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18. 17:5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검정깨 [본초강목]
^^^^^^^^^^^^^^^^^^^^^^^^^^^^^^^^^^^^^^^^^^^^^^^^^^^^^^^^^^^^^^^^^^^^^^^^^
胡麻
(《本經》上品)
【校正】
今據沈存中、寇宗奭二說,並入《本經》青襄及《嘉祐》新立白油麻、胡麻油為一條。
【釋名】
巨勝(《本經》)方莖(《吳普》)狗虱(《別錄》)油麻(《食療》)脂麻(《衍義》。
俗作芝麻,非)。葉名青蘘。莖名麻䕸(䕸,亦作秸)。
흔히 芝麻(지마)라고 記書(기서)하는 것은 잘못이다. 葉(엽)을 靑蘘(청양)이라고 名稱(명칭)하고, 莖(경)을 麻䕸(마개)라 名稱(명칭)한다. 䕸(개)는 稭(개)라고도 記書(기서)한다.
時珍曰︰按︰沈存中《筆談》云︰胡麻即今油麻,更無他說。古者中國止有大麻,糞其實為。漢使張騫始自大宛得油麻種來,故名胡麻,以別中國大麻也。
살펴보면 沈存中(심존중)의 筆談(필담)에서 “胡麻(호마)라는 것은 요즘의 油麻(유마)로서 달리 議論(의논)할 餘地(여지)도 없다. 古代(고대) 中國(중국)에 있었던 것은 오직 大麻(대마)뿐으로, 그 實(실)을 糞(분)이라고 하였다. 漢(한)나라 때 西域(서역)으로 通使(통사)했던 張騫(장건)이 처음으로 大宛(대완)에서 油麻種(유마종)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것이 胡麻(호마)라고 名稱(명칭)되어 中國(중국)의 大麻(대마)와 區別(구별)되었다.” 라고 한다.
寇宗奭《衍義》,亦據 此釋胡麻,故今並入油麻焉。巨勝即胡麻之角巨如方勝者,非二物也。方莖以莖名,狗虱以形名,油麻、脂麻謂其多脂油也。
寇宗奭(구종석)의 衍義(연의)에도 역시 이 說(설)에 依據(의거)해서 胡麻(호마)로 註釋(주석)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胡麻(호마)를 이 一條中(일조중)에 倂入(병입)하였다. 巨勝(거승)이란 胡麻(호마)의 角(각)이 巨大(거대)하고 方勝(방승)과 비슷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一種(일종)의 것이 아니다. 方莖(방경)이란 莖(경)에 따라서 부른 名稱(명칭)이고, 狗蝨(구슬)이란 形(형)에 따라서 名稱(명칭)된 것이다. 油麻(유마), 脂麻(지마)는 脂油(지유)가 많이 含有(함유)딘 意味(의미)를 表現(표현)한 것이다.
按張揖《廣雅》︰胡麻一名藤弘,弘亦巨也。《別錄》一名鴻藏者,乃藤弘之誤也。又杜寶《拾遺記》云︰隋大業四年,改胡麻曰交麻。
張揖(장음)의 廣雅(광아)에 胡麻(호마) 一名(일명) 藤弘(등홍)이라 하는데 弘(홍)이라는 것은 역시 크다는 意味(의미)이다. 別錄(별록)에는 一名(일명) 鴻藏(홍장)이라고 한 것은 藤弘(등홍)의 잘못이다. 또 杜寶(두보)의 拾遺記(습유기)에는 “隋(수)의 大葉(대엽) 四年(사년)에 胡麻(호마)를 交麻(교마)라고 부르기도 改正(개정)하였다.” 라고 되어 있다.
