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본초강목]

2024. 5. 13. 23:1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황정[본초강목]

 

 

 

^^^^^^^^^^^^^^^^^^^^^^^^^^^^^^^^^^^^^^^^^^^^^^^^^^^^^^^^^^^^^^^^^^^^^

 

黃精

 

(《別錄上品

 

 

校正

 

並入拾遺救荒草

 

 

釋名

 

黃芝(《瑞草經》)、戊己芝(《五符經》)、菟竹(《別錄》)、鹿竹(《別錄》)、仙人餘糧弘景)、救窮草(《別錄》)、米鋪(《蒙筌》)、野生薑(《蒙筌》)、重樓(《別錄》)、雞格(《別錄》)、龍銜(《廣雅》)、垂珠

 

頌曰隋時羊公服黃精法云黃精是芝草之精也一名葳蕤一名白芨一名仙人餘糧一名苟格一名馬箭一名垂珠一名菟竹

 

時珍曰黃精為服食要藥別錄列於草部之首仙家以為芝草之類以其得坤土之精粹故謂之黃精。《五符經黃精獲天地之淳精故名為戊己芝是此義也餘糧救窮以功名也鹿竹菟竹因葉似竹而鹿兔食之也垂珠以子形也陳氏拾遺救荒草即此也今並為一嘉謨曰根如嫩薑俗名野生薑九蒸九曝可以代糧又名米

 

集解

 

別錄黃精生山谷二月採根陰乾

 

弘景曰今處處有之二月始生一枝多葉葉狀似竹而短根似葳蕤葳蕤根如荻根及菖蒲概節而平直黃精根如鬼臼黃連大節而不平雖燥並柔軟有脂潤俗方無用此而為仙經所貴皆可餌服酒散隨宜具在斷穀方中其葉乃與鉤吻相似惟莖不紫花不黃為異而人多惑之其類乃殊遂致死生之反亦為奇事

 

雷斅曰鉤吻真似黃精只是葉頭尖有毛鉤子二個若誤服之害人黃精葉似竹也

 

恭曰黃精肥地生者即大如拳薄地生者猶如拇指葳蕤肥根頗類其小者肌理形色大都相似今以鬼臼黃連為比殊無仿佛黃精葉似柳及龍膽徐長卿輩而堅其鉤吻蔓生葉如柿葉殊非比類

 

 

藏器曰黃精葉偏生不對者名偏精功用不如正精正精葉對生鉤吻乃野葛之別名二物殊不相似不知陶公憑何說此

 

黃精(황정)()偏生(편생)으로 相對(상대)하여 ()하지 않으면 偏情(편정)이라 한다. 功用(공용)正精(정정)에 미치지 못한다. 正精(정정)()相對(상대)하여 ()한다. 鉤吻(구문)이라 함은 野葛(야갈)別名(별명)으로서 黃精(황정), 鉤吻(구문)二物(이물)全然(전연) 닮지 않았다. 陶氏(도씨)는 무엇을 根據(근거)로 해서 그런 說明(설명)을 한 것인지 알수 없다.

 

 

保升曰鉤吻一名野葛陶說葉似黃精者當是蘇說葉似柿者當別是一物

 

頌曰黃精南北皆有以嵩山茅山者為佳三月生苗高一二尺以來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赤四月開細青白花狀如小豆花結子白如黍粒亦有無子者根如嫩生薑而黃色二月採根蒸過曝乾用今遇八月採山中人九蒸九曝作果賣黃黑色而甚甘美其苗初生時人多採為菜茹謂之筆菜味極美江南人說黃精苗葉稍類鉤吻但鉤吻葉頭極尖而根細而蘇恭言鉤吻蔓生恐南北所產之異耳

 

