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깨 [본초강목]

2024. 7. 18. 17:5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검정깨 [본초강목]

 

 

 

 

^^^^^^^^^^^^^^^^^^^^^^^^^^^^^^^^^^^^^^^^^^^^^^^^^^^^^^^^^^^^^^^^^^^^^^^^^

 

胡麻

 

(《本經上品

 

 

校正

 

今據沈存中寇宗奭二說並入本經青襄及嘉祐新立白油麻胡麻油為一條

 

 

 

釋名

 

巨勝(《本經》)方莖(《吳普》)狗虱(《別錄》)油麻(《食療》)脂麻(《衍義》。

 

俗作芝麻)。葉名青蘘莖名麻䕸亦作秸)。

 

흔히 芝麻(지마)라고 記書(기서)하는 것은 잘못이다. ()靑蘘(청양)이라고 名稱(명칭)하고, ()麻䕸(마개)名稱(명칭)한다. ()()라고도 記書(기서)한다.

 

 

時珍曰沈存中筆談胡麻即今油麻更無他說古者中國止有大麻糞其實為漢使張騫始自大宛得油麻種來故名胡麻以別中國大麻也

 

살펴보면 沈存中(심존중)筆談(필담)에서 胡麻(호마)라는 것은 요즘의 油麻(유마)로서 달리 議論(의논)餘地(여지)도 없다. 古代(고대) 中國(중국)에 있었던 것은 오직 大麻(대마)뿐으로, ()()이라고 하였다. ()나라 때 西域(서역)으로 通使(통사)했던 張騫(장건)이 처음으로 大宛(대완)에서 油麻種(유마종)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것이 胡麻(호마)라고 名稱(명칭)되어 中國(중국)大麻(대마)區別(구별)되었다.” 라고 한다.

 

寇宗奭衍義》,亦據 此釋胡麻故今並入油麻焉巨勝即胡麻之角巨如方勝者非二物也方莖以莖名狗虱以形名油麻脂麻謂其多脂油也

 

寇宗奭(구종석)衍義(연의)에도 역시 이 ()依據(의거)해서 胡麻(호마)註釋(주석)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胡麻(호마)를 이 一條中(일조중)倂入(병입)하였다. 巨勝(거승)이란 胡麻(호마)()巨大(거대)하고 方勝(방승)과 비슷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一種(일종)의 것이 아니다. 方莖(방경)이란 ()에 따라서 부른 名稱(명칭)이고, 狗蝨(구슬)이란 ()에 따라서 名稱(명칭)된 것이다. 油麻(유마), 脂麻(지마)脂油(지유)가 많이 含有(함유)意味(의미)表現(표현)한 것이다.

 

按張揖廣雅》︰胡麻一名藤弘弘亦巨也。《別錄一名鴻藏者乃藤弘之誤也又杜寶拾遺記隋大業四年改胡麻曰交麻

 

張揖(장음)廣雅(광아)胡麻(호마) 一名(일명) 藤弘(등홍)이라 하는데 ()이라는 것은 역시 크다는 意味(의미)이다. 別錄(별록)에는 一名(일명) 鴻藏(홍장)이라고 한 것은 藤弘(등홍)의 잘못이다. 杜寶(두보)拾遺記(습유기)에는 ()大葉(대엽) 四年(사년)胡麻(호마)交麻(교마)라고 부르기도 改正(개정)하였다.” 라고 되어 있다.

 

 

集解

 

別錄胡麻一名巨勝生上黨川澤秋采之巨勝苗也生中原川谷

弘景曰胡麻八穀之中惟此為良純黑者名巨勝巨者大也本生大宛故名胡麻又以莖方者為巨勝圓者為胡麻

恭曰其角作八棱者為巨勝四棱者為胡麻都以烏者為良白者為劣

詵曰沃地種者八棱山田種者四棱土地有異功力則同

巨勝有七棱色赤味酸澀者乃真其八棱者兩頭尖者色紫黑者及烏油麻並呼胡麻誤矣

頌曰胡麻處處種之稀複野生苗梗如麻而葉圓銳光澤嫩時可作蔬道家多食之

 