【集解】
《別錄》曰︰胡麻一名巨勝,生上黨川澤,秋采之。青 ,巨勝苗也,生中原川谷。
弘景曰︰胡麻,八穀之中,惟此為良。純黑者名巨勝。巨者,大也。本生大宛,故名胡麻。又以莖方者為巨勝,圓者為胡麻。
恭曰︰其角作八棱者為巨勝,四棱者為胡麻。都以烏者為良,白者為劣。
詵曰︰沃地種者八棱,山田種者四棱。土地有異,功力則同。
曰︰巨勝有七棱,色赤味酸澀者,乃真。其八棱者,兩頭尖者,色紫黑者,及烏油麻,並呼胡麻,誤矣。
頌曰︰胡麻處處種之,稀複野生。苗梗如麻,而葉圓銳光澤。嫩時可作蔬,道家多食之。
《本經》謂胡麻一名巨勝。陶弘景以莖之方圓分別,蘇恭以角棱多少分別,仙方有服胡麻、巨勝二法,功用小別,是皆以為二物矣。或云即今油麻,本生胡中,形體類麻,故名胡麻。 八穀之中最為大勝,故名巨勝,乃一物二名。如此則是一物而有二種,如天雄、附子之類。 故葛洪云︰胡麻中有一葉兩尖者為巨勝。《別錄》序例云︰細麻即胡麻也,形扁扁爾。其莖方者名巨勝,是也。今人所用胡麻之葉,如荏而狹尖。莖高四、五尺。黃花,生子成房,如胡麻角而小。嫩時可食,甚甘滑,利大腸。皮亦可作布,類大麻,色黃而脆,俗亦謂之黃麻。其實黑色,如韭子而粒細,味苦如膽,杵末略無膏油。其說各異。此乃服食家要藥,乃爾差誤,豈複得效也?
宗奭曰︰胡麻諸說參差不一,止是今人脂麻,更無他義。以其種來自大宛,故名胡麻。 今胡地所出者皆肥大,其紋鵲,其色紫黑,取油亦多。《嘉 本草》白油麻與此乃一物,但以色言之,比胡地之麻差淡,不全白爾。今人通呼脂麻,故二條治療大同。如川大黃、上黨人參之類,特以其地所宜立名,豈可與他土者為二物乎?
時珍曰︰胡麻即脂麻也。有遲、早二種,黑、白、赤三色,其莖皆方。秋開白花,亦有帶紫艷者。節節結角,長者寸許。有四棱、六棱者,房小而子少;七棱、八棱者,房大而子多,皆隨土地肥瘠而然。蘇恭以四棱為胡麻,八棱為巨勝,正謂其房勝巨大也。其莖高者三、四尺,有一莖獨上者,角纏而子少;有開枝四散者,角繁而子多,皆因苗之稀稠而然也。其葉有本團而末銳者。有本團而末分三丫如鴨掌形者,葛洪謂一葉兩尖為巨勝者指此。蓋不知烏麻、白麻,皆有二種葉也。
按︰《本經》胡麻一名巨勝,《吳普本草》一名方莖,《抱朴子》及《五符經》並云巨 勝一名胡麻,其說甚明。至陶弘景始分莖之方圓。雷 又以赤麻為巨勝,謂烏麻非胡麻。《嘉本草》複出白油麻,以別胡麻。並不知巨勝即胡麻中丫葉巨勝而子肥者,故承誤啟疑如此。惟孟詵謂四棱、八棱為土地肥瘠。寇宗奭據沈存中之說,斷然以脂麻為胡麻,足以証諸家之誤矣。又賈思勰《齊民要術》種收胡麻法,即今種收脂麻之法,則其為一物尤為可據。
今市肆間,因莖分方圓之說,遂以茺蔚子偽為巨勝,以黃麻子及大藜子偽為胡麻,誤而又誤 矣。茺蔚子長一分許,有三棱。黃麻子黑如細韭子,味苦。大藜子狀如壁虱及酸棗核仁,味辛甘,並無脂油,不可不辨。梁簡文帝《勸醫文》有云︰世誤以灰滌菜子為胡麻。則胡麻之訛,其來久矣。
慎微曰︰俗傳胡麻須夫婦同種則茂盛。故《本事詩》云︰胡麻好種無人種,正是歸時又不歸。
胡麻
【修治】
弘景曰︰服食胡麻,取烏色者,當九蒸九曝,熬搗餌之。斷穀,長生,充飢。 雖易得,而學人未能常服,況余藥耶?蒸不熟,令人發落。其性與茯苓相宜。俗方用之甚少,時以合湯丸爾。
胡麻(호마)를 服食(복식)하는 데는 黑色(흑색)인 것을 取(취)해서 九蒸九暴(구증구폭)한 후 熬搗(오도)하여 먹는다. 穀食(곡식)을 먹지 않고도 長生(장생)하며 飢(기)를 채운다. 참으로 쉬운 것이지만, 學者(학자)들마저 常服(상복)을 할 수 없는데, 하물며 다른 藥(약)을 服(복)한다는 것은 엄두도 낼 수 없다. 이것을 蒸(증)하여 熟(숙)하지 않는 것을 먹으면 落髮(낙발)한다. 그 性(성)은 茯苓(복령)과 適合(적합)한 것이다. 俗方(속방)에서는 쓰는 일이 매우 드물어서 湯(탕)이나 丸(환)에 合流(합류)시킬 정도이다.
