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황[본초강목]

2024. 5. 22. 20:5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지황[본초강목]

 

 

^^^^^^^^^^^^^^^^^^^^^^^^^^^^^^^^^^^^^^^^^^^^^^^^^^^^^^^^^^^^^^^^^^^^^^

 

地黃

 

(《本經上品

 

 

 

釋名

 

, 地髓

 

大明曰生者以水浸驗之浮者名天黃半浮半沉者名人黃沉者名地黃入藥沉者為佳半沉者次之浮者不堪

 

생것을 물에 담가 시험(試驗)해 보아서 부상(浮上)하는 것은 천황(天黃)이라 명칭(名稱)하고 반부반침(半浮半沈)하는 것은 인황(人黃)이라고 명칭(名稱)하고 침()하는 것은 지황(地黃)이라고 명칭(名稱)한다. ()에 넣으려면 침()하는 것이 좋다고 하며, 반침(半沈)하는 것이 이것 다음이다. 부상(浮上)하는 것은 약용(藥用)하기엔 조금 모자란다.

 

時珍曰︰《爾雅地黃郭璞云江東呼為芐羅願云以沉下者為貴故 字從下

 

爾雅(이아)에서는 ()地黄(지황)이다.”라고 하며 郭璞(곽박)江東(강동)에서는 ()라고 부른다.” 라고 하였고, 羅願(나원)()沈下(침하)하는 것이 珍品(진품)이므 값도 비싸다. 그러므로 文字(문자)()를 따른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地黃生咸陽川澤黃土地者佳二月八月採根陰乾

 

弘景曰咸陽即長安也生渭城者乃有子實如小麥今以彭城乾地黃最好次歷陽近用江寧板橋者為勝作乾者有法搗汁和蒸殊用工意而此云陰乾恐以蒸作為失乎人亦以牛膝葳蕤作之人不能別

 

頌曰今處處有之以同州者為上二月生葉布地便出似車前葉上有皺紋而不光高者及尺餘低者三四寸其花似油麻花而紅紫色亦有黃花者其實作房如連翹中子甚細而沙褐色根如人手指通黃色粗細長短不常種之甚易根入土即生一說古稱種地黃宜黃土今不然大宜肥壤虛地則根大而多汁其法以葦席圍編如車輪徑丈餘以壤土實葦席中為壇壇上又以葦席實土為一級比下壇徑減一尺如此數級如浮屠乃以地黃根節多者寸斷之蒔壇上層層令滿逐日水灌令茂盛至春秋分時自上層取之根皆長大而不斷折不被

 

宗奭曰地黃葉如甘露子花如脂麻花但有細斑點北人謂之牛奶子花莖有微細短白毛

 

時珍曰今人惟以懷慶地黃為上亦各處隨時興廢不同爾其苗初生塌地葉如山白菜而毛澀葉面深青色又似小芥葉而頗濃不叉丫葉中攛莖上有細毛莖梢開小筒子花紅黃色結實如小麥粒根長四五寸細如手指皮赤黃色如羊蹄根及胡蘿蔔根曝乾乃黑生食作土氣俗呼其苗為婆婆奶摘其旁葉作菜甚未盡歸根二月新苗已生根中精氣已滋於葉不如正月九月採者殊好又與蒸曝相宜

 

禮記羊 豕

 

嘉謨曰江浙壤地種者受南方陽氣質雖光潤而力微懷慶山產者稟北方純陰皮有疙瘩而力大

 

 

生地黃

 

 

 

氣味

 

大寒

 

 

主治

 

 

婦人崩中血不止及產後血上薄心悶絕傷身胎動下血胎不落墮墜腕折,瘀血留血,鼻衄吐血皆搗飲之.(別錄)

 

婦人(부인)崩中(붕중)으로 ()이 멎지 않는 경우 및 産後(산후)()()()에 미쳐 悶絶(민절)하는 것, 몸이 ()한 탓으로 胎動(태동)하여 下血(하혈)하고 落胎(낙태)되지 않는 것, 墮墜腕折(타추완절)瘀血(어혈), 留血(유혈), 吐血(토혈)治療(치료)한다. 모두 搗汁(도즙)을 마신다.