時珍曰黃精野生山中亦可劈根長二寸稀種之一年後極稠子亦可種其葉似竹而不尖或兩葉三葉五葉俱對節而生其根橫行狀如葳蕤俗採其苗爆熟淘去苦味食之名筆管菜。《陳藏器本草言青粘是葳蕤見葳蕤發明下又黃精鉤吻之說陶弘景韓保升皆言二物相似蘇恭陳藏器皆言不相似蘇頌複設兩可之辭今考神農本草》、《吳普本草》,並言鉤吻是野葛蔓生其莖如箭與蘇恭之說相合張華博物志昔黃帝問天老曰天地所生有食之令人不死者乎天老曰太陽之草名黃精食之可以長生太陰之草名鉤吻不可食之入口立死人信鉤吻殺人不信黃精之益壽不亦惑乎此但以黃精鉤吻相對待而言不言其相似也陶氏因此遂謂二物相似與神農所說鉤吻不合恐當以蘇恭所說為是而陶雷所說別一毒物非鉤吻也歷代本草惟陳藏器辨物最精審尤當信之餘見鉤吻條

 

歷代(역대)本草中(본초중)에서도 陳藏器(진장기)만은 事物(사물)識別(식별)이 가장 精密(정밀)하고 正確(정확)하므로 信認(신인)하여도 된다.

 

 

 

 

修治

 

雷斅曰凡採得以溪水洗淨蒸之從巳至子薄切曝乾用

 

무릇 採取하면 溪水(계수)洗淨(세정)하여 오전 十時(십시)부터 翌午前(익오전) 零時(영시)까지 ()하고, 얇게 잘라서 晒乾(쇄건)하여 使用(사용)한다.

 

頌曰羊公服黃精法二月三月採根入地八九寸為上細切一石以水二石五斗煮去苦味漉出囊中壓取汁澄清再煎如膏乃止以炒黑黃豆末相和得所捏作餅子如錢大初服二枚日益之亦可焙乾篩末水服

 

詵曰餌黃精法取瓮子去底釜內安置得所入黃精令滿密蓋蒸至氣溜即曝之

 

如此九蒸九曝若生則刺人咽喉若服生者初時只可一寸半漸漸增之十日不食服止三尺五寸三百日後盡見鬼神久必升天實皆可食之但以相對者是正不對者名偏精也

 

 

氣味

 

無毒權曰

 

時珍曰忌梅實子並同

 

梅實(매실)()하고 (),(), ()服用(복용)할 때도 禁忌(금기)한다.

 

 

主治

 

補中益氣除風濕安五臟久服輕身延年不飢(《別錄》)。

 

補中(보중)하고 益氣(익기)하며, 風濕(풍습)除去(제거)하고, 五臟(오장)平安(평안)하게 한다. 久服(구복)하면 輕身延年(경신연년)하과, 不飢(불기)한다.

 

 

補五勞七傷助筋骨耐寒暑益脾胃潤心肺單服九蒸九曝食之駐顏斷穀大明)。

 

五劳七伤(오로칠상)()하고 筋骨(근골)()하며, 脾胃(비위)()하고, ()()()한다. 單服(단복)하려면 九蒸九曝(구증구폭)하여 服用(복용)한다. 이것을 먹으면 顔色(안색)老衰(노쇠)防止(방지)하고, 穀食(곡식)()할 수 있다.

 

補諸虛止寒熱填精髓下三尸蟲時珍)。

 

諸虛(제허)()하고 寒熱(한열)()하며, 精髓(정수)()하고, 三尸(삼시)()()한다.

 

 

發明

 

 

時珍曰黃精受戊己之淳氣故為補黃宮之勝品土者萬物之母母得其養則水火既濟木金交合而諸邪自去百病不生矣

 

黃精(황정)戊己(무기)淳氣(순기)를 받은 것이다. 따라서 黃宮(황궁)()하는데 뛰어난 藥品(약품)이다. ()萬物(만물)()가 되므로 ()得養(득양)하면 (), ()完全(완전)하게 정돈되고, (), ()이 잘 配合(배합)되어서 諸種(제종)邪惡(사악)이 스스로 물러나고, 모든 疾病(질병)發生(발생)하지 못한다.