雷斅曰︰凡修事以水淘去浮者,晒乾,以酒拌蒸,從巳至亥,出攤晒乾。臼中舂去粗皮,留薄皮。以小豆對拌,同炒,豆熟,去豆用之。
무릇 이것을 修治(수치)하는 데는 水淘(수도)해서 浮上(부상)하는 것은 除外(제외)하고, 曬乾(쇄건)해서 술을 섞고, 오전 열시부터 오후 열시까지 찐 다음에 펼쳐서 曬乾(쇄건)하며, 절구로 찧어서 粗皮(조피)를 去(거)한 후 薄皮(박피)를 모아 小豆(소두)와 對等(대등)하게 섞고 함께 볶는다. 豆(두)가 熟(숙)하면 去豆(거두)하고 사용한다.
【氣味】
甘,平,無毒。
士良曰︰初食利大小腸,久食即否,去陳留新。 《鏡源》曰︰巨勝可煮丹砂。
初食(초식)했을 때에는 大(대), 小腸(소장)을 利(이)하지만, 久食(구식)하면 그것은 없어지고, 新陳代謝(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한다. 鏡源(경원)에서는 巨勝(거승)은 丹砂(단사)를 煮得(자득)한다.
【主治】
傷中虛羸,補五內,益氣力,長肌肉,填髓腦。久服,輕身不老(《本經》)。
傷中虛羸(상중허리)에 五內(오내)를 補(보)하고, 氣力(기력)을 益(익)하며, 肌肉(기육)을 長成(장성)하고, 髓腦(수뇌)를 塡(전)한다. 久服(구복)하면 몸이 가볍게 되고, 老衰(노쇠)하지 않는다.
堅筋骨,明耳目,耐飢渴,延年。療金瘡止痛,及傷寒溫瘧大吐後,虛熱羸困(《別錄》)。
筋骨(근골)을 굳게 하고, 耳目(이목)을 밝게 하며, 饑渴(기갈)를 견디고, 千年(천년)을 누린다. 金瘡(금창)에는 止痛(지통)되고, 또한 傷寒(상한), 温疟(온학)의 大吐(대토) 후의 虛熱(허열)과 羸困(이곤)을 療(요)한다.
補中益氣,潤養五臟,補肺氣,止心驚,利大小腸,耐寒暑,逐風濕氣、游風、頭風,治勞氣,產後羸困,催生落胞。細研塗發令長。白蜜蒸餌,治百病(《日華》)。
中(중)을 補(보)하고, 氣(기)를 益(익)하며, 五臟(오장)을 潤養(윤양)하고, 肺氣(폐기)를 補(보)하면, 心驚(심경)이 멎게 되고, 大(대), 小腸(소장)을 利(이)하며, 寒暑(한서)를 견디고, 風濕氣(풍습기), 游風(유풍), 頭風(두풍)을 내쫓고, 勞氣(노기), 産後(산후)의 羸困(이곤)을 治(치)하며, 分娩(분만)을 催促(최촉)하고, 胞衣(포의)를 落下(낙하)한다. 細硏(세연)해서 바르면 長髮(장발)이 되고, 白蜜(백밀)로 蒸(증)하여 餌(이)하면 百病(백병)을 治(치)한다.
炒食,不生風。 病風人久食,則步履端正,語言不謇(李廷飛)。
炒食(초식)하면 風病(풍병)이 생기지 않고, 風疾(풍질)이 있는 사람이 久食(구식)하면 步行(보행)이 바르게 되면, 言語(언어)가 잘 풀린다.