 

解諸熱,通月水,利水道,搗貼心腹,能消淤血,甄權)。

 

諸熱(제열)()하며, 月水(월수)()하고, 水道(수도)()한다. 찧어서 心腹(심복)()하면 능히 瘀血(어혈)()한다.

 

 

 

發明

 

 

好古曰生地黃入手少陰又為手太陽之劑故錢仲陽瀉丙火與木通同用以導赤也諸經之血熱與他藥相隨亦能治之溺血便血皆同

 

生地黃(생지황)手少陰(수소음)에 들어간다. 手太陽劑(수태양제)이다. 그러므로 錢仲陽(전중양)丙火(병화)()하는데 木通(목통)과 함께 使用(사용)하였다. 이것으로 ()引導(인도)한 것이다. 諸經(제경)血熱(혈열)에는 他藥(타약)과 함께 써서 제 각각 능히 治效(치효)를 거두었다. 溺血(요혈), 便血(변혈)에도 모두 같은 方式(방식)이다.

 

權曰病患虛而多熱者宜加用之

 

患者(환자)()해서 ()이 많은 경우에 ()하여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戴原禮曰陰微陽盛相火熾強來乘陰位日漸煎熬為虛火之証者宜地黃之屬以滋陰退陽

 

陰微(음미)하므로 陽盛(양성)한 까닭에 相火(상화)가 치열하고 强壓的(강압적)으로 ()範圍(범위)壓迫(압박)하고, 점점 더 煎熬(전오)하여 虛火(허화)()이 되어 버린 것에는 地黃(지황)()을 사용하여 ()滋盛(자성)시키고, ()을 물리치도록 해야 한다.

 

宗奭曰︰《本經只言乾生二種不言熟者如血虛勞熱產後虛熱老人中虛燥熱者若與生乾當慮太寒故後世改用蒸曝熟者生熟之功殊別不可不詳

 

本經(본경)에는 단지 (), ()二種(이종)만을 擧論(거론)하고 ()한 것에 대해서는 言及(언급)이 없지만, 血虛(혈허)勞熱(노열), 産後(산후)虛熱(허열), 老人(노인)中虛燥熱(중허조열)등의 경우에는 (), ()을 주어서는 도리어 大寒(대한)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後世(후세)에 와서는 (), (), ()한 것을 쓰도록 改定(개정)하였다. ()것과 ()한 것은 그 功力(공력)에 많은 久別(구별)이 있으므로 明確(명확)注意(주의)()한다.

 

時珍曰︰《本經所謂乾地黃者乃陰乾日乾火乾者故又云生者尤良

 

本經(본경)의 소위 乾地黃(건지황)陰乾(음건), 日乾(일건), 火乾(화건)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또 ()것이 가장 좋다‘.라고 말하고 있다.

 

別錄複云生地黃者乃新掘鮮者故其性大寒其熟地黃乃後人複蒸晒者

 

別錄(별록)에는 또 生地黃(생지황)이란 새로 파낸 新鮮(신선)한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그러므로 ()大寒(대한)했던 것이다. 熟地黃(숙지황)이라는 것은 後世(후세)에 다시 찌고 曬乾(쇄건)해서 만든 것을 말한다.

 

諸家本草皆指乾地黃為熟地黃雖主治証同而涼血補血之功稍異故今別出熟地黃一條於下

 

諸家(제가)本草(본초)에서는 어느 것이나 乾地黃(건지황)指摘(지적)해서 熟地黃(숙지황)이라고 하였으나 主治(주치)病症(병증)同一(동일)하여도 功果(공과)에 있어서 ()()하는 것과 ()()하는 등의 稍異(초이)한 점이 있다. 그러므로 本書(본서)에는 熟地黃(숙지황)一條(일조)를 따로 해서 다음에 記載(기재)한다.

