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6. 18:3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대산(大蒜)[본초강목]
^^^^^^^^^^^^^^^^^^^^^^^^^^^^^^^^^^^^^^^^^^^^^^^^^^^^^^^^^^^^^^^^^^^^^^^^^^
葫
(《別錄》下品)
【釋名】
大蒜(弘景)、葷菜。
弘景曰︰今人謂葫為大蒜,蒜為小蒜,以其氣類相似也。
지금은 一般的(일반적)으로 葫(호)를 大蒜(대산)이라고 하고, 蒜(산)을 小蒜(소산)이라고 한다. 그 氣(기)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時珍曰︰按︰孫愐《唐韻》雲︰張騫使西域,始得大蒜、胡荽。則小蒜乃中土舊有,而大蒜出胡地,故有胡名。二蒜皆屬五葷,故通可稱葷。詳見蒜下。
孫愐(손면)의 唐韻(당운)에 “張騫(장건)이 西域(서역)에 使臣(사신)으로 갔을때 비로소 大蒜(대산), 胡荽(호유)를 가져 왔다.”라고 한 것을 보면 小蒜(소산)은 元來(원래) 中國(중국)에 없었던 것이나, 大蒜(대산)은 胡地(호지)에서 産出(산출)되 것이기 때문에 胡(호)라는 이름으로 일컬었던 것이다. 이 二種(이종)의 蒜(산)은 모두 五葷(오훈)에 屬(속)하기 때문에 葷(훈)으로 通稱(통칭)해도 무방할 것이다. 蒜(산)의 條(조)에 詳記(상기)하고 있다.
【集解】
《別錄》曰︰葫,大蒜也。五月五日采,獨子者入藥尤佳。
保升曰︰葫出梁州者,大徑二寸,最美少辛;涇陽者,皮赤甚辣。
頌曰︰今處處園圃種之。每顆六、七瓣,初種一瓣,當年便成獨子葫,至明年則複其本矣。其花中有實,亦作葫瓣狀而極小,亦可種之。
時珍曰︰大、小二蒜皆八月種。春食苗,夏初食苔,五月食根,秋月收種。北人不可一日無者也。
【氣味】
辛,溫,有毒。久食損人目。
久食(구식)하면 사람의 눈을 損傷(손상)한다.
弘景曰︰性最熏臭,不可食。俗人作齏以啖 肉,損性伐命,莫此之甚。惟可生食,不中煮也。
性(성)이 가장 葷臭(훈취)한 것으로 먹을 수 없는 것이다. 俗間(속간)에서는 一般的(일반적)으로 이것으로 만든 虀(제)로 鱠肉(회육)을 먹는데 性(성)을 損傷(손상)하고 命(명)을 잃는 일이 이보다 심한 것이 없다. 다만 生(생)으로 먹는 것으로 煮(자)해서는 안 된다.
恭曰︰此物煮羹 為饌中之俊,而陶雲不中煮,當是未經試耳。
이것으로 煮(자)한 羹(갱), 臛(학)은 饌中(찬중)의 俊(준)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陶氏(도씨)는 “煮(자)해서는 안 되는 것.” 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陶氏(도씨)가 그 經驗(경험)이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藏器曰︰初食不利目,多食卻明。久食令人血清,使毛發白。
처음으로 먹었을 때에는 눈에 이롭지 않는 것이나, 多食(다식)하면 도리어 밝아진다. 久食(구식)하면 사람의 血(혈)을 淸(청)하게 하고, 毛髮(모발)을 하얗게 한다.
時珍曰︰久食傷肝損眼。故嵇康《養生論》雲︰葷辛害目,此為甚耳。今北人嗜蒜宿炕,故盲瞽最多。陳氏乃雲多食明目,與《別錄》相左,何耶?