生嚼塗小兒頭瘡,煎湯浴惡瘡、婦人陰瘡,大效(蘇恭)。
생것을 씹어서 小兒(소아)의 頭瘡(두창)에 바르고, 湯(탕)에 달여서 惡瘡(악창), 婦人(부인)의 陰瘡(음창)을 씻으면 커다란 效(효)가 있다.
胡麻油
(即香油)
弘景曰︰生榨者良。若蒸炒者,止可供食及然燈耳,不入藥用。
생것을 쥐어 짜낸 것이 좋다. 蒸(증)한 것이나 볶은 것은 단지 食用(식용)으로서나 또는 燈火用(등화용)으로 쓰는 것일 뿐 藥(약)에는 넣어서 쓰지 않는다.
宗奭曰︰炒熟乘熱壓出油,謂之生油,但可點照;須再煎煉,乃為熟油,始可食,不中點照,亦一異也。如鐵自火中出而謂之生鐵,亦此義也。
炒熟(초숙)해서 熱乘(열승)하고 壓出(압출)한 油(유)를 生油(생유)라 하는데 燈火用(등화용)으로 사용할 뿐이다. 그것을 다시 煎鏈(전련)한 것이 熟油(숙유)로 비로소 食料(식료)가 되지만 이것ㅇ은 燈火用(등화용)으로 쓰지 못한다. 全然(전연) 다른 것이 되고 만다. 鐵(철) 같은 것도 火中(화중)에서 꺼낸 것을 生鐵(생철)이라 하는데 그 油(유)를 生油(생유)라고 하는 것도 같은 意味(의미)이다.
時珍曰︰入藥以烏麻油為上,白麻油次之,須自榨乃良。若市肆者,不惟已經蒸炒,而又雜之以偽也。
藥(약)에 投入(투입)하는 것에는 烏麻油(오마유)가 上位(상위)에 있고, 白麻油(백마유)가 그 다음이다. 自窄(자착)해서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商人(상인)의 手中(수중)에 있는 것은 이미 驓炒(증초)를 거친 것이 태반이 넘는데다가 雜物(잡물)도 있고, 僞物(위물)도 있다.
【氣味】
甘,微寒,無毒。
【主治】
利大腸,產婦胞衣不落。生油摩瘡腫,生禿發(《別錄》)。
大腸(대장), 産婦(산부)의 胞衣(포의)가 下落(하락)하지 않는 것을 利(이)한다. 生油(생유)를 瘡腫(창종)에 摩(마)한다. 禿髮(독발)이 살아난다.
去頭面游風(孫思邈)。
頭部(두부), 面部(면부),의 游風(유풍)을 去(거)한다.
主天行熱閟,腸內結熱。服一合,取利為度(藏器)。
天行熱閟(천행열비), 腸內(장내)의 結熱(결열)에 主效(주효)가 있다. 一合(일합)을 服(복)하고, 通(통)하게 되면 限度(한도)로 한다.
主喑啞,殺五黃,下三焦熱毒氣,通大小腸,治蛔心痛。傅一切惡瘡疥癬,殺一切蟲。取一合,和雞子兩顆,芒消一兩,攪服,少時,即瀉下熱毒,甚良(孟詵)。
喑啞(암아)에 主效(주효)가 있으며, 五黃(오황)을 殺(살)하고, 三焦(삼초)의 熱毒氣(열독기)를 내리며, 大小腸(대소장)을 通(통)하고, 蛔心痛(회심통)을 治(치)한다. 一切(일체)의 惡瘡(악창), 疥癬(개선)에 바르면 모든 蟲(충)을 殺(살)한다. 一合(일합)에다 鷄子(계자) 二個(이개), 芒硝(망초) 一兩(일량)을 和(화)하고 뒤섞어서 服(복)하면 잠시 후에 熱毒(열독)을 瀉下(사하)한다. 甚良(심량)한 것이다.
陳油︰煎膏,生肌長肉止痛,消癰腫,補皮裂(《日華》)。
陳油(진유)의 煎膏(전고)는 肌(기)를 生(생)하고, 肉(육)을 長(장)하며, 痛(통)을 止(지)하고, 癰腫(옹종)을 消(소)하며, 皮裂(피열)을 補(보)한다.
