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기름(흰 참깨)[본초강목]

2024. 7. 18. 17:5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참기름(흰 참깨)[본초강목]

 

 

 

白油麻

 

(《嘉祐》)

 

 

氣味

 

大寒無毒

 

宗奭曰白脂麻世用不可一日闕者亦不至於大寒也

 

白脂麻(백지마)世間(세간)사람들이 하루도 빠짐없이 쓰고 있는 것이니, 대체로 大寒(대한)이라는 엄청난 結果(결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寧原曰生者性寒而治疾炒者性熱而發病蒸者性溫而補人

 

()것은 ()()하여 ()()한다. ()한 것은 ()()하여 ()發起(발기)한다. ()한 것은 ()()하여 人體(인체)()한다.

 

寧原: 명나라때 식감본초 저자/ 이때 참깨를 볶으면 병을 발생한다고 한 것이 현대에 이르러 발암 물질인 벤조피렌의 발생으로 인한 부분을 ......

 

詵曰久食抽人肌肉其汁停久者飲之發霍亂

 

久食(구식)하면 사람의 肌肉(기육)()한다. ()은 오래 그냥 둔 것을 마시면 癨亂(곽란)을 일으킨다.

 

 

 

主治

 

治虛勞滑腸胃行風氣通血脈去頭上浮風潤肌肉食後生啖一合終身勿輟又與乳母服之孩子永不生病客熱可作飲汁服之生嚼敷小兒頭上諸瘡傅良孟詵)。

 

虛勞(허로)()하고, 腸胃(장위)()하며, 風氣(풍기)를 보내고, 血脈(혈맥)()하니 頭上(두상)浮風(부풍)()하고, 肌肉(기육)()한다. 食後(식후)一合(일합)()으로 먹고, 終身(종신)도록 먹는 것이 좋다. 乳母(유모)에게 주어서 ()하게 한다면 孩子(해자)가 오래도록 ()이 없게 된다. 客熱(객열)에는 飮汁(음즙)으로 만들어서 ()하는 것이 좋다. ()것을 씹어서 小兒(소아)頭上(두상)에 있는 諸瘡(제창)()하는 것이 좋다.

 

 

仙方蒸以辟穀蘇頌)。

 

 

仙方(선방)에서는 이것을 ()하여 사용한다. 辟穀(벽곡)()()한다.

 

 

 

發明

 

甄權曰巨勝乃仙經所重以白蜜等分合服名靜神丸治肺氣潤五臟其功甚多亦能休糧填人精髓有益於男子患人虛而吸吸者加而用之

 

巨勝(거승)이라는 것은 仙經(선경)에서는 매우 重要(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白蜜(백밀)等分(등분)()해서 ()하는 것을 靜神丸(정신환)이라 名稱(명칭)하는데 肺氣(폐기)()하고, 五臟(오장)()하게 하는 그 ()이 매우 크다. 또한 ()糧食(양식)休止(휴지)시켜서 生活(생활)하는데에 도움이 되고, 사람의 精髓(정수)()하니 男性(남성)에게 有益(유익)하다. 患者(환자)가 몹시 ()해서 헐떡일 때는 이것을 添加(첨가)해서 使用(사용)한다.

 

 

時珍曰胡麻取油以白者為勝服食以黑者為良胡地者尤妙取其黑色入通於腎而能潤燥也赤者狀如老茄子殼濃油少但可食爾不堪服食唯錢乙治小兒痘疹變黑歸腎百祥丸用赤脂麻煎湯送下蓋亦取其解毒耳

 

胡麻(호마)()를 내고자 한다면 白色(백색)인 것이 뛰어 나고, 服食(복식)하는 데는 黑色(흑색)인 것이 좋으니, 胡地(호지)에서 나는 것이 아주 ()하다. 黑色(흑색)이 들어가 ()()해서 ()()()하는 特長(특장)에 의한 것이다. 赤色(적색)인 것은 形狀(형상)老茄子(노가자)와 같아서 ()()하고, ()는 적으니, 단지 食料(식료)가 될 뿐으로 服食(복식)價値(가치)는 없다. 그러나 다만 錢乙(전을)小兒(소아)痘瘡(두창)을 검게 변하게 해서 ()에 돌아가는 것을 ()하는 百祥丸(백상환)에게만 赤脂麻(적지마)()하여 煎湯(전탕)으로 送下(송하)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역시 그 解毒(해독)의 힘을 應用(응용)하는 것뿐이다.