久食(구식)하면 傷肝損眼(상간손안)한다. 그래서 嵆康(혜강)의 養生論(양생론)에 “葷辛(훈신)은 눈을 害(해)한다.”라고 하여 이것을 甚(심)한 것으로 치는데 오늘날 北方人(북방인)은 蒜(산)을 즐기고, 宿炕(숙항/온돌취침)하는 데서 盲瞽者(맹고자)가 가장 많다. 陣氏(진씨)가 “多食(다식)하면 눈을 밝게 한다.”라고 한 것은 別錄(별록)과 相異(상이)하다. 그 까닭을 알수 없다.
震亨曰︰大蒜屬火,性熱喜散,快膈,善化肉,暑月人多食之。傷氣之禍,積久自見,養生者忌之。化肉之功,不足論也。
大蒜(대산)은 火(화)에 屬(속)하고, 性(성)은 熱(열)하여 곧잘 散(산)하고 快膈(쾌격)하며, 곧잘 消肉(소육)한다. 暑期(서기)에는 一般的(일반적)으로 많이 먹는다. 그러나 上氣(상기)하는 禍(화)는 오랜 후 자연히 나타난다. 養生(양생)가는 이것을 忌(기)한다. 肉(육)을 消化(소화)하는 功力(공력)도 내세울 만한 것은 없다.
瑞曰︰多食傷肺、傷脾、傷肝膽,生痰助火昏神。
多食(다식)하면 傷肺(상폐), 傷脾(상비)하고, 肝膽(간담)을 損傷(손상)하며, 生痰助火(생담조화)하고 昏神(혼신)한다.
思邈曰︰四月、八月食葫,傷神,令人喘悸,脅肋氣急,口味多爽。多食生葫行房,傷肝氣,令人面無色。生葫合青魚 食,令人腹內生瘡,腸中腫,又成疝瘕,發黃疾。合蜜食,殺人。凡服一切補藥,不可食之。
四月(사월), 八月(팔월)에 胡(호)를 먹으면 傷神(상신)하고, 사람을 喘悸(천계)하게 하며, 味覺(미각)이 錯爽(착상)해진다. 生胡(생호)를 多食(다식)하고 房事(방사)를 하면 肝氣(간기)를 損傷(손상)하고 顔色(안색)이 나빠진다. 生胡(생호)와 靑魚鮓(청어자)를 食合(식합)하면 腹內(복내)에 生瘡(생창)하고, 腸中(장중)이 부으며 또한 疝瘕(산가)되과, 黃疾(황질)을 發(발)한다. 蜜(밀)과 合食(합식)하면 사람을 죽게 한다. 대저 一切(일체)의 補藥(보약)을 服用(복용) 할 때는 이것을 먹어서는 안 된다.
【主治】
歸五臟,散癰腫䘌瘡,除風邪,殺毒瓦斯(《別錄》)。
五臟(오장)에 歸(귀)하고, 癰腫(옹종), 䘌瘡(익창)을 散(산)하며 風邪(풍사)를 除去(제거)하고 毒氣(독기)를 殺(살)한다.
下氣,消穀,化肉(蘇恭)。
下氣(하기)하고, 消穀(소곡)하며, 化肉(화육)한다.
去水惡瘴氣,除風濕,破冷氣,爛痃癖,伏邪惡,宣通溫補,療瘡癬,殺鬼去痛(藏器)。
水惡瘴氣(수악장기)를 除去(제거)하고, 風濕(풍습)을 除(제)하며, 冷氣(냉기)를 破(파)하고, 痃癖(현벽)을 爛(난)하며, 邪惡(사악)을 伏(복)하며, 宣通(선통), 溫補(온보)한다. 瘡癬(창선)을 療(요)하고, 殺鬼去痛(살귀거통)한다.