治癰疽熱病(蘇頌)。
癰疽(옹저), 熱病(열병)을 治(치)한다.
解熱毒、食毒、蟲毒,殺諸蟲螻蟻(時珍)。
熱毒(열독), 食毒(식독), 蟲毒(충독)을 解(해)하고, 諸蟲(제충), 螻(루) 蟻(의)를 殺(살)한다.
【發明】
藏器曰︰大寒,乃常食所用。而發冷疾,滑精髓,發臟腑渴,困脾臟。令人體重損聲。
大寒(대한)으로 常食(상식)하면 冷疾(냉질)을 發(발)하고, 精髓(정수)가 매끄러워지니 臟腑(장부)에 渴(갈)을 發生(발생)해서 脾臟(비장)을 困難(곤란)하게 하고, 人體(인체)가 무거워지며, 聲(성)을 損傷(손상)하게 된다.
士良曰︰有牙齒疾及脾胃疾人,切不可吃。治飲食物,須逐日熬熟用之。若經宿,即動 氣也。
牙齒(아치)의 疾(질) 및 脾胃(비위)의 疾(질)이 있는 사람은 절대로 먹으면 안된다. 飮食物(음식물)을 調理(조리)하는 데에는 반드시 날마다 熬熟(오숙)하고 써야만 한다. 하룻밤 지난 것을 使用(사용)한다면 氣(기)를 動(동)한다.
劉完素曰︰油生於麻,麻溫而油寒,同質而異性也。
油(유)는 麻(마)에서 취하는 것이지만 麻(마)는 溫(온)하고, 油(유)는 寒(한)하다. 質(질)은 같은 것이지만, 性(성)이 다른 것이다.
震亨曰︰香油乃炒熟脂麻所出,食之美,且不致疾。若煎煉過,與火無異矣。
香油(향유)는 炒熟(초숙)한 肢麻(지마)에서 取(취)한 것으로 먹으면 美味(미미)하고, 또한 疾(질)을 일으키지 않는다. 만약 이것을 심하게 煎煉(전련)하면 火(화)와 같은 作用(작용)을 나타낸다.
時珍曰︰張華《博物志》言︰積油滿百石,則自能生火。陳霆《墨談》言︰衣絹有油,蒸熱則出火星。是油與火同性矣。用以煎煉食物,尤能動火生痰。陳氏謂之大寒,珍意不然。
張華(장화)의 博物志(박물지)에 “百石(백석)이 넘는 大量(대량)의 油(유)를 貯藏(저장)하면 自然(자연)히 發火(발화)한다.”라고 하며, 陳霆(진정)의 墨談(묵담)에는 “衣服(의복)이나 絹物(견물)에 油(유)가 있는 것을 蒸熱(증열)하게 되면 불똥이 튄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으로 본다면 油(유)와 火(화)는 性(성)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것으로 食物(식물)을 煎煉(전련)하면 가장 쉽게 火(화)를 動(동)하고, 痰(담)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陳藏器(진장기)는 이것을 大寒(대한)이라고 하였으나 내 생각에는 그렇지 않다.
但生用之,有潤燥解毒、止痛消腫之功,似乎寒耳。且香油能殺蟲,而病發癥者嗜油;煉油能自焚,而氣盡則反冷。此又物之玄理也。
다만 生用(생용)하면 燥(조)를 潤(윤)하고, 毒(독)을 解(해)햐며, 痛(통)을 止(지)하고, 腫(종)을 消(소)하는 功力(공력)이 어느정도는 寒(한)과 흡사한 點(점)이 있을 뿐이다. 또 香油(향유)는 能(능)히 蟲(충)을 殺(살)하는 것이지만, 發癥(발징)이 있는 患者(환자)는 嗜油(기유)하고 煉油(연유)한다면 能(능)히 自焚(자분)하지만, 盡氣(진기)되면 오히려 冷(냉)해진다. 이것은 또한 物(물)의 玄理(현리)인 것이다.