 

 

神仙芝草經黃精寬中益氣使五臟調良肌肉充盛骨髓堅強其力增倍多年不老顏色鮮明發白更黑齒落更生

 

神仙芝草經(신선지초경)黃精(황정)()()하고, ()補益(보익)하여, 五臟(오장)機能(기능)整調(정조)하여 肌肉(기육)充盛(충성)하게 하며, 骨髓(골수)堅强(견강)시키고, 體力(체력)倍增(배증)하여 壽命(수명)을 연장하고, 老衰(노쇠)防止(방지)하며, 顔色(안색)鮮明(선명)해지고, 白髮(백발)을 검게 하며, 落齒(낙치)된 것을 다시 나게 한다.

 

又能先下三尸蟲上尸名彭質好寶貨百日下中尸名彭矯好五味六十日下下尸名彭居好五色三十日下皆爛出也根為精氣花實為飛英皆可服食

 

또 무엇보다 (), (), ()三尸蟲(삼시충)()하는 功能(공능)도 있다. 三尸中(삼시중)上尸(상시)()彭質(팽질)이라고 하여 寶貨財物(보화재물)dfm 탐낸다. 이것은 白日(백일)이면 ()한다. 中尸(중시)彭矯(팽교)라 하며 五味(오미)를 좋아한다. 이것은 육십일이면 내리고, 下尸(하시)()彭居(팽거)라 하여 五色(오색)을 즐긴다. 이것은 三十日(삼십일)이면 내린다. 이 모두 ()한 상태로 나오는 것이다. 黃精(황정)()精氣(정기)라 하고 (), ()飛英(비영)이라 하는데 모두 服食(복식)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又按雷氏炮炙論序云駐色延年精蒸神錦注云以黃精自然汁拌研細神錦於柳木甑中蒸七日以木蜜丸服之木蜜神錦不知是何物或云朱砂也

 

또 살펴보면 雷氏(뇌씨)炮炙论(포자론)序文(서문)늙지 않는 容貌(용모)로서 千壽(천수)를 누리는 데는 ()으로 神錦(신금)()한다.”라고 쓰여 있고, ()硏細(연세)神錦(신금)黃精(황정)自然汁(자연즙)에 섞어서 柳木甑(유목증)에 넣어 七日間(칠일간) ()하고, 木蜜(목밀)()을 만들어 복용한다.”라고 하였다. 木蜜(목밀)이란 枳椇(지구)를 말함인데 神錦(신금)은 무엇을 말하는지 알 수가 없다. 혹은 朱砂(주사)라고도 말한다.

 

 

禹錫曰抱朴子黃精服其花勝其實服其實勝其根但花難得得其生花十斛乾之才可得五六斗爾非大有力者不能辦也日服三合服之十年乃得其益其斷穀不及朮朮餌令人肥健可以負重涉險但不及黃精甘美易食凶年可與老少代糧謂之米脯也

 

 

抱朴子(포박자)黃精(황정)()服用(복용)함이 ()服用(복용)하는 것보다 좋고, ()服用(복용)함이 ()服用(복용)하는 것보다 좋은데 다만 그 꽃을 구하기가 어렵다. 또 그 生花(생화)十斛手(십곡수)에 넣어서 말려도 겨우 ()~ 六斗(육두) 정도로 되고 만다. 여유 있는 大富豪(대부호)가 아니면 滿足(만족)하게 매입하여 調理(조리)한다는 것은 엄두도 못 낸다. 날마다 三合(삼합)十年(십년)服用(복용)하면 効果(효과)를 보게 되나 그렇듯 穀食(곡식)斷絶(단절)하여 健康(건강)保持(보지)함도 ()의 힘에는 미치지 못한다. ()餌食(이식)하면 身體(신체)肥建(비건)해지고, 重荷(중하)를 지고 險道(험도)를 뛰어도 힘이 남는다고 하지만 다만 黃精(황정)처럼 甘味(감미)롭게 먹기 쉬운 일이 아니다. 흉년이 들면 老人(노인)小兒(소아)代用食(대용식)이 되기도 하여 그것을 未脯(미포)라 부른다.”라고 쓰여 있다.