健脾胃,治腎氣,止霍亂轉筋腹痛,除邪祟,解溫疫,去盅毒,療勞瘧冷風,敷風損冷痛,惡瘡、蛇蟲、溪毒、沙虱,並搗貼之。熟醋浸,經年者良(《日華》)。
脾胃(비위)를 壯健(장건)하게 하고 腎氣(신기)를 治(치)하며, 癨亂轉筋(곽란전근)의 腹痛(복통)을 멎게 하고, 邪祟(사수)를 除(제)하며, 溫疫(온역)을 解(해)하고, 蟲毒(충독)을 去(거)하며, 老學冷風(노학냉풍)을 療(요)한다. 風損冷痛(풍손냉통), 惡瘡(악창), 蛇蟲(사충), 溪毒(계독), 沙蝨(사슬)에 傅(부)하고 모두 塗貼(도첩)한다. 熟醋(숙초)에 浸(침)하여 해를 넘긴 것이 좋다.
溫水搗爛服,治中暑不醒。搗貼足心,止鼻衄不止。和豆豉丸服,治暴下血,通水道(宗奭)。
溫水(온수)로 搗爛(도란)하여 服用(복용)하면 中暑不醒(중서불성)을 治(치)하며, 搗(도)하여 足心(족심)에 貼付(첨부)하면 鼻衄不止(비뉵부지)한 것을 멎게 한다. 豆豉(두시)에 和(화)하여 丸(환)을 만들어 服用(복용)하면 暴下血(폭하혈)을 治(치)하고 水道(수도)를 通(통)한다.
搗汁飲,治吐血心痛。煮汁飲,治角弓反張。同鯽魚丸,治膈氣。同蛤粉丸,治水腫。同黃丹丸,治痢瘧、孕痢。同乳香丸,治腹痛。搗膏敷臍,能達下焦,消水,利大小便。
搗汁(도즙)에 마시면 吐血心痛(토혈심통)을 治(치)한다. 煮汁(자즙)을 마시면 角弓反張(각궁반장)을 治(치)한다. 鯽魚(즉어)와 함께 丸(환)을 만들면 膈氣(격기)를 治(치)한다. 蛤粉(합분)과 함께 丸(환)을 만드면 水腫(수종)을 治(치)한다. 黃丹(황단)과 함께 丸(환)을 만들면 痢瘧(이학), 孕痢(잉리)를 治(치)한다. 硫黃(유황)과 함께 丸(환)을 만들면 腹痛(복통)을 治(치)한다. 搗膏(도고)로 만들어 膈(격)에 敷(부)하면 곧잘 下墜(하추)에 達(달)하여 消水(소수)하고, 大小便(대소변)을 通利(통리)한다.
貼足心,能引熱下行,治泄瀉暴痢及乾濕霍亂,止衄血。納肛中,能通幽門,治關格不通(時珍)。
足心(족심)에 붙이면 곧잘 熱(열)을 끌어 下行(하행)하며, 泄瀉(설사), 暴利(폭리), 乾(건), 濕(습), 霍亂(곽란)을 治(치)하고, 衄血(육혈)을 멎게 한다. 肛門(항문)에 넣으면 곧잘 幽門(유문)을 通(통)하여 關格不能(관격불능)을 治(치)한다.
【發明】
宗奭曰︰葫氣極葷,置臭肉中反能掩臭。凡中暑毒人,爛嚼三、兩瓣,溫水送 之,下咽即知,但禁飲冷水。又鼻衄不止者,搗貼足心,衄止即拭去。
胡(호)는 氣(기)가 매우 葷(훈)하나 臭肉中(취육중)에 넣으면 도리어 곧잘 臭(취)를 덮는다. 대저 暑毒(서독)에 중독된 경우에는 二(이)~三瓣(삼판)을 嚼爛(작란)하여 溫水(온수)로 送下(송하)한다. 咽(인)을 下(하)하면 反應(반응)이 있기 마련이다. 단, 冷水(냉수)를 마시는 것을 禁(금)한다. 또한 鼻衄不止(비뉵부지)한 경우에는 搗(도)하여 足心(족심)에 붙이고, 衄(육)이 멎었을 때 즉시 씻어낸다.