本經謂胡麻一名巨勝陶弘景以莖之方圓分別蘇恭以角棱多少分別仙方有服胡麻巨勝二法功用小別是皆以為二物矣或云即今油麻本生胡中形體類麻故名胡麻八穀之中最為大勝故名巨勝乃一物二名如此則是一物而有二種如天雄附子之類故葛洪云胡麻中有一葉兩尖者為巨勝。《別錄序例云細麻即胡麻也形扁扁爾其莖方者名巨勝是也今人所用胡麻之葉如荏而狹尖莖高四五尺黃花生子成房如胡麻角而小嫩時可食甚甘滑利大腸皮亦可作布類大麻色黃而脆俗亦謂之黃麻其實黑色如韭子而粒細味苦如膽杵末略無膏油其說各異此乃服食家要藥乃爾差誤豈複得效也

宗奭曰胡麻諸說參差不一止是今人脂麻更無他義以其種來自大宛故名胡麻今胡地所出者皆肥大其紋鵲其色紫黑取油亦多。《嘉 本草白油麻與此乃一物但以色言之比胡地之麻差淡不全白爾今人通呼脂麻故二條治療大同如川大黃上黨人參之類特以其地所宜立名豈可與他土者為二物乎

 

時珍曰胡麻即脂麻也有遲早二種赤三色其莖皆方秋開白花亦有帶紫艷者節節結角長者寸許有四棱六棱者房小而子少七棱八棱者房大而子多皆隨土地肥瘠而然蘇恭以四棱為胡麻八棱為巨勝正謂其房勝巨大也其莖高者三四尺有一莖獨上者角纏而子少有開枝四散者角繁而子多皆因苗之稀稠而然也其葉有本團而末銳者有本團而末分三丫如鴨掌形者葛洪謂一葉兩尖為巨勝者指此蓋不知烏麻白麻皆有二種葉也

 

︰《本經胡麻一名巨勝,《吳普本草一名方莖,《抱朴子五符經並云巨 勝一名胡麻其說甚明至陶弘景始分莖之方圓雷 又以赤麻為巨勝謂烏麻非胡麻。《嘉本草複出白油麻以別胡麻並不知巨勝即胡麻中丫葉巨勝而子肥者故承誤啟疑如此惟孟詵謂四棱八棱為土地肥瘠寇宗奭據沈存中之說斷然以脂麻為胡麻足以証諸家之誤矣又賈思勰齊民要術種收胡麻法即今種收脂麻之法則其為一物尤為可據

今市肆間因莖分方圓之說遂以茺蔚子偽為巨勝以黃麻子及大藜子偽為胡麻誤而又誤 矣茺蔚子長一分許有三棱黃麻子黑如細韭子味苦大藜子狀如壁虱及酸棗核仁味辛甘並無脂油不可不辨梁簡文帝勸醫文有云世誤以灰滌菜子為胡麻則胡麻之訛其來久矣

 

慎微曰俗傳胡麻須夫婦同種則茂盛本事詩胡麻好種無人種正是歸時又不歸

 

 

 

胡麻

 

修治

 

弘景曰服食胡麻取烏色者當九蒸九曝熬搗餌之斷穀長生充飢雖易得而學人未能常服況余藥耶蒸不熟令人發落其性與茯苓相宜俗方用之甚少時以合湯丸爾

 

胡麻(호마)服食(복식)하는 데는 黑色(흑색)인 것을 ()해서 九蒸九暴(구증구폭)한 후 熬搗(오도)하여 먹는다. 穀食(곡식)을 먹지 않고도 長生(장생)하며 ()를 채운다. 참으로 쉬운 것이지만, 學者(학자)들마저 常服(상복)을 할 수 없는데, 하물며 다른 ()()한다는 것은 엄두도 낼 수 없다. 이것을 ()하여 ()하지 않는 것을 먹으면 落髮(낙발)한다. ()茯苓(복령)適合(적합)한 것이다. 俗方(속방)에서는 쓰는 일이 매우 드물어서 ()이나 ()合流(합류)시킬 정도이다.

 

 

 

雷斅曰凡修事以水淘去浮者晒乾以酒拌蒸從巳至亥出攤晒乾臼中舂去粗皮留薄皮以小豆對拌同炒豆熟去豆用之

 

무릇 이것을 修治(수치)하는 데는 水淘(수도)해서 浮上(부상)하는 것은 除外(제외)하고, 曬乾(쇄건)해서 술을 섞고, 오전 열시부터 오후 열시까지 찐 다음에 펼쳐서 曬乾(쇄건)하며, 절구로 찧어서 粗皮(조피)()한 후 薄皮(박피)를 모아 小豆(소두)對等(대등)하게 섞고 함께 볶는다. ()()하면 去豆(거두)하고 사용한다.

