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앵자[본초강목]

2024. 5. 22. 21:2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금앵자[본초강목]

 

 

 

^^^^^^^^^^^^^^^^^^^^^^^^^^^^^^^^^^^^^^^^^^^^^^^^^^^^^^^^^^^^^^^^^^^

 

金櫻子

 

(《蜀本草》)

 

 

釋名

 

刺梨子(《開寶》)山石榴(《綱目》)山雞頭子

 

 

時珍曰金櫻當作金罌謂其子形如黃罌也石榴雞頭皆象形又杜鵑花小檗並名山石榴非一物也

 

金櫻(금앵)金罌(금앵)이라고 써야 하는 것이며, ()()黃罌(황앵)고 ㅏ같다는 意味(의미)이다. 石榴(석류), 鷄頭(계두)는 모두 形容(형용)이다. 또한 杜鹃花(두견화), 小蘗(소벽)을 모두 酸石榴(산석류)라고 하는데, 同一物(동일물)이 아니다.

 

 

雷斅曰沙果何裹子亦曰金櫻子與此同名而異物

 

沙果(사과), 何裹子(하과자)金樱子(금앵자)라고 하는데 이것은 同名異物(동명이물)인 것이다.

 

 

集解

 

韓保升曰金櫻子在處有之花白子形似

 

頌曰今南中州郡多有而以江西劍南嶺外者為勝叢生郊野中大類薔薇有刺

四月開白花夏秋結實亦有刺黃赤色形似小石榴十一月十二月採江南蜀中人熬作煎酒服云補治有殊效宜州所供云本草謂之營實今校之與營實殊別也

 

時珍曰山林間甚多花最白膩其實大如指頭狀如石榴而長其核細碎而有白毛如營實之核而味甚澀

 

 

 

 

氣味

 

無毒

 

 

 

主治

 

脾泄下痢止小便利澀精氣久服令人耐寒輕身(《蜀本》)。

 

脾泄(비설), 下痢(하리), 小便利(소변리)를 멎게 하고, 精氣(정기)()한다. 久服(구복)하면 耐寒輕身(내한경신)하게 한다.

 

 

 

發明

 

頌曰洪州昌州皆煮其子作煎寄饋人服食家用煎和雞頭實粉為丸服名水陸丹益氣補真最佳

 

洪州(홍주), 昌州(창주)에서는 그 ()煮煎(자전)하여 贈物(증물)로 한다. 服食家(복식가)는 이것을 ()하여 雞頭實粉(계두실분)調和(조화)하고 ()을 만들어 服用(복용)하는데 水陸丹(수륙단)이라고 한다. 益氣補真(익기보진)하는데 最上(최상)이다.

 

 

慎微曰沈存中筆談金櫻子止遺泄取其溫且澀也世人待紅熟時取汁熬膏味甘全斷澀味都全失本性大誤也惟當取半黃者乾搗末用之

 

沈存中(심존중)筆談(필담)에서는 金樱子(금앵자)로서 遺泄(유설)을 멎게 하는 것은 그 ()하면서 또한 ()한 것을 ()하는 것이다. 世人(세인)紅熟(홍숙)할 때를 기다려 取汁熬膏(취즙오고)하는데 그렇게 하면 ()()해지고, 完全(완전)濇味(색미)()하여 本性(본성)을 아주 喪失(상실)하게 된다. 큰 잘못인 것이다. 다만 半黃(반황)인 것을 取收(취수)하여 乾燥(건조)시킨 다음 搗末(도말)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宗奭曰九月十月霜熟時采用不爾反令人利

 

九月(구월), 十月(십월)霜熟(상숙)했을 대 採取(채취)하여 使用(사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리어 사람으로 하여금 ()하게 한다.

 

 

震亨曰經絡隧道以通暢為平和而昧者取澀性為快熬金櫻為煎食之自不作靖咎將誰執

 

經絡(경락), 隧道(수도)通暢(통창)하기 때문에 平和(평화)스러운 것이다. 그런데 無知(무지)()澁性(삽성)()하여 ()로 하고, 金櫻子(금앵자)熬煎(오전)하여 먹고 있다. 스스로 安寧(안녕)함을 破壞(파괴)하는 것이다. 結果(결과)에 대한 責任(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時珍曰無故而服之以取快欲則不可若精氣不固者服之何咎之有

 

까닭 없이 이것을 服用(복용)하여 快欲(쾌욕)()할 수는 없는 것이다. 만약 精氣(정기)不固(불고)()의 경우라면 이것을 服用(복용)하는데 무슨 障碍(장애)가 있겠는가?

 

 

 

附方

 

舊一新二

 

金櫻子煎霜後用竹夾子摘取入木臼中杵去刺擘去核以水淘洗過搗爛入大鍋水煎不得絕火煎減半濾過仍煎似稀餳每服一匙用暖酒一功不可備述。(《孫真人食忌》)。

補血益精金櫻子即山石榴去刺及子四兩縮砂二兩為末煉蜜和丸梧桐子大每服五十丸空心溫酒服。(《奇效良方》)。

久痢不止嚴緊絕妙罌粟殼醋炒)、金櫻葉及子等分為末蜜丸芡子大每服五七丸陳皮煎湯化下。(《普濟方》)

 

 

 

 

氣味

 

同子

 

 

 

主治

 

止冷熱痢殺寸白蛔蟲等和鐵粉研勻拔白髮塗之即生黑者亦可染須大明

 

冷熱痢(냉열리)를 멎게 하고, 寸白蛔蟲(촌백회충)()한다. 鐵粉(철분)으로 研勻(연균)하여 白髮(백발)을 뽑고 塗布(도포)하면 黑髮(흑발)이 나온다. 또한 ()染色(염색)하여도 좋다.

 

 

 

 

 

 

主治

 

癰腫嫩葉研爛入少鹽塗之留頭泄氣又金瘡出血五月五日采同桑葉苧葉等分陰乾研末敷之血止口合名軍中一捻金時珍)。

 

癰腫(옹종)에는 嫩葉(눈엽)硏爛(연란)하고, 小量(소량)()()해서 塗布(도포)하며, 留頭泄氣(유두설기)한다. 또한 金瘡出血(금창출혈)에는 五月(오월)五日(오일)採收(채수)하여 桑葉(상엽), 苧葉(저엽)等分(등분)陰乾(음건)硏末(연말)하여 ()한다. 止血合口(지혈합구)한다. 軍中一捻金(군중일념금)이라고 한다.

 

 

東行根

 

氣味

 

同子

 

主治

 

 

寸白蟲銼二兩入糯米三十粒水二升煎五合空心服須臾瀉下神驗

其皮炒用止瀉血及崩中帶下大明)。

 

寸白蟲(촌백충)에는 二兩(이량)剉切(좌절)하여 糯米(나미) 三十粒(삼십립)을 넣고, 二升(이승)에다 五合(오합)으로 ()하여 空心(공심)服用(복용)한다. 잠시 후 瀉下(사하)하는데 神驗(신험)이 있다. ()炒用(초용)하면 瀉血(사혈) 崩中帶下(붕중대하)를 멎게 한다.

 

 

 

止滑痢煎醋服化骨鯁時珍)。

 

 

滑痢(활리)를 멎게 한다. ()煎服(전복)하면 骨硬(골경)()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극천[본초강목]  (2) 2024.06.04
토복령[본초강목]  (1) 2024.06.04
지황[본초강목]  (0) 2024.05.22
황정[본초강목]  (1) 2024.05.13
세신(細辛)[본초강목]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