時珍曰︰葫蒜入太陰、陽明,其氣熏烈,能通五臟,達諸竅,去寒濕,辟邪惡,消癰腫,化症積肉食,此其功也。
葫蒜(호산)은 太陰(태음), 陽明(양명)에 들어가고, 그 氣(기)는 薰烈(훈열)하여 곧잘 五臟(오장)에 通(통)하며, 諸竅(제규)에 達(달)하고, 寒濕(한습)을 除去(제거)하며, 邪惡(사악)을 辟(피)하고, 癰腫(옹종)을 解消(해소)하며, 癥積(징적)과 肉食(육식)을 化(화)한다. 이것이 그 功(공)이다.
故王禎稱之雲︰味久不變,可以資生,可以致遠,化臭腐為神奇,調鼎俎,代醯醬。攜之旅塗,則炎風瘴雨不能加,食餲石毒不能害。
그래서 王禎(왕정)은 이것을 稱揚(칭양)하여 “味(미)는 오래도록 變(변)하지 않으므로 生(생)을 돕고, 먼 곳에 보낼 수 있으며, 臭腐(취부)를 化(화)하여 神奇(신기)하게 한다. 鼎俎(정조)르 調(조)함에 있어서는 醯(혜), 醬(장)을 대신하는데 이것을 旅塗(여도)에 攜帶(휴대)할 경우에 炎風(염풍), 瘴雨(장우)도 加(가)할 수 없다. 餲石(애석)의 毒(독)을 食(식)해도 해가 없다.
夏月食之解暑氣。北方食肉面尤不可無。乃食經之上品,日用之多助者也。蓋不知其辛能散氣,熱能助火,傷肺損目,昏神伐性之害,荏苒受之而不悟也。
夏期(하기)에 이것을 먹으면 暑氣(서기)를 解消(해소)한다. 北方(북방)에서는 肉麵(육면)을 먹는데 가장 不可缺(불가결)한 rjtdelk. 즉 食經(식경)의 上品(상품)이며, 日用(일용)의 多助(다조)가 되는 것“ 이라고 하였다. 생각하건대 그 辛(신)은 곧잘 散氣(산기)하고, 熱(열)은 곧잘 助火(조화)하여 傷肺損目(상폐손목)하며, 昏神(혼신)하여 伐性(벌성)하는 害(해)가 있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어느 틈엔가 不知識中(부지식중)에 그 禍(화)를 받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깨닫지 못한다.
嘗有一婦,衄血一晝夜不止,諸治不效。時珍令以蒜敷足心,即時血止,真奇方也。
전에 어떤 婦人(부인)이 一晝夜(일주야)동안 衄血(육혈)이 멎지 않았고, 여러 가지 治療(치료)를 받았으나 主效(주효)하지 않았을 때 내(時珍)가 蒜(산)을 足心(족심)에 傅(부)해 주자 즉시 止血(지혈)도었다. 참으로 奇方(기방)이다.
又葉石林《避暑錄》話雲︰一仆暑月馳馬,忽仆地欲絕。同舍王相教用大蒜及道上熱士各一握研爛,以新汲水一盞和取汁,抉齒灌之,少頃即蘇。相傳徐州市門,忽有版書此方,鹹以為神仙救人雲。
또한 葉石林(엽석림)의 避暑錄(피서록)에 “한 사람의 下人(하인)이 暑期(서기)에 말을 타고 달리던 중 突然(돌연)히 땅에 떨어져 絶命(절명)하려고 했을 때 同僚(동료)인 王相(왕상)이 가르쳐 大蒜(대산) 및 逃路上(도로상)의 熱土(열토) 各(각) 一握(일악)을 硏爛(연란)하고, 新汲水(신급수) 一盞(일잔)으로 和(화)하여 取汁(취즙)하고, 抉齒灌込(결치관입)하자 잠시 후 소생하였다. 그것이 世間(세간)에 傳(전)해졌는데 徐州市中(서주시중)에는 어느 틈엔가 이 方(방)을 奇術(기술)하여 版行(판행)하는 者(자)까지 있었다. 또한 이것을 사용한 者(자)는 모두 神仙救人(신선구인)의 方(방)이라고 하였다.” 라고 하였다.