 

 

 

氣味

 

無毒

士良曰初食利大小腸久食即否去陳留新。 《鏡源巨勝可煮丹砂

 

初食(초식)했을 때에는 (), 小腸(소장)()하지만, 久食(구식)하면 그것은 없어지고, 新陳代謝(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한다. 鏡源(경원)에서는 巨勝(거승)丹砂(단사)煮得(자득)한다.

 

 

主治

 

傷中虛羸補五內益氣力長肌肉填髓腦久服輕身不老(《本經》)。

 

傷中虛羸(상중허리)五內(오내)()하고, 氣力(기력)()하며, 肌肉(기육)長成(장성)하고, 髓腦(수뇌)()한다. 久服(구복)하면 몸이 가볍게 되고, 老衰(노쇠)하지 않는다.

 

 

 

堅筋骨明耳目耐飢渴延年療金瘡止痛及傷寒溫瘧大吐後虛熱羸困(《別錄》)。

 

筋骨(근골)을 굳게 하고, 耳目(이목)을 밝게 하며, 饑渴(기갈)를 견디고, 千年(천년)을 누린다. 金瘡(금창)에는 止痛(지통)되고, 또한 傷寒(상한), 温疟(온학)大吐(대토) 후의 虛熱(허열)羸困(이곤)()한다.

 

 

 

補中益氣潤養五臟補肺氣止心驚利大小腸耐寒暑逐風濕氣游風頭風治勞氣產後羸困催生落胞細研塗發令長白蜜蒸餌治百病(《日華》)。

 

()()하고, ()()하며, 五臟(오장)潤養(윤양)하고, 肺氣(폐기)()하면, 心驚(심경)이 멎게 되고, (), 小腸(소장)()하며, 寒暑(한서)를 견디고, 風濕氣(풍습기), 游風(유풍), 頭風(두풍)을 내쫓고, 勞氣(노기), 産後(산후)羸困(이곤)()하며, 分娩(분만)催促(최촉)하고, 胞衣(포의)落下(낙하)한다. 細硏(세연)해서 바르면 長髮(장발)이 되고, 白蜜(백밀)()하여 ()하면 百病(백병)()한다.

 

 

 

炒食不生風病風人久食則步履端正語言不謇李廷飛)。

 

炒食(초식)하면 風病(풍병)이 생기지 않고, 風疾(풍질)이 있는 사람이 久食(구식)하면 步行(보행)이 바르게 되면, 言語(언어)가 잘 풀린다.

 

 

生嚼塗小兒頭瘡煎湯浴惡瘡婦人陰瘡大效蘇恭)。

 

생것을 씹어서 小兒(소아)頭瘡(두창)에 바르고, ()에 달여서 惡瘡(악창), 婦人(부인)陰瘡(음창)을 씻으면 커다란 ()가 있다.

 

 

 

 

 

 

 

胡麻油

 

即香油

 

 

弘景曰生榨者良若蒸炒者止可供食及然燈耳不入藥用

 

생것을 쥐어 짜낸 것이 좋다. ()한 것이나 볶은 것은 단지 食用(식용)으로서나 또는 燈火用(등화용)으로 쓰는 것일 뿐 ()에는 넣어서 쓰지 않는다.

 

 

宗奭曰炒熟乘熱壓出油謂之生油但可點照須再煎煉乃為熟油始可食不中點照亦一異也如鐵自火中出而謂之生鐵亦此義也

 

炒熟(초숙)해서 熱乘(열승)하고 壓出(압출)()生油(생유)라 하는데 燈火用(등화용)으로 사용할 뿐이다. 그것을 다시 煎鏈(전련)한 것이 熟油(숙유)로 비로소 食料(식료)가 되지만 이것ㅇ은 燈火用(등화용)으로 쓰지 못한다. 全然(전연) 다른 것이 되고 만다. () 같은 것도 火中(화중)에서 꺼낸 것을 生鐵(생철)이라 하는데 그 ()生油(생유)라고 하는 것도 같은 意味(의미)이다.