 

 

五符經有巨勝丸即胡麻本生大宛五穀之長也服之不息可以知萬物通神明與世常存

 

五符經(오부경)巨勝丸(거승환)이라는 것이 있는데 胡麻(호마)라는 것이다. 이것은 원래 大宛(대완)에서 자라난 것인데, 五穀(오곡)()이다. 中絶(중절)하는 일이 없이 이것을 常服(상복)하면 萬物(만물)을 알게 되고, 神明(신명)()하며, 세상살이와 함께 늘 存在(존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參同契亦云巨勝可延年還丹入口中古以胡麻為仙藥而近世罕用或者未必有此神驗但久服有益而已耶劉晨阮肇入天台遇仙女食胡麻飯亦以胡麻同米作飯為仙家食品焉爾

 

參同契(참동계)에도 巨勝(거승)延年(연년)이 되는데 還丹(환단)으로 口中(구중)에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이렇듯 古代(고대)에는 胡麻(호마)仙藥(선약)으로 여겼던 것인데 近代(근대)에 와서는 使用(사용)하는 일이 드물다. 아마도 神明(신명)()한다고 吹聽(취청)할 만큼의 神驗(신험)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지. 다만 久服(구복)하면 有益(유익)한 것만은 틀림없다. 劉晨(유신), 阮肇(원조)二人(이인)天台(천태)에 가서 仙女(선녀)를 만났을 때 胡麻飯(호마반)이라는 것을 먹게 되었다. 역시 胡麻(호마)()와 함께 밥을 지었던 것으로, 仙家(선가)食品(식품)이라고 하였다.

 

 

又按蘇東坡與程正輔書云凡痔疾宜斷酒肉與鹽酪醬菜濃味及粳米飯唯宜食淡麵一味及以九蒸胡麻即黑脂麻),同去皮茯苓入少白蜜為 食之

 

또 살펴보면 蘇東坡(소동파)程正輔(정정보)에게 준 書冊(서책)무릇 痔疾(치질)에는 酒肉(주육)鹽酪(염락), 醬菜(장채)厚味(후미)한 것과 粳米飯(갱미반)斷切(단절)해야만 한다. 오직 淡麵(담면) 一味(일미)九蒸(구증)胡麻(호마)를 먹는 것이 좋다. 이는 黑芝麻(흑지마)去皮(거피)茯苓(복령)과 함께 小量(소량)白蜜(백밀)을 넣고 ()을 만들어서 먹는다.

 

 

日久氣力不衰而百病自去而痔漸退此乃長生要訣但易知而難行爾據此說則胡麻為脂麻尤可憑矣其用茯苓本陶氏注胡麻之說也

 

이를 오래 계속하면 氣力(기력)이 쇠하지 않고, 모든 ()이 절로 없어지니 ()漸次(점차)로 물러난다. 方法(방법)長生(장생)하는 要訣(요결)인데도 다만 알기는 쉽지만 實行(실행)하기 어렵다.”라고 되어 있다. ()에 의하면 胡麻(호마)肢麻(지마)라는 것은 움직일 수 없는 事實(사실)이다. 方法(방법)茯苓(복령)을 사용한 것은 陶氏(도씨)胡麻(호마)註解(주해)()根本(근본)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近人以脂麻擂爛去滓入綠豆粉作腐食其性平潤最益老人

 

근래 世間(세간)에서는 肢麻(지마)擂爛(뇌란)해서 去滓(거재)하고, 綠豆粉(녹두분)을 넣어서 豆腐(두부)를 만들어 먹고 있다. ()()하며 ()하니, 老人(노인)에게 가장 有益(유익)하다.