藏器曰︰昔有患痃癖者,夢人教每日食大蒜三顆。初服遂至瞑眩吐逆,下部如火。後有人教取數片,合皮截卻兩頭吞之,名曰內灸,果獲大效也。
옛날 어떤 痃癖患者(현벽환자)가 꿈에서 어떤 이로부터 每日(매일) 大蒜(대산) 三顆(삼과)를 먹으라는 가르침을 받고 그것을 먹자 처음에는 瞑眩(명현)하고 吐逆(토역)하면서 下部(하부)가 불같이 느껴졌는데 後(후)에 或者(혹자)는 그것은 數片(수편)을 取(취)해서 皮(피)를 合(합)하여 兩頭(양두)로 잘라 삼키는 것으로 內灸(내구)라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었는데 과연 大效(대효)를 얻었다.
頌曰︰《經》言葫散癰腫。按︰李絳《兵部手集方》雲︰毒瘡腫毒,號叫臥眠不得,人不能別者。取獨頭蒜兩顆搗爛,麻油和,濃敷瘡上,乾即易之。屢用救人,無不神效。
經(경)에 “葫(호)는 癰腫(옹종)을 散(산)한다.”라고 하였는데, 李絳兵部手集方(이강병부수집방)에는 “禿瘡(독창), 腫毒(종독)으로 號叫(호규)하여 醉眠(취면)할 수 없고 무슨 病(병)인지 判別(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獨頭蒜(독두산) 二課(이과)를 取(취)하여 搗爛(도란)하고, 麻油(마유)로 和(화)하여 두껍게 瘡上(창상)에 傅(부)하고, 乾燥(건조)하면 바꾼다. 屢次(누차) 使用(사용)하여 救人(구인)하였다. 반드시 神效(신효)가 있는 것이다.
盧坦 侍郎肩上瘡作,連心痛悶,用此便瘥。又李仆射患腦癰久不瘥,盧與此方亦瘥。
盧坦侍郎(노탄시랑)은 肩上(견상)에 生瘡(생창)하고 心(심)으로 連(연)하여 痛悶(통민)하였는데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즉시 瘥(채)하였따. 또한 李仆射(이부사)는 臘癰(납옹)을 앓고 오래도록 不瘥(불채)하였는데 盧侍郎(노시랑)이 異邦(이방)을 주조 그도 역시 瘥(채)하였다.:라고 하였다.
又葛洪《肘後方》雲︰凡背腫,取獨顆蒜橫截一分,安腫頭上,炷艾如梧子大,灸蒜百壯,不覺漸消,多灸為:善。勿令大熱,若覺痛即擎起蒜。蒜焦更換新者,勿令損皮肉。洪嘗苦小腹下患一大腫,灸之亦瘥。數用灸人,無不應效。
또한 葛洪(갈홍)의 肘後方(주후방)에는 “대저 背腫(배종)에는 獨顆蒜(독과산)을 取(취)하여 가로로 두껍게 一分(일분)을 截(절)하고, 그것을 腫(종)의 頭上(두상)에 놓고 炷艾(주애)를 梧子(오자) 크기 정도 그 蒜(산)위에서 百壯(백장)을 灸(구)한다. 어느 틈엔가 점차 消失(소실)된다. 많이 灸(구)하 수록 좋다. 灸(구)할 때 지나치게 뜨겁게 해서는 안 된다. 痛症(통증)을 느낄 경웅네는 그 蒜(산)을 일으키고, 蒜(산)을 焦(초)했을 때에는 다른 새 것으로 바꾼다. 皮肉(피육)을 損傷(손상)하게 해서는 안 된다. 나(洪(홍)은 전에 小腹下(소복하)에 一大腫(일대종)이 發生(발생)하여 苦痛(고통)스러웠는데 그 灸(구)로 역시 瘥(채)하였다. 屢次(누차) 이것을 他人(타인)에게 施行(시행)하였던 바 應效(응효)하지 않는 경우가 없었다.”라고 하였다.