 

 

 

時珍曰入藥以烏麻油為上白麻油次之須自榨乃良若市肆者不惟已經蒸炒而又雜之以偽也

 

()投入(투입)하는 것에는 烏麻油(오마유)上位(상위)에 있고, 白麻油(백마유)가 그 다음이다. 自窄(자착)해서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商人(상인)手中(수중)에 있는 것은 이미 驓炒(증초)를 거친 것이 태반이 넘는데다가 雜物(잡물)도 있고, 僞物(위물)도 있다.

 

 

 

氣味

 

微寒無毒

 

 

主治

 

利大腸產婦胞衣不落生油摩瘡腫生禿發(《別錄》)。

 

大腸(대장), 産婦(산부)胞衣(포의)下落(하락)하지 않는 것을 ()한다. 生油(생유)瘡腫(창종)()한다. 禿髮(독발)이 살아난다.

 

 

去頭面游風孫思邈)。

 

頭部(두부), 面部(면부),游風(유풍)()한다.

 

 

 

主天行熱閟腸內結熱服一合取利為度藏器)。

 

天行熱閟(천행열비), 腸內(장내)結熱(결열)主效(주효)가 있다. 一合(일합)()하고, ()하게 되면 限度(한도)로 한다.

 

 

 

主喑啞殺五黃下三焦熱毒氣,通大小腸,治蛔心痛傅一切惡瘡疥癬,殺一切蟲取一合,和雞子兩顆,芒消一兩,攪服,少時,即瀉下熱毒,甚良孟詵)。

 

喑啞(암아)主效(주효)가 있으며, 五黃(오황)()하고, 三焦(삼초)熱毒氣(열독기)를 내리며, 大小腸(대소장)()하고, 蛔心痛(회심통)()한다. 一切(일체)惡瘡(악창), 疥癬(개선)에 바르면 모든 ()()한다. 一合(일합)에다 鷄子(계자) 二個(이개), 芒硝(망초) 一兩(일량)()하고 뒤섞어서 ()하면 잠시 후에 熱毒(열독)瀉下(사하)한다. 甚良(심량)한 것이다.

 

 

陳油煎膏生肌長肉止痛消癰腫補皮裂(《日華》)。

 

陳油(진유)煎膏(전고)()()하고, ()()하며, ()()하고, 癰腫(옹종)()하며, 皮裂(피열)()한다.

 

 

治癰疽熱病蘇頌)。

 

癰疽(옹저), 熱病(열병)()한다.

 

 

 

解熱毒食毒蟲毒殺諸蟲螻蟻時珍)。

 

熱毒(열독), 食毒(식독), 蟲毒(충독)()하고, 諸蟲(제충), () ()()한다.

 

 

 

 

發明

 

 

藏器曰大寒乃常食所用而發冷疾滑精髓發臟腑渴困脾臟令人體重損聲

 

大寒(대한)으로 常食(상식)하면 冷疾(냉질)()하고, 精髓(정수)가 매끄러워지니 臟腑(장부)()發生(발생)해서 脾臟(비장)困難(곤란)하게 하고, 人體(인체)가 무거워지며, ()損傷(손상)하게 된다.

 

 

士良曰有牙齒疾及脾胃疾人切不可吃治飲食物須逐日熬熟用之若經宿即動 氣也

 

牙齒(아치)() 脾胃(비위)()이 있는 사람은 절대로 먹으면 안된다. 飮食物(음식물)調理(조리)하는 데에는 반드시 날마다 熬熟(오숙)하고 써야만 한다. 하룻밤 지난 것을 使用(사용)한다면 ()()한다.

 

 

劉完素曰油生於麻麻溫而油寒同質而異性也

 

()()에서 취하는 것이지만 ()()하고, ()()하다. ()은 같은 것이지만, ()이 다른 것이다.

 

 

震亨曰香油乃炒熟脂麻所出食之美且不致疾若煎煉過與火無異矣

 

香油(향유)炒熟(초숙)肢麻(지마)에서 ()한 것으로 먹으면 美味(미미)하고, 또한 ()을 일으키지 않는다. 만약 이것을 심하게 煎煉(전련)하면 ()와 같은 作用(작용)을 나타낸다.