【附方】舊十,新二十七。
發症飲油︰《外台》云︰病發症者,欲得飲油。用油一升,入香澤煎之。盛置病患頭邊,令氣入口鼻,勿與飲之。疲極眠睡,蟲當從口出。急以鍛石粉手捉取抽盡,即是發也。初出,如不流水中濃菜形。又云︰治胸喉間覺有症蟲上下,嘗聞蔥、豉食香,此乃發症蟲也。二日不食,開口而臥。以油煎蔥、豉令香,置口邊。蟲當出,以物引去之,必愈。
發瘕腰痛︰《南史》云︰宋明帝宮人腰痛牽心,發則氣絕。徐文伯診曰︰發瘕也。以油灌之。吐物如發,引之長三尺,頭已成蛇,能動搖,懸之滴盡,唯一發爾。
吐解蠱毒︰以清油多飲,取吐。(《嶺南方》)。
解河豚毒︰一時倉卒無藥。急以清麻油多灌,取吐出毒物,即愈。(《衛生易簡方》)。
解砒石毒︰麻油一碗,灌之。(《衛生方》)。
大風熱疾︰《近效方》云︰婆羅門僧療大風疾,並熱風手足不遂,壓丹石熱毒。用消石一兩,生烏麻油二大升,同納鐺中。以土墼蓋口,紙泥固濟,細火煎之。初煎氣腥,藥熟則香氣發。更以生脂麻油二大升和合,微煎之。以意斟量得所,即內不津器中。凡大風人,用紙屋子坐病患,外面燒火發汗,日服一大合,壯者日二服。三七日,頭面 瘡皆滅也。(《圖經》)。
傷寒發黃︰生烏麻油一盞,水半盞,雞子白一枚,和攪服盡。(《外台》)。
小兒發熱︰不拘風寒飲食時行痘疹,並宜用之︰以蔥涎入香油內,手指蘸油摩擦小兒五心、頭面、項背諸處,最能解毒涼肌。(《直指》)。
預解痘毒︰《外台》云︰時行暄暖,恐發痘瘡。用生麻油一小盞,水一盞,旋旋傾下油 內,柳枝攪稠如蜜。每服二、三蜆殼,大人二合,臥時服之。三、五服,大便快利,瘡自不生小兒初生大小便不通。用真香油一兩,皮硝少許,同煎滾。冷定,徐徐灌入口中,咽下即通。(《藺氏經驗方》)。
卒熱心痛︰生麻油一合,服之良。(《肘後方》)。
鼻衄不止︰紙條蘸真麻油入鼻取嚏,即愈。有人一夕衄血盈盆,用此而效。(《普濟方》)。
胎死腹中︰清油和蜜等分,入湯頓服。(《普濟方》)。
漏胎難產︰因血乾澀也。用清油半兩,好蜜一兩,同煎數十沸,溫服,胎滑即下。他藥無產腸不收︰用油五斤,煉熟盆盛。令婦坐盆中,飯久。先用皂角(炙,去皮)研末。吹少許
癰疽發背,初作即服此,使毒瓦斯不內攻︰以麻油一斤,銀器煎二十沸,和醇醋二碗。分五腫毒初起︰麻油煎蔥黑色,趁熱通手旋塗,自消。(《百一選方》)
喉痺腫痛生油一合灌之,立愈。(《總錄》)。
丹石毒發,發熱者︰不得食熱物,不用火為使。但著濃衣暖臥,取油一匙,含咽。戒怒 二去滓。合酒每服三合,百日氣血充盛也。
身面瘡疥︰方同下。
梅花禿癬︰用清油一碗,以小竹子燒火入內煎沸,瀝豬膽汁一個,和勻,剃頭擦之,二、三日即愈。勿令日晒。(《普濟方》)。
赤禿髮落︰香油、水等分,以銀釵攪和。日日擦之,髮生乃止。(《普濟方》)。
髮落不生︰生胡麻油塗之。(《普濟方》)。
令髮長黑︰生麻油、桑葉煎過,去滓。沐髮,令長數尺。(《普濟》)。
滴耳治聾︰生油日滴三、五次。候耳中塞出,即愈。(《總錄》)。
蚰蜒入耳︰劉禹錫《傳信方》︰用油麻油作煎餅,枕臥,須臾自出。李元淳尚書在河陽日,蚰蜒入耳,無計可為。腦悶有聲,至以頭擊門柱。奏狀危困,因發御藥療之,不驗。忽有人獻此方,乃愈。(《圖經》)。
蜘蛛咬毒︰香油和鹽,摻之。(《普濟方》)。