又江寧府紫極宮刻石記其事雲,但是發背及癰疽惡瘡腫核初起有異,皆可灸之,不計壯數。惟腰痛者灸至不痛,不痛者灸至痛極而止。疣贅之類灸之,亦便成痂自脫,其效如神。乃知方書無空言者。但人不能以意詳審,則不得盡應耳。
時珍曰︰按︰李迅《論蒜錢灸法》雲︰治疽之法,著灸勝於用藥。緣熱毒中鬲,上下不通。必得毒瓦斯發泄,然後解散。凡初發一日之內,便用大獨頭蒜切如小錢濃,貼頂上灸之。三壯一易,大概以百壯為率。一使瘡不開大,二使內肉不壞,三瘡口易合,一舉而三得之。但頭及項以上,切不可用此,恐引氣上,更生大禍也。
李迅(이신)의 蒜錢灸法(산전구법)을 論(논)하면서 “癰疽(옹저)가 發生(발생)한 경우에는 灸(구)하는 것이 服藥(복약)하는 것보다는 좋다. 熱毒(열독)이 中鬲(중격)에 의해 上下不通(상하불통)인 경우에는 반드시 毒氣(독기)가 發泄(발설)하게 된 다음 解散(해산)하게 되는 것이다. 發病(발병)후 一日(일일) 以內(이내)인 경우는 大獨頭蒜(대독두산)을 小錢(소전) 정도의 두께로 잘라 頂上(정상)에 붙이고, 三壯(삼장) 灸(구)한 다음 一回(일회) 바꾸고, 대개 百壯(백장)을 標準(표준)으로 한다. 첫째는 瘡(창)을 開大(개대)하지 않게 하고, 둘째는 內肉(내육)을 壞(괴)하지 않게 하며, 셋째는 瘡口(창구)를 合(합)하기 쉽게 하는 등 一擧(일거)에 세 가지 效驗(효험)을 얻게 된다. 단, 頭(두) 및 項(항) 以上(이상)의 部位(부위)에 發生(발생)한 瘡(창)인 경우에는 절대로 이 灸(구)를 使用(사용)해서는 안 된다. 氣(기)를 위로 올려 더욱 큰 禍(화)를 불러일으킬 虞(우)가 있다.“라고 하였다.
又史源記蒜灸之功雲︰母氏背胛作癢,有赤暈半寸,白粒如黍。灸二七壯,其赤隨消。信宿,有赤流下長二寸。舉家歸咎於灸。外醫用膏護之,日增一暈,二十二日,橫斜約六、七寸,痛楚不勝。或言一尼病此,得灸而愈。予奔問之。尼雲︰劇時昏不知人,但聞範奉議坐守灸八百餘壯方蘇,約艾一篩。予亟歸,以炷如銀杏大,灸十數,殊不覺;乃灸四旁赤處,皆痛。每一壯燼則赤隨縮入,三十餘壯,赤暈收退。蓋灸遲則初發處肉已壞,故不痛,直待灸到好肉方痛也。至夜則火 滿背,瘡高阜而熱,夜得安寢矣。至曉如覆一甌,高三、四寸,上有百數小竅,色正黑,調理而安。
蓋高阜者,毒外出也。小竅多,毒不聚也。色正黑,皮肉壞也。非艾火出其毒於壞肉之裡,則內逼五臟而危矣。庸醫敷貼涼冷消散之說,何可信哉?
