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 吳茱萸 (《本經》中品) 【校正】 自木部移入此。 【釋名】 藏器曰︰茱萸南北總有,入藥以吳地者為好,所以有吳之名也。 茱萸(수유)는 南北(남북) 어느 곳에나 있다. 藥(약)에 넣는 것은 吳地方(오지방)의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그것이 吳(오)라는 名稱(명칭)이 붙은 緣由(연유)인 셈이다. 時珍曰︰茱萸二字義未詳。萸有俞、由二音。 茱萸(수유)라는 二字(이자)의 뜻은 未詳(미상)이나, 萸字(유자)에는 兪(유), 由(유) 등의 二種(이종)의 發音(발음)이 있다. 【集解】 《別錄》曰︰吳茱萸生上谷川谷及冤句。九月九日采,陰幹。陳久者良。 頌曰︰今處處有之,江浙、蜀漢尤多。木高..
2022.07.27 -
등자피(橙子皮)[본초강목]
등자피(橙子皮)[본초강목] ^^^^^^^^^^^^^^^^^^^^^^^^^^^^^^^^^^^^^^^^^^^^^^^^^^^^^^^^^^^^ 橙 (宋《開寶》) 【釋名】 金球、鵠殼。 時珍曰︰案︰陸佃《埤雅》雲︰橙,柚屬也。可登而成之,故字從登。又諧聲也。 육전(陸佃)의 飛蛾(비아)에 “ 橙(등)은 柚(유)의 屬(속)으로 登(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래서 文字(문자)는 登(등)에 따른다. 또한 諧聲文字(해성문자)이다.” 라고 하였다. 【集解】 志曰︰橙,樹似橘而葉大,其形圓,大於橘而香,皮濃而皺,八月熟。 時珍曰︰橙產南土,其實似柚而香,葉有兩刻,缺如兩段,亦有一種氣臭者。柚乃柑屬之大者,早黃難留;橙乃橘屬之大者,晚熟耐久,皆有大小二種。案︰《事類合璧》雲︰橙樹高枝,葉不甚類橘,亦有刺。其實大者如碗,頗似朱欒,經霜早熟,色黃皮濃,蹙衄如沸,香氣馥鬱。..
2022.07.16 -
대산(大蒜)[본초강목]
대산(大蒜)[본초강목] ^^^^^^^^^^^^^^^^^^^^^^^^^^^^^^^^^^^^^^^^^^^^^^^^^^^^^^^^^^^^^^^^^^^^^^^^^^ 葫 (《別錄》下品) 【釋名】 大蒜(弘景)、葷菜。 弘景曰︰今人謂葫為大蒜,蒜為小蒜,以其氣類相似也。 지금은 一般的(일반적)으로 葫(호)를 大蒜(대산)이라고 하고, 蒜(산)을 小蒜(소산)이라고 한다. 그 氣(기)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時珍曰︰按︰孫愐《唐韻》雲︰張騫使西域,始得大蒜、胡荽。則小蒜乃中土舊有,而大蒜出胡地,故有胡名。二蒜皆屬五葷,故通可稱葷。詳見蒜下。 孫愐(손면)의 唐韻(당운)에 “張騫(장건)이 西域(서역)에 使臣(사신)으로 갔을때 비로소 大蒜(대산), 胡荽(호유)를 가져 왔다.”라고 한 것을 보면 小蒜(소산)은 元來(원래) 中國(중국)에 없었던 것이나,..
2022.07.06 -
구귤(枸橘)[본초강목]
구귤(枸橘)[본초강목] 탱자나무/구귤(枸橘) 탱자나무 학명: Poncirus trifoliata Raf. 분류군: Rutaceae(운향과) 일어: カラタチ 영문: Trifoliate Orange, Hardy Orange 잎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열매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2022.07.06 -
맥문동(麥門冬)[본초강목]
맥문동(麥門冬)[본초강목] ^^^^^^^^^^^^^^^^^^^^^^^^^^^^^^^^^^^^^^^^^^^^^^^^^^^^^^^^^^^^^^^^^^^^ 麥門冬 (《本經》上品) 【釋名】 虋冬 秦名烏韭,齊名愛韭,楚名馬韭,越名羊韭並《別錄》禹韭《吳普》禹餘糧《別錄》忍冬《吳普》忍淩《吳普》不死草《吳普》階前草 弘景曰: 根似禾穬麥,故謂之麥門冬。 根(근)이 穬麥(광맥)과 유사한 것이므로 麥門冬(맥문동)이라고 한다. 時珍曰︰麥須曰虋,此草根似麥而有須,其葉如韭,淩冬不凋,故謂之麥虋冬,及有諸韭、忍冬諸名,俗作門冬,便於字也。可以服食斷穀。故又有餘糧、不死之稱。 《吳普本草》:一名仆壘,一名隨脂。 【集解】 《別錄》曰︰麥門冬葉如韭,冬夏長生。生函穀川穀及堤 肥土石間久廢處。二月、三月、八月、十月採根,陰乾。 普曰︰生山穀肥地,叢生,葉如韭,實青黃。采無時。 弘..
2022.06.27 -
향연(香櫞)[본초강목]
향연(香櫞)[본초강목] 시트론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운향과의 상록관목. 학명/Citrus medica 계/식물 문/속씨식물 강/쌍떡잎식물 목/무환자나무목 원산지/인도 북부 분포지역/지중해 연안과 동남 아시아 크기/높이 약 3.5m 인도 북부 원산이며 동남 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재배하였다. 감귤 중에서 가장 오래된 과일이며 BC 4세기부터 유럽에 알려졌다. 그리스 철학자인 테오프라스토스가 바빌론에서 자라는 것을 보고 《식물지》에 기록하였다고 한다. 높이 약 3.5m이다. 가지에 가시가 난다. 잎은 크고 넓은 타원 모양이며 연한 녹색이다. 약간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없다. 꽃은 자줏빛을 띤 흰색이며 레몬과 비슷한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으로 길이 12∼15㎝ 정도이고 ..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