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옥촉서(玉蜀黍)[본초강목]
옥촉서(玉蜀黍)[본초강목] 옥수수/옥미수(玉米鬚) 옥수수 이명 : [강낭이] [강냉이] 학명 : Zea mays L.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トウモロコシ 영명 : Corn, Indian Corn, Maize 잎 잎은 호생하며 길이 1m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열매 영과는 편구형이고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며 지름 6mm정도로서 보통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것 및 그 밖의 여러 가지가 있다. 모양이 어금니와 비슷하고 옥수수 수염을 옥촉서예라 한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수꽃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큰 원추형의 화서를 형성한다. 화서의 분지에는 각 2개의 꽃이 달린 소수(小穗)가 수상(穗狀)으로 ..
2022.09.05 -
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의이인(薏苡仁)[본초강목] ^^^^^^^^^^^^^^^^^^^^^^^^^^^^^^^^^^^^^^^^^^^^^^^^^^^^^^^^^^^^^^^^^^^^^^^ 薏苡仁 (《本經》上品) 【校正】 據《千金方》,自草部移入此。 【釋名】 解蠡。《本經》)、芑實。《別錄》)、贛米(《別錄》。 陶氏作簳珠,雷氏作米+感米)、回回米(《救荒本草》)、薏珠子(《圖經》)。 時珍曰︰薏苡名義未詳。其葉似蠡實葉而解散,又似芑黍之苗,故有解蠡、芑實之名。 贛米乃其堅硬者,有贛強之意。苗名屋菼。《救荒本草》云︰回回米又呼西番蜀秫。俗名草珠兒。 薏苡(의이)라는 名稱(명칭)의 意味(의미)는 알수 없다. 그 葉(엽)이 蠡實(여실)의 葉(엽)과 흡사해서 解散(해산)하고, 또 芑黍(기서)의 苗(묘)와 닮은 것에서 解蠡(해려), 芑實(기실)이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贛米(..
2022.09.05 -
금귤(金橘)[본초강목]
금귤(金橘)[본초강목] 둥근금감/금귤(金橘) 둥근금감 이명:[동굴귤] [금귤나무(북)] [금귤(중)] 학명: Fortunella japonica (Thunb.) Swingle 분류군: Rutaceae(운향과) 잎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원저이며 길이 4-9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며 엽맥이 뚜렷치 않다. 엽육 중에는 많은 소유점이 있고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다. 열매 열매는 감과로 둥글며 지름 2-3cm이고 10-11월에 오렌지색으로 성숙하고 먹을 수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7-10mm이다. 꽃 꽃은 백색으로서 향기가 있으며 1-2개가 엽액에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3-5mm이며, 꽃받침은 5개, 난형이고 꽃이 핀 후 커지..
2022.08.18 -
나미(糯米)[본초강목]
나미(糯米)[본초강목] ^^^^^^^^^^^^^^^^^^^^^^^^^^^^^^^^^^^^^^^^^^^^^^^^^^^^^^^^^^^^^^^^^^^^^^^^^^^^^ 稻 (《別錄》下品) 【釋名】 稻 、糯 (亦作稬 )。 時珍曰︰稻 稌者,粳、糯之通稱。《物理論》所謂“稻者溉種之總稱”是矣。本草則專 指糯以為稻也。稻從舀,舀象人在臼上治稻之義。 則方言稻音之轉爾。其性粘軟,故謂之糯。 稻(도), 稌(도)는 秔(갱)과 糯(나)의 統稱(통칭)이다. 物理論(물리론)에 소위 “稻(도)라는 것은 溉種(개종)의 總稱(총칭)이다.” 라고 한 것이 이 意味(의미)이다. 本草(본초)에서는 오로지 糯(나)를 指稱(지칭)해서 稻(도)라고 하였다. 稻字(도자)는 舀(요)를 따랐다. 舀字(요자)는 사람이 臼(구) 위에서 稻(도)의 始末(시말)을 정리 ..
2022.08.09 -
모향(茅香)[본초강목]
모향(茅香)[본초강목] 향모/모향(茅香) 향모 이명 : [참기름새] [향기름새] [털향모] 학명 : Hierochloe odorata (L.) P.Beauv. 분류군 : Gramineae(벼과) 일명 : コウボウ(Kobo) 영명 : Vanillagrass. Sweet grass. Holy grass 잎 엽초에는 보통 짧은 털이 있으며 끝에 부드러운 털이 있기도 하다. 화경(花莖)에 달린 잎은 길이 1-4cm이지만 근생엽은 자라서 길이 20-40cm로 되며 안으로 말리거나 편평하고 폭 2-5mm이며 표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짧은 가시털이 있다. 엽설(葉舌)은 막질로 길이 1.5-3mm이며 절두 또는 둔두이고 끝이 갈라지며 털이 없으나 때로는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꽃은..
2022.08.09 -
식수유(食茱萸)[본초강목]
식수유(食茱萸)[본초강목] ^^^^^^^^^^^^^^^^^^^^^^^^^^^^^^^^^^^^^^^^^^^^^^^^^^^^^^^^^^^^^^^^^^^^^ 食茱萸 (《唐本草》) 【校正】 自木部移入此,並入《拾遺》 子。 【釋名】 樧 藙 艾子(圖經) 越椒(《博雅》),檔子(《拾遺》)辣子。 弘景曰︰《禮記》名藙,而俗中呼為樧子,當是不識字也。 禮記(예기)에 藙(의)라 하고 있다. 그런데 俗中(속중)에서 樧子(살자)라 하는데 이것은 藙字(의자)를 몰랐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恭曰︰《爾雅》雲︰椒樧醜梂 。陸機《詩疏》雲︰椒,樧 屬也。並有樧名,陶說誤矣。 爾雅(이아)에 椒樧醜梂(초살추구)라 하였고, 陸機(육기)의 詩疏(시소)에 “椒(초), 樧(살)의 屬(속)이다.” 라고 하였는데 모두 樧(살)이라는 이름이 있는 것이다. 陶氏(도씨)의..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