 

 

時珍曰張華博物志積油滿百石則自能生火陳霆墨談衣絹有油蒸熱則出火星是油與火同性矣用以煎煉食物尤能動火生痰陳氏謂之大寒珍意不然

 

張華(장화)博物志(박물지)百石(백석)이 넘는 大量(대량)()貯藏(저장)하면 自然(자연)發火(발화)한다.”라고 하며, 陳霆(진정)墨談(묵담)에는 衣服(의복)이나 絹物(견물)()가 있는 것을 蒸熱(증열)하게 되면 불똥이 튄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으로 본다면 ()()()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것으로 食物(식물)煎煉(전련)하면 가장 쉽게 ()()하고, ()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陳藏器(진장기)는 이것을 大寒(대한)이라고 하였으나 내 생각에는 그렇지 않다.

 

 

但生用之有潤燥解毒止痛消腫之功似乎寒耳且香油能殺蟲而病發癥者嗜油煉油能自焚而氣盡則反冷此又物之玄理也

 

다만 生用(생용)하면 ()()하고, ()()햐며, ()()하고, ()()하는 功力(공력)이 어느정도는 ()과 흡사한 ()이 있을 뿐이다. 香油(향유)()()()하는 것이지만, 發癥(발징)이 있는 患者(환자)嗜油(기유)하고 煉油(연유)한다면 ()自焚(자분)하지만, 盡氣(진기)되면 오히려 ()해진다. 이것은 또한 ()玄理(현리)인 것이다.

 

 

 

附方舊十新二十七

 

 

發症飲油︰《外台病發症者欲得飲油用油一升入香澤煎之盛置病患頭邊令氣入口鼻勿與飲之疲極眠睡蟲當從口出急以鍛石粉手捉取抽盡即是發也初出如不流水中濃菜形又云治胸喉間覺有症蟲上下嘗聞蔥豉食香此乃發症蟲也二日不食開口而臥以油煎蔥豉令香置口邊蟲當出以物引去之必愈

發瘕腰痛︰《南史宋明帝宮人腰痛牽心發則氣絕徐文伯診曰發瘕也以油灌之吐物如發引之長三尺頭已成蛇能動搖懸之滴盡唯一發爾

吐解蠱毒以清油多飲取吐。(《嶺南方》)。

解河豚毒一時倉卒無藥急以清麻油多灌取吐出毒物即愈。(《衛生易簡方》)。

解砒石毒麻油一碗灌之。(《衛生方》)。

大風熱疾︰《近效方婆羅門僧療大風疾並熱風手足不遂壓丹石熱毒用消石一兩生烏麻油二大升同納鐺中以土墼蓋口紙泥固濟細火煎之初煎氣腥藥熟則香氣發更以生脂麻油二大升和合微煎之以意斟量得所即內不津器中凡大風人用紙屋子坐病患外面燒火發汗日服一大合壯者日二服三七日頭面 瘡皆滅也。(《圖經》)。

傷寒發黃生烏麻油一盞水半盞雞子白一枚和攪服盡。(《外台》)。

小兒發熱不拘風寒飲食時行痘疹並宜用之以蔥涎入香油內手指蘸油摩擦小兒五心頭面項背諸處最能解毒涼肌。(《直指》)。

預解痘毒︰《外台時行暄暖恐發痘瘡用生麻油一小盞水一盞旋旋傾下油 內柳枝攪稠如蜜每服二三蜆殼大人二合臥時服之五服大便快利瘡自不生小兒初生大小便不通用真香油一兩皮硝少許同煎滾冷定徐徐灌入口中咽下即通。(《藺氏經驗方》)。

卒熱心痛生麻油一合服之良。(《肘後方》)。

鼻衄不止紙條蘸真麻油入鼻取嚏即愈有人一夕衄血盈盆用此而效。(《普濟方》)。

胎死腹中清油和蜜等分入湯頓服。(《普濟方》)。

漏胎難產因血乾澀也用清油半兩好蜜一兩同煎數十沸溫服胎滑即下他藥無產腸不收用油五斤煉熟盆盛令婦坐盆中飯久先用皂角去皮研末吹少許

癰疽發背初作即服此使毒瓦斯不內攻以麻油一斤銀器煎二十沸和醇醋二碗分五腫毒初起麻油煎蔥黑色趁熱通手旋塗自消。(《百一選方》)