 

 

 

附方舊十六新十五

 

服食胡麻︰《抱朴子用上黨胡麻三斗淘淨甑蒸令氣遍日乾以水淘去沫再 蒸如此九度以湯脫去皮簸淨炒香為末白蜜或棗膏丸彈子大每溫酒化下一丸日三服忌毒魚狗肉生菜服至百日能除一切痼疾一年身面光澤不飢二年白髮返黑三年齒落更生四年水火不能害五年行及奔馬久服長生若欲下之飲葵菜汁孫真人云用胡麻三升去黃褐者蒸三十遍微炒香為末入白蜜三升杵三百下丸梧桐子大每旦服五十丸人過四十以上久服明目洞視腸柔如筋也

 

神仙傳魯女生服胡麻餌術絕穀八十餘年甚少壯日行三百裡走及獐鹿

 

神仙傳(신선전)魯女生(노여생)胡麻(호마)()하고, ()을 먹어서 ()斷絶(단절)하기를 八十餘年(팔십여년)이 지나도 매우 少壯(소장)하였다. 하루에 三百里(삼백리)의 길을 걸었으며, 獐鹿(장녹)도 뒤쫓아 갈 수 있을 정도였다.“라고 되어 있다.

 

服食巨勝治五臟虛損益氣力堅筋骨用巨勝九蒸九曝收貯每服二合湯浸布 去皮再研水濾汁煎飲和粳米煮粥食之時珍曰古有服食胡麻巨勝二法方不出於一人故有二法其實一物也

 

白髮返黑烏麻九蒸九晒研末棗膏丸服之。(《千金方》)。

腰腳疼痛新胡麻一升熬香杵末日服一小升服至一斗永瘥溫酒蜜湯薑汁皆可手腳酸痛微腫用脂麻五升熬研酒一升浸一宿隨意飲。(《外台》)

入水肢腫作痛生胡麻搗塗之。(《千金》)

偶感風寒脂麻炒焦乘熱擂酒飲之暖臥取微汗出良

中暑毒死救生散用新胡麻一升微炒令黑攤冷為末新汲水調服三錢或丸彈子大嘔 不止白油麻一大合清酒半升煎取三合去麻頓服。(《近效方》)。

牙齒痛腫胡麻五升水一斗煮汁五升含漱吐之不過二劑神良。(《肘後》)。

熱淋莖痛烏麻子蔓荊子各五合炒黃緋袋盛以井華水三升浸之每食前服一錢。 (《聖惠方》)。

小兒下痢赤白用油麻一合搗和蜜湯服之。(《外台》)。

解下胎毒小兒初生嚼生脂麻綿包與兒咂之其毒自下

小兒急疳油麻嚼敷之。(《外台》)。

小兒軟癤油麻炒焦乘熱嚼爛敷之。(譚氏小兒方》)。

頭面諸瘡脂麻生嚼敷之。(《普濟》)

小兒瘰癧脂麻連翹等分為末頻頻食之。(《簡便方》)

疔腫惡瘡胡麻燒灰)、針砂等分為末醋和敷之日三。(《普濟方》)。

痔瘡風腫作痛胡麻子煎湯洗之即消

坐板瘡疥生脂麻嚼敷之。(筆峰雜興》)。

陰癢生瘡胡麻嚼爛敷之。(《肘後》)

乳瘡腫痛用脂麻炒焦研末以燈窩油調塗即安

婦人乳少脂麻炒研入鹽少許食之。(唐氏)。

湯火傷灼胡麻生研如泥塗之。(《外台》)。

蜘蛛咬瘡油麻研爛敷之。(《經驗後方》)。

諸蟲咬傷同上

蚰蜒入耳胡麻炒研作袋枕之。(《梅師》)

穀賊尸咽喉中痛癢此因誤吞穀芒搶刺癢痛也穀賊屬咽馬喉風屬喉不可不分

用癰瘡不合烏麻炒黑搗敷之。(《千金》)。

小便尿血胡麻三升杵末以東流水二升浸一宿平旦絞汁頓熱服。(《千金方》)。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芝)[본초강목]  (1) 2024.08.03
검정깨 [본초강목]  (5) 2024.07.18
선화(蟬花)[본초강목]  (0) 2024.07.18
차전자(車前子)[본초강목]  (0) 2024.07.12
자초[본초강목]지치  (0)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