 

 

發明

 

 

元素曰地黃生則大寒而涼血血熱者須用之熟則微溫而補腎血衰者須用之又臍下痛屬腎經非熟地黃不能除乃通腎之藥也

 

地黃(지황)()것은 大寒(대한)하여 凉血(양혈)한다. 血熱(혈열)이 있는 사람에게 쓰인다. ()한 것은 微溫(미온)하여 補腎(보신)하고 血衰(혈쇠)한 사람에게 쓰인다. 臍下痛(제하통)腎經(신경)()한다. 熟地黃(숙지황)以外(이외)것으로는 ()할 수 없다. 이것은 通常(통상) ()에 대한 ()이다.

 

好古曰生地黃治心熱手足心熱入手足少陰厥陰能益腎水涼心血其脈洪實者宜之若脈虛者則宜熟地黃假火力蒸九數故能補腎中元氣

 

生地黃(생지황)心熱(심열) 手足(수족)心熱(심열)治療(치료)하고, 手足(수족)少陰(소음), 手足(수족)厥陰(궐음)에 들어가서 능히 腎水(신수)()하고 心熱(심열)()한다. ()(), ()()에게 適合(적합)하다. 만약 ()()()라면 熟地黃(숙지황)이 좋다. 火力(화력)으로 九回(구회) ()하는 것이므로 능히 腎中(신중)元氣(원기)()한다.

 

仲景六味丸以之爲諸藥之首天一所生之源也湯液四物湯治藏血之髒以之爲君者癸乙同歸一治也

 

張仲景(장중경)八味丸(팔미환)은 이것을 使用(사용)해서 諸藥(제약)(), 天一所生(천일소생)()으로 삼고 있다. 湯液(탕액)四物湯(사물탕)()()하는 臟器(장기)治療(치료)하는 것으로 이것을 君藥(군약)으로 삼고 있다. ()()은 함께 一治(일치)로 돌아가는 것이다.

 

時珍曰按王碩易簡方男子多陰虛宜用熟地黃女子多血熱宜用生地黃

 

살펴보면 王碩(왕석)易簡方(역간방)에는 男子(남자)에게 陰虛(음허)의 경향이 많으면 熟地黃(숙지황)을 쓰는 것이 좋고, 婦人(부인)에게 血熱(혈열)傾向(경향)이 많으면 生地黃(생지황)을 쓰는 것이 좋다”. 라고 되어 있다.

 

又云生地黃能生精血天門冬引入所生之處熟地黃能補精血用麥門冬引入所補之處

 

生地黃(생지황)은 능히 精血(정혈)을 생하고 天門冬(천문동)은 그 ()하는 作用(작용)()하는 唐體(당체)까지 導引(도인)한다. 熟地黃(숙지황)은 능히 精血(정혈)()하고 麥門冬(맥문동)은 그 ()作用(작용)을 받게 하는 唐體(당체)까지 導引(도인)한다. 라고 되어 있다.

 

虞搏醫學正傳生地黃生血而胃氣弱者服之恐妨食熟地黃補血而痰飲多者服之恐泥膈

 

우박(虞搏)의 의학정전(醫學正傳)생지황(生地黃)은 생혈(生血)하는 것이지만, 위기(胃氣)가 약()한 사람이 복용(服用)하면 식물(食物)의 소화(消化)를 그르칠 염려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숙지황(熟地黃)은 보혈(補血)하는 것이지만, 담음(痰飮)이 많은 사람이 복용(服用)하면 격()이 정체될 염려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或云生地黃酒炒則不妨胃熟地黃薑汁炒則不泥膈此皆得用地黃之精微者也

 

혹은 생지황(生地黃)은 주초(酒炒)하면 위()를 그르치지 않으며, 숙지황(熟地黃)은 강즙초(薑汁炒)하면 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모두 지황(地黃) 사용법의 정미(精微)를 습득(習得)한 것이다.

