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7. 20:4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삼지구엽초(본초강목)
^^^^^^^^^^^^^^^^^^^^^^^^^^^^^^^^^^^^^^^^^^^^^^^^^^^^^^^^^^^^^^^^^^^^^^^^^^^
淫羊藿
(《本經》中品)
【釋名】
仙靈脾(《唐本》)、放杖草(《日華》)、棄杖草(《日華》)、千兩金(《日華》)、乾雞筋(《日華》)、黃連祖(《日華》)、三枝九葉草(《圖經》)、剛前(《本經》)。
弘景曰︰服之使人好為陰陽。西川北部有淫羊,一日百遍合,蓋食此藿所致,故名淫羊
사람이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陰陽(음양)이 好(호)하다. 西川(서천)의 北部(북부)에 陰羊(음양)이라는 動物(동물)이 있는데 一日(일일)에 百回(백회)를 交合(교합)한다. 그것들이 藿(곽)을 먹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淫羊藿(음양곽)이라 이름 지어졌다.
時珍曰︰豆葉曰藿,此葉似之,故亦名藿。仙靈脾、千兩金、放杖、剛前,皆言其功力也。雞筋、黃連祖,皆因其根形也。柳子濃文作仙靈毗,入臍曰毗,此物補下,於理尤通。
豆葉(두엽)을 藿(곽)이라 한다. 이것도 葉(엽)이 닮았기 때문에 藿(곽)이라 부른다. 仙靈脾(선령비), 千兩金(천량금), 放杖(방장), 剛前(강전)등의 이름은 한결같이 그 功力(공력)을 表現(표현)한 것이다. 雞筋(계근), 黃連祖(황련조) 등은 모두 그 根(근)을 形容(형용)한 것이다. 柳子厚(유자후)의 文(문)에는 仙靈毗(선령비)라고 쓰여 있으나 사람의 배꼽을 毗(비)라 하고, 이것이 下部(하부)를 補(보)하는 것이니 이러한 意味(의미)에서 본다면 제법 잘 지어진 名稱(명칭)이다.
【集解】
《別錄》曰︰淫羊藿生上郡陽山山谷。
恭曰︰所在皆有。葉形似小豆而圓薄,莖細亦堅,俗名仙靈脾是也。
頌曰︰江東、陝西、泰山、漢中、湖湘間皆有之。莖如粟稈。葉青似杏,葉上有刺。根紫色有須。四月開白花,亦有紫花者,碎小,獨頭子。五月採葉,晒乾。湖湘出者,葉如小豆,枝莖緊細,經冬不凋,根似黃連。關中呼為三枝九葉草,苗高一、二尺許,根葉俱堪用。《蜀本草》言生處不聞水聲者,良。
時珍曰︰生大山中。一根數莖,莖粗如線,高一、二尺。一莖三椏,一椏三葉。葉長二、三寸,如杏葉及豆藿,面光背淡,甚薄而細齒,有微刺。
根葉
【修治】
斅曰︰凡使時呼仙靈脾,以夾刀夾去葉四畔花枝,每一斤用羊脂四兩拌炒,待脂盡為度。
효왈(斅曰), 이것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선령비(仙靈脾)를 채(採)하여 가위로 엽(叶)의 사위(四圍)의 침을 제거하고 한근마다 양지(羊脂) 사량(四兩)을 섞어서 볶는다. 지방이 모두 빠질 때까지 볶는다.