 

慎微曰徐鉉稽神錄臨川士家一婢逃入深山中久之見野草枝葉可愛取根食之

 

徐鉉(서현)稽神錄(계신록)臨川(임천)에 있는 어느 土人(토인)의 집 下婢(하비)는 그 집을 逃亡(도망)나와서 山中(산중)에 숨어서 지냈는데, 어느날 枝葉(지엽)이 예쁜 野草(야초)發見(발견)하고 그 ()食糧(식량)삼아 긴 세월을 허기를 잊고 生存(생존)하였다.

 

久久不飢夜息大樹下聞草中動以為虎攫上樹避之及曉下地其身 然凌空而去若飛鳥焉

 

그러다가 어느 날밤 커다란 樹木(수목) 아래서 休息(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草原(초원)의 한 가운데서 動搖(동요)하는 것을 보았다. ()는 범이 나온줄 짐작하고, 혼비백산하여 순식간에 나무위에 올라가 숨었다. 하지만 밤도 지나고 날이 밝았기 때문에 安心(안심)하고 나무에서 훌쩍 몸을 내리는데 뜻밖에 全身(전신)浮上(부상)하더니, 空中(공중)을 날아다니는 飛鳥(비조)처럼 되어 버렸다.

 

數歲家人採薪見之捕之不得臨絕壁下網圍之俄而騰上山頂或云此婢安有仙骨不過靈藥服食爾遂以酒餌置往來之路果來食訖遂不能去擒之具述其故指所食之草即是黃精也

 

() 數年(수년)經過(경과)하여, 土人(토인) 집의 下人(하인)이 나무하러 ()에 우연히 그 ()의 모습을 확인하고, 잡아서 歸家(귀가)하려고 온갖 짓을 다 했으나 잡히질 않았다. 絶壁(절벽)아래로 몰아가서 ()을 치려고 하였으나 역시 순식간에 뛰어 날아서 마침내 ()絶頂(절정)으로 사라져 버렸다. 評判(평판)臆說(억설)은 금시에 퍼졌다. ”()는 아무렴 仙骨(선골) 같은 瑞相(서상)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인가 靈藥(영약)을 먹고 飛行術(비행술)()했을 것이다.“라고 推測(추측)함에 一致(일치)하였다. 그래서 衆意(중의)結果(결과), 美酒美肉(미주미육)調理(조리)하여 ()通路(통로)에다 두었더니 과연 그 ()는 날아와서 기뻐하며 그 美食(미식)을 맛있게 먹었는데 그만 나는 힘을 상실하여 無難(무난)학 잡히고 말았다. 연후에 逃亡(도망)간 이후의 顚末(전말)訊問(신문)하니 ()는 옆에 있는 ()를 가리키며 이것을 먹고 살아왔다.“ 라고 하였다. ()를 살펴보니 黃精(황정)이었다. 라는 이야기가 記載(기재)되어 있다.

 

 

附方舊一新四

 

服食法︰《聖惠方》︰用黃精根莖不限多少細銼陰乾搗末每日水調末服任多少一年內變老為少久久成地仙神隱書》︰以黃精細切一石用水二石五斗煮之自旦至夕候冷以手 碎布袋榨取汁煎之渣焙乾為末同入釜中煎至可丸丸如雞頭子大每服一丸日三服絕糧輕身除百病渴則飲水

補肝明目黃精二斤蔓菁子一斤),同和九蒸九晒為末空心每米飲下二錢日二服延年益壽。(《聖惠方》)

大風癩瘡營氣不清久風入脈因而成癩鼻壞色敗皮膚癢潰用黃精根去皮洗淨二斤日中曝令軟納粟米飯甑中同蒸至二斗米熟時時食之。(《聖濟總錄》)

補虛精氣黃精枸杞子等分搗作餅日乾為末煉蜜丸梧子大每湯下五十丸。(《奇效良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앵자[본초강목]  (0) 2024.05.22
지황[본초강목]  (0) 2024.05.22
세신(細辛)[본초강목]  (0) 2024.04.29
마두령(馬兜鈴)[본초강목]  (0) 2024.04.29
청대(青黛)[본초강목]  (2) 202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