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본초강목)

2024. 8. 7. 18:07[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송이버섯(본초강목)

 

 

 

 

 

 

 

^^^^^^^^^^^^^^^^^^^^^^^^^^^^^^^^^^^^^^^^^^^^^^^^^^^^^^^^^^^^^^^^^^^^^^^

 

香蕈

 

(《日用》)

 

 

釋名

 

時珍曰蕈從覃延也蕈味雋永有覃延之意

 

蕈字(심자)()에 따른다. ()()으로서 ()은 맛이 雋永(준영)하다는 뜻을 含有(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集解

 

瑞曰蕈生桐枳 木上紫色者名香蕈白色者名肉蕈皆因濕氣熏蒸而成生山僻處者有毒殺人

 

穎曰香蕈生深山爛楓木上小於菌而薄黃黑色味甚香美最為佳品

 

時珍曰蕈品不一宋人陳仁玉著菌譜甚詳今錄其略於此云皆氣茁也自商山茹芝而五台天花亦甲群匯仙居介乎天台括蒼之間叢山入天仙靈所宮爰產異菌林居岩棲者左右 之乃藜莧之至腴近或以羞王公登玉食矣

 

 

一曰合蕈又名台蕈生台之韋羌山寒極雪收春氣欲動土松芽活此菌候也其質外褐色肌理玉潔芳香韻味一發釜鬲聞於百步山人曝乾以售香味減於生者他山雖產其柄高而香劣不及矣

 

첫째는 合蕈(합심), 台蕈(태심)이라고 한다. ()韋羌山(위강산)에서 自生(자생)한다. 春氣欲動(춘기욕동)하고 春氣(춘기)發動(발동)하여 흙이 ()해지면 싹이 나온다. 이것이 菌候(균후)d이다. 그것의 ()外部(외부)褐色(갈색)이고 肌理(기리)玉潔(옥결)하다. 芳香(방향), 韻味(운미)가 한번 釜鬲(부격)에서 ()하면 百步(백보) 밖에서도 알 수 있다. 山間人(산간인)暴乾(폭건)하여 파는 것은 香味(향미)()한 것보다 뒤진다. 다른 ()에서도 産出(산출)되나 ()가 높고 ()이 엷어 미치지 못한다.

 

 

 

二曰稠膏蕈生孟溪諸山秋中雨零露浸釀山膏木腴發為菌花生絕頂樹杪初如蕊珠圓瑩類輕酥滴乳淺黃白色味尤甘已乃張傘大若掌味頓渝矣春時亦生而膏液少食之之法下鼎似沸漉起參和眾味而特全於酒切勿攪動則涎腥不可食矣亦可蒸熟致遠

 

 

둘째는 稠膏蕈(조고심), 孟溪(맹계)諸山(제산)에서 自生(자생)한다. 가을에 비가 오고 이슬에 ()하여 山膏(산고), 木腴(목유)를 빚고 ()하여 菌花(균화)가 되어 絶頂(절정)樹杪(수초)에서 나온다. 처음에는 蕊珠(예주)와 같이 둥글고, ()하면서 輕酥(경수), 滴乳(적유)와 같으며, 淺黃白色(천황백색)이면서 ()가 가장 ()하다. 이미 ()을 펴면 크기는 손바닥 같은데 맛은 갑자기 ()한다. 봄에도 나오나 膏液(고액)이 적다. 이것을 먹는 방법은 ()에 넣고 ()한 다음 漉起(녹기)하여 眾味(중미)參和(참화)한다. 특히 술을 ()한다. 절대 攪動(교동)해서는 안 된다. 涎腥(연성)하여 먹을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蒸熟(증숙)해서는 안 된다.

 

 

三曰松蕈生松陰采無時凡物松出無不可愛者

 

셋째는 松蕈(송심)이다. 이것은 松陰(송음)에서 自生(자생)한다. 採取(채취)하는데 一定(일정)時期(시기)는 없다. 대개 ()에서 나오는 것은 ()해서는 안 될 것이 없다.

 

 

四曰麥蕈生溪邊沙壤中味殊美絕類蘑菰

 

五曰玉蕈初寒時生潔皙可愛作羹微韌俗名寒蒲蕈

 

六曰黃蕈叢生山中黃色俗名黃纘蕈又名黃

 

七曰紫蕈赭紫色產山中為下品

 

八曰四季蕈生林木中味甘而肌理粗峭

 

九曰鵝膏蕈生高山中狀類鵝子久而傘開味殊甘滑不減稠膏然與杜蕈相亂不可不慎杜蕈土菌也

 

 

氣味

 

無毒

 

 

 

主治

 

益氣不飢治風破血吳瑞)。

 

益氣不飢(익기불기)하고, 治風破血(치풍파혈)한다.

 

 

松蕈治溲濁不禁食之有效(《菌譜》)。

 

 

松蕈(송심)溲濁不禁(수탁불금)()한다. 이것을 먹는 것이 有效(유효)하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지구엽초(본초강목)  (1) 2024.08.07
구등(본초강목)  (0) 2024.08.07
황약자(본초강목)  (0) 2024.08.06
지(芝)[본초강목]  (1) 2024.08.03
검정깨 [본초강목]  (5)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