 

頌曰治一切心痛無問新久以生地黃一味隨人所食多少搗絞取汁搜面作餺飥或冷淘食良久當利出蟲長一尺許頭似壁宮後不複患矣

 

崔元亮(최원량)海上方(해상방)發病(발병)(), ()不問(불문)하고 一切(일체)心痛(심통)治療(치료)하는 데는 生地黃(생지황) 一味(일미)를 쓴다. 患者(환자)가 먹을 수 있을 만한 ()을 찧어서 絞汁(교즙)하여 ()에 버무리고 餺飥(박탁)을 만들거나 혹은 冷淘(냉도)로 해서 먹는다. 한참 지나면 반드시 頭形(두형)壁宮(벽궁)과 유사하고 길이 一尺(일척)가량 되는 ()利出(이출)하게 되는데 그 후 다시는 그 ()에 걸리지 않는다.

 

昔有人患此病二年深以爲恨臨終戒其家人吾死後當剖去病本

 

옛날 어떤 사람이 이 ()二年(이년)동안이나 매우 앓고 不治(부치)함을 원통하게 여기고 있었는데 臨終(임종)때에 家人(가인)을 불러서 내가 죽으면 解剖(해부)해서 이 ()本源(본원)을 도래내 달라.“ 라고 遺言(유언)하였다.

 

從其言果得蟲置於竹節中每所食皆飼之因食地黃餺飥亦與之隨即壞爛由此得方

 

死後(사후) 遺言(유언)에 따라서 解剖(해부)해 본 즉, 과연 ()이 있었다. 그래서 그 ()을 잡아 竹筒(죽통) 속에 넣고 食事(식사)때마다 膳部(선부)에 있는 것을 주며 飼育(사육)하였다. 地黄(지황)餺飥(박탁)을 만들었을 때 역시 평소처럼 그것을 주었더니 그 ()은 별안간 壞爛(괴란)하고 말았다. 이로 인하여 위의 ()을 알게 된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劉禹錫傳信方亦紀其事雲貞元十年通事舍人崔抗女患心痛垂絕遂作地黃冷淘食便吐一物可方寸匕狀如蛤蟆無足目似有口遂愈冷淘勿著鹽

 

劉禹錫(유우석)傳信方(전신방)에도 이 ()에 대한 것을 記載(기재)해서 貞元十年(정원십년)通事舍人(통사사인) 崔抗(최항)의 딸이 心痛(심통)을 앓아서 瀕死(빈사)危篤(위독)에 빠졌다. 그때 地黄(지황)冷淘(냉도)를 만들어서 먹였더니 바로 蛤蟆(합마)와 같은 形狀(형상)으로 발도 눈도 없는 입만 있는 듯한 方寸匕(방촌비)가량 되는 이상한 것을 吐出(토출)한 후로 治癒(치유)되었다. 冷淘(냉도)에는 소금을 쳐서는 안 된다.”라고 되어 있다.

 

 

부방(附方)

 

 

瓊玉膏常服開心益智發白返黑齒落更生辟穀延年治癰癤疽勞瘵咳嗽唾血等病鐵瓮城申先生方也

 

常服(상복)하면, 開心(개심), 益智(익지)하고 發白返黑(발백반흑)하며, 齒落更生(치락갱생)하고, 穀食(곡식)()하고, 延年(연년)한다. 癰疽(옹저), 勞瘵(노채), 咳嗽(해수), 唾血(타혈)등의 ()()한다. 이것은 鐵甕城(철옹성)申先生(신선생) ()이다.

 

生地黃汁十六斤取汁),人參末一斤半白茯苓末三斤白沙蜜十斤濾淨拌勻入瓶內箬封安砂鍋中桑柴火煮三日夜再換蠟紙重封浸井底一夜取起再煮一伏時每以白湯或酒點服一匙

 

生地黃(생지황) 十六斤(십육근)에서 ()()하여, 人參末(인삼말), 一斤半(일근반), 白茯苓末(백복령말) 三斤(삼근), 白沙蜜(백사밀) 十斤(십근)濾淨(여정)하고 잘 버무려서 ()에 넣어 ()으로 ()한 후 砂鍋(사과) 속에 넣고 三晝夜(삼주야) 동안 桑柴火(상시화)()한 다음 다시 ()을 바꾸어 蠟紙(납지)二重(이중)으로 ()하고 하룻밤 우물 안에 담갔다가 꺼내 다시 一伏時(일복시)()한다. 그것을 一匙(일시)白湯(백탕) 혹은 술에 ()해서 服用(복용)한다.