冬月唇裂︰香油頻頻抹之。(《相感志》)。
身面白癜︰以酒服生胡麻油一合,一日三服,至五斗瘥。忌生冷、豬、雞、魚、蒜等百日。(《千金》)。
小兒丹毒︰生麻油塗之。(《千金》)。
打撲傷腫︰熟麻油和酒飲之,以火燒熱地臥之,覺即疼腫俱消。松陽民相毆,用此法,經官驗之,了無痕跡。(趙葵《行營雜錄》)。
虎爪傷人︰先吃清油一碗,仍以油淋洗瘡口。(趙原陽《濟急方》)。
毒蜂螫傷︰清油搽之妙。(同上)。
毒蛇螫傷︰急飲好清油一二盞解毒,然後用藥也。(《濟急良方》)
燈盞殘油
【主治】
能吐風痰食毒,塗癰腫熱毒。又治犬咬傷,以灌瘡口,甚良(時珍)
能(능)히 風痰(풍담), 食毒(식독)을 吐(토)하고, 癰腫(옹종), 熱毒(열독)에 바른다. 또 狂犬(광견)의 咬傷(교상)을 治(치)하는 데에는 瘡口(창구)에 灌入(관입)시키는 것이 좋다.
麻枯餅
時珍曰︰此乃榨去油麻滓也。亦名麻籸。荒歲人亦食之。可以養魚肥田,亦《周禮》草人強堅用 之義。
이것은 油(유)를 짜낸 후의 麻滓(마재)를 일컫는다. 또한 麻籸(마신)이라고 名稱(명칭)한다. 凶作(흉작)이 된 해에는 보통 사람들도 이것을 먹는다. 養魚(양어)의 飼糧(사량)이 되고, 田畑(전전)의 肥料(비료)가 된다. 周禮(주례)에 “草人(초인)은 强堅(강견)하기 위하여 糞(분)을 쓴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런 意味(의미)이다.
【附方】新二。
揩牙烏須︰麻枯八兩,鹽花三兩,用生地黃十斤取汁,同入鐺中熬乾。以鐵蓋覆之,鹽泥泥之, 赤,取研末。日用三次,揩畢,飲薑茶。先從眉起,一月皆黑也。(《養老書》)。 疽瘡有蟲︰生麻油滓貼之,綿裹,當有蟲出。(《千金方》)。
青蘘
《本經》上品)
恭曰︰自草部移附此。
【釋名】
夢神,巨勝苗也。生中原山谷。(《別錄》)。
夢神(몽신), 巨勝(거승)의 苗(묘)인데 中原(중원)의 山谷(산곡)에서 자란다.
【氣味】
甘,寒,無毒。
【主治】
五臟邪氣,風寒濕痺,益氣,補腦髓,堅筋骨。久服,耳目聰明,不飢不老增壽(《本經》)。
五臟(오장)의 邪氣(사기), 風寒濕痺(풍한습비), 氣(기)를 益(익)하고, 腦髓(뇌수)를 補(보)하며, 筋骨(근골)을 굳게 한다. 久服(구복)한다면 耳目(이목)이 聰明(총명)해지고, 饑(기)하지 않으며, 老衰(노쇠)하지 않고, 壽命(수명)을 연장한다.
主傷暑熱(思邈)。
傷暑熱(상서열)에 主效(주효)가 있다.
作湯沐頭,去風潤髮,滑皮膚,益血色(《日華》)。
湯(탕)으로 해서 頭(두)를 씻으면 風(풍)을 去(거)하고, 髮(발)이 潤(윤)해지며, 皮膚(피부)가 매끄러워지고, 血色(혈색)이 좋아진다.
治崩中血凝注者,生搗一升,熱湯絞汁半升服,立愈(甄權)。
崩中血(붕중혈)이 凝注(응주)하는 것을 治(치)하는 데는 生(생)것을 一升(일승) 搗碎(도쇄)해서 熱湯(열탕)으로 絞汁(교즙)한 半升(반승)을 服(복)한다. 금방 愈(유)한다.