생각하건대 山(산)처럼 높아진 것은 毒(독)이 밖으로 나왔기 때문이었고, 많은 小竅(소규)는 毒(독)이 모두 보이지 않는 데서 色(색)이 正黑(정흑)인 것은 皮肉(피육)이 壞(괴)했기 때문이었는데 艾火(애화)로 毒(독)을 壞肉(괴육) 속에서 뽑아 내지 않았다면 五臟(오장)에 內迫(내박)하여 危險(위험)에 빠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凡庸醫師(범용의사)의 傳貼藥(전첩약)으로 凉冷(양랭)하게 하여 消散(소산)시킨다는 따위의 說(설)을 어찌 믿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附方】
舊十五,新三十二。
背瘡灸法︰凡覺背上腫硬疼痛,用濕紙貼尋瘡頭。用大蒜十顆,淡豉半合,乳香一錢,細研。隨瘡頭大小,用竹片作圈圍定,填藥於內,二分濃,著艾灸之。痛灸至癢,癢灸至痛,以百壯為率。與蒜錢灸法同功。(《外科精要》)
疔腫惡毒︰用門臼灰一撮羅細,以獨蒜或新蒜苔染灰擦瘡口,候瘡自然 出少汁,再擦,少頃即消散也。雖發背癰腫,亦可擦之。
五色丹毒無常色,及發足踝者︰搗蒜濃敷,乾即易之。(《肘後方》)。
關格脹滿,大小便不通︰獨頭蒜燒熟去皮,綿裹納下部,氣立通也。(《外台秘要》)。
乾濕霍亂轉筋︰用大蒜搗塗足心,立愈。(《永類鈐方》)。
水氣腫滿︰大蒜、田螺、車前子等分。熬膏。攤貼臍中,水從便漩而下,數日即愈。象山民人患水腫,一蔔者傳此,用之有效。(仇遠《稗史》)。
山嵐瘴氣︰生、熟大蒜各七片,共食之。少頃腹鳴,或吐血,或大便泄,即愈。(《攝 生眾妙方》)
瘧疾寒熱《肘後》︰用獨頭蒜炭上燒之,酒服方寸匕。《簡便》︰用桃仁半片,放內關穴上,將獨蒜搗爛罨之,縛住(男左女右),即止。鄰嫗用此治人屢效。
《普濟方》︰端午日,取獨頭蒜煨熟,入礬紅等分,搗丸芡子大,每白湯嚼下一丸。
寒瘧冷痢︰端午日,以獨頭蒜十個,黃丹二錢,搗丸梧子大。每服九丸,長流水下,甚妙。(《普濟方》)。
泄瀉暴痢︰大蒜搗貼兩足心。亦可貼臍中。(《千金方》)。
下痢禁口及小兒泄痢方︰並同上。
腸毒下血︰蒜連丸︰用獨蒜煨搗,和黃連末為丸,日日米湯服之。(《濟生方》)。
暴下血病︰用葫五、七枚,去皮研膏,入豆豉搗,丸梧子大。每米飲下五、六十丸,無不愈者。(寇宗奭《本草衍義》)。鼻血不止,服藥不應︰用蒜一枚,去皮,研如泥,作錢大餅子,濃一豆許。左鼻血出,貼左足心;右鼻血出,貼右足心;兩鼻俱出,俱貼之,立瘥。(《簡要濟眾方》)。
血逆心痛︰生蒜搗汁,服二升即愈。(《千金》)。
鬼疰腹痛,不可忍者︰獨頭蒜一枚,香墨如棗大,搗和醬汁一合,頓服。(《永類鈐方》)。
心腹冷痛︰法醋浸至二、三年蒜,食至數顆,其效如神。(李時珍《瀕湖集簡方》)。
夜啼腹痛面青,冷証也︰用大蒜一枚(煨研,日乾),乳香五分,搗丸芥子大。每服七丸,乳汁下。(危氏《得效方》)。
寒濕氣痛︰端午日收獨蒜,同辰粉搗,塗之。(唐瑤《經驗方》)。
