 -
초석잠(草石蠶)[본초강목]
초석잠(草石蠶)[본초강목] 감로자(甘露子)/초석잠(草石蚕) 감로자(甘露子) 學名: Stachys sieboldii Miq. 이명(异名) Stachys tuberifera Naudin ex Gard. 多年生草本;根状茎匍匐,其上密集须根及在顶端有串珠状肥大块茎的横走小根状茎。茎高30-120米,在棱及节上有硬毛。茎叶叶片卵形或长椭圆状卵形,长3-12厘米,两面被贴生短硬毛;叶柄长1-3厘米。轮伞花序通常6花,多数远离排列成长5-15厘米顶生假穗状花序;小苞片条形,具微柔毛;花萼狭钟状,连齿长9毫米,外被具腺柔毛,10脉,齿5,三角形,具刺尖头;花冠粉红色至紫红色,长1.2厘米,筒内具毛环,上唇直立,下唇3裂,中裂片近圆形。小坚果卵球形,具小瘤。 原产华北、西北,现各地有栽培。生湿地,海拔可达3200米。块茎供食用;全草治肺炎等。 Stachys sieboldii..
2021.03.28 -
자삼(紫參)[본초강목]
자삼(紫參)[본초강목] ^^^^^^^^^^^^^^^^^^^^^^^^^^^^^^^^^^^^^^^^^^^^^^^^^^^^^^^^^^^^^^^^^^^^^^^^^^^ 紫參 (《本經》中品) 【釋名】 牡蒙(《本經》)、童腸(《別錄》)、馬行(《別錄》)、眾戎(《別錄》)、五鳥花(《綱目》)。 時珍曰︰紫參、王孫,並有牡蒙之名。古方所用牡蒙,多是紫參也。 按︰《錢起詩集》云︰紫參,幽芳也。五葩連萼,狀如飛禽羽舉。故俗名五鳥花。 【集解】 《別錄》曰︰紫參,生河西及冤句山谷。三月採根,火炙使紫色。 普曰︰紫參一名牡蒙,生河西或商山。圓聚生根,黃赤有紋,皮黑中紫,五月花紫赤,實黑大如豆。 弘景曰︰今方家皆呼為牡蒙,用之亦少。 恭曰︰紫參葉似羊蹄,紫花青穗。其根皮紫黑,肉紅白,肉淺皮深。所在有之。長安見用者,出蒲州。牡蒙乃王孫也,葉似及己而大,根長尺餘,皮肉亦紫色,根苗不相似。 頌..
2021.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