喉痺腫痛生油一合灌之立愈。(《總錄》)。

丹石毒發發熱者不得食熱物不用火為使但著濃衣暖臥取油一匙含咽戒怒 二去滓合酒每服三合百日氣血充盛也

身面瘡疥方同下

梅花禿癬用清油一碗以小竹子燒火入內煎沸瀝豬膽汁一個和勻剃頭擦之三日即愈勿令日晒。(《普濟方》)。

赤禿髮落香油水等分以銀釵攪和日日擦之髮生乃止。(《普濟方》)。

髮落不生生胡麻油塗之。(《普濟方》)。

令髮長黑生麻油桑葉煎過去滓沐髮令長數尺。(《普濟》)。

滴耳治聾生油日滴三五次候耳中塞出即愈。(《總錄》)。

蚰蜒入耳劉禹錫傳信方》︰用油麻油作煎餅枕臥須臾自出李元淳尚書在河陽日蚰蜒入耳無計可為腦悶有聲至以頭擊門柱奏狀危困因發御藥療之不驗忽有人獻此方乃愈。(《圖經》)。

蜘蛛咬毒香油和鹽摻之。(《普濟方》)。

冬月唇裂香油頻頻抹之。(《相感志》)。

身面白癜以酒服生胡麻油一合一日三服至五斗瘥忌生冷蒜等百日。(《千金》)。

小兒丹毒生麻油塗之。(《千金》)。

打撲傷腫熟麻油和酒飲之以火燒熱地臥之覺即疼腫俱消松陽民相毆用此法經官驗之了無痕跡。(趙葵行營雜錄》)。

虎爪傷人先吃清油一碗仍以油淋洗瘡口。(趙原陽濟急方》)。

毒蜂螫傷清油搽之妙。(同上)。

毒蛇螫傷急飲好清油一二盞解毒然後用藥也。(《濟急良方》)

 

 

 

燈盞殘油

 

主治

 

能吐風痰食毒塗癰腫熱毒又治犬咬傷以灌瘡口甚良時珍)

 

()風痰(풍담), 食毒(식독)()하고, 癰腫(옹종), 熱毒(열독)에 바른다. 狂犬(광견)咬傷(교상)()하는 데에는 瘡口(창구)灌入(관입)시키는 것이 좋다.

 

 

麻枯餅

 

 

時珍曰此乃榨去油麻滓也亦名麻籸荒歲人亦食之可以養魚肥田周禮草人強堅用 之義

 

이것은 ()를 짜낸 후의 麻滓(마재)를 일컫는다. 또한 麻籸(마신)이라고 名稱(명칭)한다. 凶作(흉작)이 된 해에는 보통 사람들도 이것을 먹는다. 養魚(양어)飼糧(사량)이 되고, 田畑(전전)肥料(비료)가 된다. 周禮(주례)草人(초인)强堅(강견)하기 위하여 ()을 쓴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런 意味(의미)이다.

 

 

附方新二

 

揩牙烏須麻枯八兩鹽花三兩用生地黃十斤取汁同入鐺中熬乾以鐵蓋覆之鹽泥泥之取研末日用三次揩畢飲薑茶先從眉起一月皆黑也。(《養老書》)。 疽瘡有蟲生麻油滓貼之綿裹當有蟲出。(《千金方》)。

 

 

青蘘

 

本經上品

 

恭曰自草部移附此

 

 

釋名

 

夢神巨勝苗也生中原山谷。(《別錄》)。

 

夢神(몽신), 巨勝(거승)()인데 中原(중원)山谷(산곡)에서 자란다.

 

氣味

 

無毒

 

 

主治

 

五臟邪氣風寒濕痺益氣補腦髓堅筋骨久服耳目聰明不飢不老增壽(《本經》)。

 

五臟(오장)邪氣(사기), 風寒濕痺(풍한습비), ()()하고, 腦髓(뇌수)()하며, 筋骨(근골)을 굳게 한다. 久服(구복)한다면 耳目(이목)聰明(총명)해지고, ()하지 않으며, 老衰(노쇠)하지 않고, 壽命(수명)을 연장한다.

 

 

主傷暑熱思邈)。

 

傷暑熱(상서열)主效(주효)가 있다.

 

 

 

作湯沐頭去風潤髮滑皮膚益血色(《日華》)。

 

()으로 해서 ()를 씻으면 ()()하고, ()()해지며, 皮膚(피부)가 매끄러워지고, 血色(혈색)이 좋아진다.

