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약자(본초강목)

2024. 8. 6. 23:1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황약자(본초강목)

 

 

 

 

 

 

 

 

 

^^^^^^^^^^^^^^^^^^^^^^^^^^^^^^^^^^^^^^^^^^^^^^^^^^^^^^^^^^^^^^^^^^^^^^^^^^^^^^

 

黃藥子

 

開寶》)

 

 

校正

 

自木部移入此

 

釋名

 

木藥子(《綱目》)、大苦(《綱目》)、赤藥(《圖經》)、紅藥子

 

 

時珍曰沈括筆談本草甘草注引郭璞注爾雅大苦者云即甘草也蔓生葉似薄荷而色青黃莖赤有節

 

심괄(沈括)筆談(필담)本草(본초)甘草注(감초주)郭璞注(곽박주) 爾雅(이아)<(), 大苦(대고)라 한 것은 甘草(감초)를 말한 것이다. 蔓生(만생)으로 ()薄荷(박하)와 같고 ()靑黃(청황), ()赤色(적색)이면서 ()이 있다. ()()對立(대립)하여 자란다.> 라고 引用(인용)하고 있으나 이것은 黃藥(황약)으로 그 ()가 매우 ()하므로 大苦(대고)라고 한 것이다. 甘草(감초)가 아닌 것이다.”라고 하였다.

 

 

集解

 

頌曰黃藥原出嶺南今夔峽州郡及明隴山中亦有之以忠州萬州者為勝藤生高三四尺根及莖似小桑十月採根秦州出者之赤藥葉似蕎麥枝梗赤色七月開白花其根濕時紅赤色曝乾即黃。《本經有藥實根云生蜀郡山谷蘇恭云即藥子也用其核仁疑即黃藥之實但言葉似杏其花紅白色子肉味酸此為不同

 

時珍曰黃藥子今處處人栽之其莖高二三尺柔而有節似藤實非藤也葉大如拳長三寸許亦不似桑其根長者尺許大者圍二三肉色頗似羊蹄根人皆搗其根入染藍缸中云易變色也唐蘇恭言藥實根即藥子宋蘇頌遂以為黃藥之實然今黃藥冬枯春生開碎花無實蘇恭所謂藥子亦不專指黃藥則蘇頌所以言亦未可憑信也

 

 

 

氣味

 

無毒

大明曰治馬心肺熱疾

 

()心肺(심폐)熱疾(열질)()한다.

 

 

主治

 

諸惡腫瘡瘻喉痺蛇犬咬毒研水服之亦含亦塗(《開寶》)。

 

諸惡腫(제악종), 瘡瘻(창루), 喉痺(후비), 蛇犬(사견)咬毒(교독)에는 水硏(수연)하여 服用(복용)하고, 또는 머금고, 또는 바른다.

 

 

 

涼血降火消癭解毒時珍)。

 

凉血降火(양혈강화)하고 消癭解毒(소영해독)한다.

 

 

 

發明

 

頌曰孫思邈千金月令方》︰療忽生癭疾一二年者以萬州黃藥子半斤須緊重者為上如輕虛即是他州者力慢須用加倍

 

 

孫思邈(손사막)千金月令方(천금월령방)忽然(홀연)發生(발생)瘿疾(영질)()~二年(이년)이 된 것을 ()하는 경우에는 s萬州(만주)黄药子(황약자) 半斤(반근)을 사용하는데 ()하고 무거운 것을 上品(상품)으로 친다. 輕虛(경허)한 넋은 萬州(만주) 以外(이외)地方(지방)에서 産出(산출)된 것으로 힘이 緩慢(완만)한 까닭에 倍加(배가)하여 使用(사용)해야 한다.

 

 

 

取無灰酒一斗投藥入中固濟瓶口以糠火燒一複時待酒冷乃開時時飲一杯不令絕酒氣經三五日後常把鏡自照覺消即停飲不爾便令人項細也

 

无灰酒(무회주) 一斗(일두)()하여 ()을 그 안에 넣고 瓶口(병구)固濟(고제)하여 糠火(당화)一伏時(일복시) ()한 다음 술이 식기를 기다려 瓶口(병구)를 열고 時時(시시)一盃(일배)씩 마시며 酒氣(주기)()하지 않도록 한다. ()~五日(오일) 經過(경과)한 후 항상 거울에 얼굴을 비추어 보고 ()()하면 停止(정지)한다. 그대로 계속 마시면 ()()해 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劉禹錫傳信方亦著其效云得之邕州從事張岧療他人目擊有效複試其驗如神其方並同惟小有異處是燒酒候香出外瓶頭有津出即止不待一宿火不可過猛耳

 

劉禹錫(유우석)傳信方(전신방)에는 그 効果(효과)記載(기재)하여 邕州(옹주)從事(종사) 張岧(장초)로부터 ()해진 것이다. 張岧(장초)他人(타인)治療(치료)하고 有效(유효)했던 것을 目擊(목격)하고 또한 自身(자신)實驗(실험)하여 神效(신효)를 거두었다고 한다. ()은 모두 같은데 다만 약간 다른 ()은 이 ()에서는 燒酒(소주)使用(사용)하는 것과 ()이 밖으로 나와 ()外側(외측)dpl 津液(진액)이 나올 정도에서 불을 끈후 一夜(일야)를 넘기지 않았다는 것, 불을 猛烈(맹열)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뿐이다.” 라고 하였다.

 

 

附方舊二新五

 

項下癭氣 黃藥子一斤洗銼酒一斗浸之每日早晚常服一盞忌一切毒物及戒怒仍以線逐日度之乃知其效也。(《斗門方

 

吐血不止藥子一兩水煎服。(《聖惠方》)

咯血吐血︰《百一選方》︰用蒲黃黃藥子等分為末掌中舐之王袞博濟方》︰用黃

鼻衄不止黃藥子為末每服二錢煎淡膠湯下良久以新水調面一匙頭服之。《兵部手集方只以新汲水磨汁一碗頓服。(《簡要濟眾方》)

產後血暈惡物沖心四肢冰冷脣青腹脹昏迷紅藥子一兩頭紅花一錢水二盞婦人油釵二只同煎一盞服大小便俱利血自下也。(《禹講師經驗方》)

天泡水瘡黃藥子末搽之。(《集簡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등(본초강목)  (0) 2024.08.07
송이버섯(본초강목)  (0) 2024.08.07
지(芝)[본초강목]  (1) 2024.08.03
검정깨 [본초강목]  (5) 2024.07.18
참기름(흰 참깨)[본초강목]  (0)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