祛風解毒潤腸。又治飛絲入咽喉者,嚼之即愈(時珍)。
風(풍)을 去(거)하고, 毒(독)을 解(해)하며, 腸(장)을 潤(윤)한다. 또 飛絲(비사)가 咽喉(인후)에 들어간 것을 治(치)하는 데에는 이것을 씹으면 愈(유)한다.
【發明】
宗奭曰︰青蘘 即油麻葉也。以湯浸,良久涎出,稠黃色,婦人用之梳髮,與《日華》作湯沐髮之說相符,則胡麻之為脂麻無疑。
청양(青蘘), 즉 유마엽(油麻葉)이다. 탕(湯)에 담가서 얼마 지나면 진해지고 황색(黃色)의 연(涎)이 나온다. 부인(婦人)은 이것으로 발소(髮梳)하지만 일화자(日华子)의 탕(湯)으로 발(髮)을 감는다는 설(說)과 합치(合致)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호마(胡麻)가 지마(脂麻)라는 것이 확실하다.
弘景曰︰胡麻葉甚肥滑,可沐頭。但不知云何服之?《仙方》並無用此,亦當陰乾為丸散爾。
胡麻葉(호마엽)은 매우 肥(비)하고 滑(활)해서 머리를 감는 데는 좋은 것이지만, 이것을 服(복)하려면 어떠한 方法(방법)을 쓰는 것인지 알지 못한다. 仙方(선방)에서는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 이것도 역시 陰乾(음건)해서 丸(환), 散(산)으로 만드는 것이리라.
時珍曰︰按︰服食家有種青 作菜食法,云︰秋間取巨勝子種畦中,如生菜之法。候苗出采食,滑美不減於葵。則本草所著者,亦茹蔬之功,非入丸散也。
살펴보면 服食家(복식가)에게는 青蘘(청양)을 栽培(재배)하여 菜(채)로 먹는 方法(방법)이 있다. 그것은 秋期(추기)에 巨勝子(거승자)를 畦(휴)에 심어서 生菜(생채)를 栽培(재배)하는 方法(방법)처럼 苗(묘)가 나기를 기다려서 먹는 것인데 滑(활)하고 美味(미미)한 것은 葵(규)에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本草(본초)의 記述(기술)도 역시 茹蔬(여소)로서의 攻果(공과)를 말하는 것이니 丸(환)이나 散(산)의 藥(약)에 投入(투입)하는 것이 아니다.
胡麻花
思邈曰︰七月採最上標頭者,陰乾用之。
七月(칠월)에 最上(최상)의 梢端(초단)의 것을 따서 陰乾(음건)하여 使用(사용)한다.
藏器曰︰陰乾漬汁,溲麵食,至韌滑。
陰乾(음건)해서 漬(지)하여 汁(즙)을 내어 麵(면)을 적셔 먹는다. 매우 韌滑(인활)한 것이다.
【主治】
生禿髮(思邈)。
禿髮(독발)을 나게 한다.
潤大腸。人身上生肉疔者,擦之即愈(時珍)。
大腸(대장)을 潤(윤)한다. 身體上(신체상)에 생신 肉丁(육정)에는이것을 擦(찰)하면 癒(유)한다.
【附方】新一。
眉毛不生烏麻花陰乾為末,以烏麻油漬之,日塗。(《外台秘要》)。
麻秸
【主治】
燒灰,入點痣去惡肉方中用(時珍)。
灰燒(회소)하고, 痣點(지점)l해서 惡肉(악육)을 去(거)하는 方中(방중)에 넣어서 사용한다.
【附方】新二。
小兒鹽哮︰脂麻秸,瓦內燒存性,出火毒,研末。以淡豆腐蘸食之。(《摘玄方》)。
耳出膿︰白麻秸刮取一合,花胭脂一枚,為末。綿裹塞耳中。(《聖濟總錄》)。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약자(본초강목) (0) | 2024.08.06 |
---|---|
지(芝)[본초강목] (1) | 2024.08.03 |
참기름(흰 참깨)[본초강목] (0) | 2024.07.18 |
선화(蟬花)[본초강목] (0) | 2024.07.18 |
차전자(車前子)[본초강목]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