 

 

治崩中血凝注者生搗一升熱湯絞汁半升服立愈甄權)。

 

崩中血(붕중혈)凝注(응주)하는 것을 ()하는 데는 ()것을 一升(일승) 搗碎(도쇄)해서 熱湯(열탕)으로 絞汁(교즙)半升(반승)()한다. 금방 ()한다.

 

祛風解毒潤腸又治飛絲入咽喉者嚼之即愈時珍)。

 

 

()()하고, ()()하며, ()()한다. 飛絲(비사)咽喉(인후)에 들어간 것을 ()하는 데에는 이것을 씹으면 ()한다.

 

 

發明

 

宗奭曰青蘘 即油麻葉也以湯浸良久涎出稠黃色婦人用之梳髮日華作湯沐髮之說相符則胡麻之為脂麻無疑

 

 

청양(青蘘), 즉 유마엽(油麻葉)이다. ()에 담가서 얼마 지나면 진해지고 황색(黃色)의 연()이 나온다. 부인(婦人)은 이것으로 발소(髮梳)하지만 일화자(日华子)의 탕()으로 발()을 감는다는 설()과 합치(合致)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호마(胡麻)가 지마(脂麻)라는 것이 확실하다.

 

 

 

弘景曰胡麻葉甚肥滑可沐頭但不知云何服之?《仙方並無用此亦當陰乾為丸散爾

 

胡麻葉(호마엽)은 매우 ()하고 ()해서 머리를 감는 데는 좋은 것이지만, 이것을 ()하려면 어떠한 方法(방법)을 쓰는 것인지 알지 못한다. 仙方(선방)에서는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 이것도 역시 陰乾(음건)해서 (), ()으로 만드는 것이리라.

 

 

時珍曰服食家有種青 作菜食法秋間取巨勝子種畦中如生菜之法候苗出采食滑美不減於葵則本草所著者亦茹蔬之功非入丸散也

 

살펴보면 服食家(복식가)에게는 青蘘(청양)栽培(재배)하여 ()로 먹는 方法(방법)이 있다. 그것은 秋期(추기)巨勝子(거승자)()에 심어서 生菜(생채)栽培(재배)하는 方法(방법)처럼 ()가 나기를 기다려서 먹는 것인데 ()하고 美味(미미)한 것은 ()에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本草(본초)記述(기술)도 역시 茹蔬(여소)로서의 攻果(공과)를 말하는 것이니 ()이나 ()()投入(투입)하는 것이 아니다.

 

 

 

胡麻花

 

 

思邈曰七月採最上標頭者陰乾用之

 

七月(칠월)最上(최상)梢端(초단)의 것을 따서 陰乾(음건)하여 使用(사용)한다.

 

 

藏器曰陰乾漬汁溲麵食至韌滑

 

陰乾(음건)해서 ()하여 ()을 내어 ()을 적셔 먹는다. 매우 韌滑(인활)한 것이다.

 

 

主治

 

生禿髮思邈)。

 

禿髮(독발)을 나게 한다.

 

 

潤大腸人身上生肉疔者擦之即愈時珍)。

 

大腸(대장)()한다. 身體上(신체상)에 생신 肉丁(육정)에는이것을 ()하면 ()한다.

 

 

附方新一

 

眉毛不生烏麻花陰乾為末以烏麻油漬之日塗。(《外台秘要》)。

 

 

 

麻秸

 

主治

 

燒灰入點痣去惡肉方中用時珍)。

 

灰燒(회소)하고, 痣點(지점)l해서 惡肉(악육)()하는 方中(방중)에 넣어서 사용한다.

 

 

附方新二

 

小兒鹽哮脂麻秸瓦內燒存性出火毒研末以淡豆腐蘸食之。(《摘玄方》)。

耳出膿白麻秸刮取一合花胭脂一枚為末綿裹塞耳中。(《聖濟總錄》)。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약자(본초강목)  (0) 2024.08.06
지(芝)[본초강목]  (1) 2024.08.03
참기름(흰 참깨)[본초강목]  (0) 2024.07.18
선화(蟬花)[본초강목]  (0) 2024.07.18
차전자(車前子)[본초강목]  (0) 2024.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