 

丹溪云好色虛人咳嗽唾血者服之甚捷

 

丹溪(단계)房事(방사)過度(과도)虛弱(허약)해진 사람의 咳嗽(해수)唾血(타혈)에는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히 빠른 効果(효과)가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國朝太醫院進御服食議加天門冬麥門冬枸杞子末各一斤賜名益壽永真膏

 

明朝(명조)太醫院(태의원)에서는 皇帝(황제)服食進供(복식진공)規定(규정)에는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枸杞子末(구기자말), () 一斤(일근)()하여 名稱(명칭)益壽永眞膏(익수영진고)라고 下賜(하사)하였다.

 

臞仙方》︰加琥珀, 沉香半兩

 

臞仙方(구선방)에서는 湖泊(호박), 沉香(침향) 半兩(반량)()한다.

 

服食法:地黃根洗淨,搗絞汁,煎令稠,入白蜜更煎,令可丸丸如梧子大每晨溫酒送下三十丸日三服亦可以青州棗和丸或別以乾地黃末入膏丸服亦可百日面如桃花三年身輕不老

 

복식법(服食法) 지황근(地黄根)을 세정(洗淨)하고 찧어서 교즙(絞汁)하여 진득거릴때까지 달여서 백밀(白蜜)에 넣고 다시 환()으로 만들 수 있을 때가지 달여서 오자(梧子) 크기의 환()을 만드는 것도 좋다. 혹은 따로 건지황(乾地黃) 가루를 고()에 넣어 환()을 만들어 복용(服用)해도 좋다. 백일(百日) 복용(服用)하면 얼굴이 도화(桃花)와 같이 되며 삼년(三年)을 복용하면 경신불노(經身不老)한다.

 

抱朴子楚文子服地黃八年夜視有光。(《神仙方》)

 

포박자(抱朴子)초문자(楚文子)는 지황(地黄)을 팔년(八年)동안 복용(服用)했더니 밤에도 사물(事物)의 모양을 명백(明白)하게 보았다.” 라고 되어 있다.

 

明目補腎生芐熟芐各二兩川椒紅一兩為末蜜丸梧桐子大每空心鹽湯下三十丸。(《普濟方》)

 

固齒烏須一治齒痛二生津液三變白須其功極妙地黃五斤柳木甑內以土蓋上蒸熟晒乾如此三次搗為小餅每噙咽一枚。(《御藥院方》)

 

男女虛損或大病後或積勞後四體沉滯骨肉酸痛吸吸少氣或小腹拘急腰背強痛咽乾唇燥或飲食無味多臥少起久者積年輕者百日漸至瘦削用生地黃二斤面一斤搗爛炒乾為末每空心酒服方寸匕日三服忌如法。(《肘後方》)。

 

虛勞困乏地黃一石取汁酒三斗攪勻煎收日服。(《必效方》)

 

病後虛汗,口乾心躁熟地黃五兩水三盞煎一盞半分三服一日盡。(《聖惠方》)

 

骨蒸勞熱張文仲方用生地黃一斤搗三度絞取汁盡分再服若利即減之以身輕涼為度。(《外台秘要》)

 

婦人發熱欲成勞病肌瘦食減經候不調地髓煎用乾地黃一斤為末煉蜜丸梧 子大每酒服五十丸。(《保慶集》)

 

婦人勞熱心忪地黃煎用生乾地黃熟乾地黃等分為末生薑自然汁入水相和打糊丸梧子大每服三十丸用地黃湯下或酒醋茶湯下亦可日二服覺臟腑虛冷則晨服八味丸地黃性冷壞脾陰虛則發熱地黃補陰血故也。(《婦人良方》)