【氣味】
辛,寒,無毒。
普曰︰神農、雷公︰辛;李當之︰小寒。
權曰︰甘,平。可單用。保升曰︰性溫。
時珍曰︰甘、香、微辛,溫。
之才曰︰薯蕷、紫芝為之使,得酒良。
【主治】
陰痿絕傷,莖中痛,利小便,益氣力,強志(《本經》)。
음위(陰痿), 절양(绝阳), 경중통(茎中痛),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고 기력(氣力)을 익장(益壯)하고, 지(志)를 강(强)하게 한다. [본경(本經)]
堅筋骨,消瘰 赤癰,下部有瘡,洗出蟲。丈夫久服,令人無子(《別錄》。
근골(筋骨)을 견실(堅實)하게 해주며, 나력(瘰癧), 적옹(赤痈)을 없앤다. 하부(下部)에 창(瘡)이 있는 것을 치료하고, 충(蟲)을 씻어낸다. 남자(男子)가 구복(九服)하면 무자(無子)하게 된다. [別錄(별록)]
機曰︰無子字誤,當作有子。)丈夫絕陽無子,女人絕陰無子,老人昏耄,中年健忘,一切冷風勞氣,筋骨攣急,四肢不仁,補腰膝,強心力(大明)。
진장기(陳藏器) 무자(無子)는 잘못 기입한 것으로서 유자(有子)자라 써야한다. 남자의 절양(绝阳)으로 무자(無子)한 것, 노인의 혼모(昏耗), 중년의 건망(健忘), 일체(一切)의 냉풍(冷風), 노기(勞氣), 근골(筋骨)의 연급(挛急), 사지(四肢)의 불인(不仁), 요슬(腰膝)을 보(補)하고, 심력(心力)을 강화(强化)한다. [대명(大明)]
【發明】
時珍曰︰淫羊藿,味甘氣香,性溫不寒,能益精氣,乃手足陽明、三焦、命門藥也。真陽不足者,宜之。
이시진(李時珍): 음양곽(淫羊藿)은 미감(味甘)하며, 향기(香氣)롭고 성(性)이 온(溫)하고 한(寒)하지 않으며 능히 정기(精氣)를 익(益)하므로 수족(手足)의 양명(陽明), 삼초(三焦), 명문(命門)의 약(藥)을서 진양부족(真阳不足)인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適合)하다.
【附方】舊三,新五。
仙靈脾酒︰益丈夫興陽,理腰膝冷。用淫羊藿一斤,酒一斗,浸三日,逐時飲之。(《食醫心鏡》)
선령비주(仙灵脾酒) 남성을 익(益)하고, 양(陽)을 흥(興)하게 하고, 요슬(腰膝)의 냉(冷)을 치유(治癒)한다. 음양곽(淫羊藿)한근을 술 일두(一斗)에 삼일간 재워서 때에 맞추어 마신다. [식의심경(食医心镜)]
偏風不遂、皮膚不仁,宜服。仙靈脾酒︰仙靈脾一斤,細銼,生絹袋盛,於不津器中,用無灰酒二斗浸之,重封,春、夏三日、秋、冬五日後,每日暖飲,常令醺然,不得大醉,酒盡再合,無不效驗。合時,切忌雞、犬、見。(《聖惠方》)
편풍불수(偏風不遂) 피부(皮膚)의 불인(不仁)에는 선령비주(仙灵脾酒)를 복용(服用)하는 것이 좋다. 선령비(仙靈脾) 한근을 잘게 다져서 생견대(生绢袋)에 가득히 담고 불진기(不津器)에 넣어서, 무회주(无灰酒) 이승(二升)에 적시고 몇 중(重)으로 봉(封)하여 춘하(春夏)는 삼일 추동(秋冬)은 오일, 후에 매일 따뜻하게 해서 마신다. 그동안은 얼큰하게 취한 상태를 유지한다. 너무 과음하면 안 된다. 술을 모두 마시게 되면 다시 만들어 음용(飮用)한다. 틀림없이 효험을 본다. [성제록(圣济录)]
三焦咳嗽,腹滿不飲食,氣不順。仙靈脾、覆盆子、五味子(炒)各一兩,為末,煉蜜丸梧子大。每薑茶下二十丸。(《聖濟錄》)
目昏生翳︰仙靈脾,生王瓜(即小栝蔞紅色者)等分,為末。每服一錢,茶下,日二服。(《聖濟總錄》)
病後青盲,日近者可治。仙靈脾一兩,淡豆豉一百粒。水一碗半,煎一碗,頓服即瘳。(圣济总录)
병후청맹(病后青盲) 발병(發病)이 초기(初起)이면 치료할수 있다. 선령비(仙靈脾) 일량(一兩), 담두시(淡豆豉) 일백립(一百粒), 물 일완반(一碗半)을 일완(一碗)으로 달여서 돈복(顿服)하면 치유(治癒)된다. (《성제총록圣济总录》)
小兒雀目︰仙靈脾根、晚蠶蛾各半兩,炙甘草、射幹各二錢半,爲末。用羊肝一枚切開,摻藥二錢紮定,以黑豆一合,米泔一盞煮熟,分二次食,以汁送之。【 《普濟方]
痘疹入目︰仙靈脾、威靈仙等分,為末。每服五分,米湯下。(《痘疹便覽》)
牙齒虛痛︰仙灵脾为粗末、煎汤频漱、 大效。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쇄보(본초강목) (0) | 2024.08.16 |
---|---|
남가새(본초강목) (0) | 2024.08.07 |
구등(본초강목) (0) | 2024.08.07 |
송이버섯(본초강목) (0) | 2024.08.07 |
황약자(본초강목) (0) |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