鬼毒風氣︰獨頭蒜一枚,和雄黃、杏仁研為丸,空腹飲下三丸。靜坐少時,當下毛出即安。(孟詵《食療本草》)。
狗咽氣塞,喘息不通,須臾欲絕︰用獨頭蒜一枚,削去兩頭,塞鼻中。
左患塞右,右患塞左。候口中膿血出,立效。(《聖濟》)。
喉痺腫痛︰大蒜塞耳、鼻中,日二易之。(《肘後方》)。
魚骨哽咽︰獨頭蒜塞鼻中,自出。(《十便良方》)。
牙齒疼痛︰獨頭蒜煨乘熱切熨痛處,轉易之。亦主蟲痛。(《外台秘要》)。
眉毛動搖,目不能交睫,喚之不應,但能飲食︰用蒜三兩杵汁,調酒飲,即愈。(夏子益《奇疾方》)。
腦瀉鼻淵︰大蒜切片貼足心,取效止。(《摘玄方》)。
頭風苦痛《易簡方》︰用大蒜研汁 鼻中。《聖濟錄》︰用大蒜七個去皮,先燒紅地,以蒜逐個於地上磨成膏子。卻以僵蠶一兩,去頭足,安蒜上,碗覆一夜,勿令透氣。只取蠶研末, 入鼻內,口中含水,甚效。
小兒驚風《總錄》︰方同上。
小兒臍風︰獨頭蒜切片,安臍上,以艾灸之。口中有蒜氣,即止。(黎居士《簡易方論》)。
小兒氣淋︰宋寧宗為郡王時病淋,日夜凡三百起。國醫罔措。或舉孫琳治之。琳用大蒜、淡豆豉、蒸餅三物搗丸,令以溫水下三十丸。曰︰今日進三服,病當減三之一,明日亦然,三日病除。已而果然,賜以千緡。或問其說。琳曰︰小兒何緣有淋?只是水道不利,三物皆能通利故也。(愛竹翁《談藪》)。
產後中風,角弓反張,不語︰用大蒜三十瓣,以水三升,煮一升,灌之即蘇。(張傑《子母秘錄》)。
金瘡中風,角弓反張︰取蒜一升去心,無灰酒四升煮極爛,並滓服之。須臾得汗即瘥。(《外台秘要》)。
婦人陰腫作癢︰蒜湯洗之,效乃止。(《永類鈐方》)。
陰汗作癢︰大蒜、淡豉。搗丸梧子大,朱砂為衣,每空腹燈心湯下三十丸。
小便淋瀝,或有或無︰用大蒜一個,紙包煨熟,露一夜,空心新水送下。(《朱氏集驗方》)。
小兒白禿團團然︰切蒜日日揩之。(《秘錄》)
閉口椒毒,氣閉欲絕者︰煮蒜食之。(張仲景方)
射工溪毒︰獨頭蒜切三分濃,貼上灸之,令蒜氣射入即瘥。(《梅師方》)。
蜈蠍螫傷︰獨頭蒜摩之,即止。(《梅師》)
蛇虺螫傷︰孟詵曰︰即時嚼蒜封之,六、七易。仍以蒜一升去皮,以乳二升煮熟,空心頓服。明日又進。外以去皮蒜一升搗細,小便一升煮三、四沸,浸損處。
《梅師》︰用獨頭蒜、酸草搗絞敷咬處。
腳肚轉筋︰大蒜擦足心令熱,即安。仍以冷水食一瓣。(《攝生方》)
食蟹中毒︰乾蒜煮汁飲之。(《集驗方》)。
蛇瘕面光,發熱,如火炙人︰飲蒜汁一碗,吐出如蛇狀,即安。(危氏 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0) | 2022.07.27 |
---|---|
등자피(橙子皮)[본초강목] (0) | 2022.07.16 |
구귤(枸橘)[본초강목] (0) | 2022.07.06 |
맥문동(麥門冬)[본초강목] (0) | 2022.06.27 |
향연(香櫞)[본초강목]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