 

咳嗽唾血勞瘦骨蒸日晚寒熱生地黃汁三合煮白粥臨熟入地黃汁攪勻空心食之。 (《食醫心鏡》)

 

吐血咳嗽熟地黃末酒服一錢日三。(《聖惠方》)

 

吐血不止生地黃汁一升二合白膠香二兩以瓷器盛入甑蒸令膠消服之。(《梅師》)

 

肺損吐血或舌上有孔出血生地黃八兩取汁),童便五合同煎熱),入鹿角膠炒研一兩分三服

 

心熱吐衄脈洪數者生 汁半升熬至一合入大黃末一兩待成膏丸梧子大每熟水下五丸至十丸。(聖惠方》)

 

鼻出衄血乾地黃龍腦薄荷等分為末冷水調下。(孫兆秘寶方》)

 

吐血便血地黃汁六合銅器煎沸入牛皮膠一兩待化入薑汁半杯分三服便止或微轉一行不妨。(《聖惠方》)

 

腸風下血 生地黃熟地黃並酒浸)、五味子等分為末以煉蜜丸梧子大每酒下七十丸。(《百一選方》)

 

初生便血小兒初生七八日大小便血出乃熱傳心肺不可服涼藥只以生地黃汁五七匙酒半匙蜜半匙和服之。(《全幼心鑒》)

 

小便尿血吐血及耳鼻出血生地黃汁半升生薑汁半合蜜一合和服。(《聖惠方》)

 

小便血淋生地黃汁車前葉汁各三合和煎服。(《聖惠方》)

 

小兒蠱痢生 汁一升二合分三四服立效。(《子母秘錄》)

 

月水不止生地黃汁每服一盞酒一盞煎服日二次。(《千金方》)

 

而無子乃衝任伏熱也熟地黃半斤當歸二兩黃連一兩並酒浸一夜焙研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七十丸米飲溫酒任下。(禹講師方

 

妊娠漏胎下血不止︰《百一方》︰用生地黃汁一升漬酒四合煮三五沸服之不止又服

崔氏方用生地黃為末酒服方寸匕日一夜一。《經心錄》︰加乾薑為末。《保命集》︰

二黃丸用生地黃熟地黃等分為末每服半兩白朮枳殼煎湯空心調下日二服

 

妊娠腹痛妊婦衝任脈虛惟宜抑陽助陰內補丸用熟地黃二兩當歸一兩微炒為末蜜丸梧子大每溫酒下三十丸。(許學士本事方》)

 

妊娠胎動生地黃搗汁煎沸入雞子白一枚攪服。(《聖惠方》)

 

產後血痛有塊並經脈行後腹痛不調黑神散用熟地黃一斤陳生薑半斤同炒乾為末每服二錢溫酒調下。(《婦人良方》)

 

產後惡血不止乾地黃搗末每食前熱酒服一錢連進三服。(《瑞竹堂方》)

 

產後中風脅不得轉交加散用生地黃五兩研汁),生薑五兩取汁)。交互相浸一夕次日各炒黃浸汁乾乃焙為末每酒服一方寸匕。(《濟生方》)

 

產後煩悶乃血氣上沖生地黃汁清酒各一升相和煎沸分二服。(《集驗方》)

 

產後百病地黃酒用地黃汁漬曲二升淨秫米二斗令發如常釀之至熟封七日取清常服令相接忌生冷滑蒜魚一切毒物未產先一月釀成夏月不可造。(千金翼方

 

胞衣不出生地黃汁一升苦酒三合相和暖服必效方

 

寒疝絞痛 來去用烏雞一只治如常法生地黃七斤銼細甑中同蒸下以銅器承取汁清旦服至日晡令盡其間當下諸寒澼訖作白粥食之久疝者作三劑。《肘後方

 

小兒陰腫以蔥椒湯暖處洗之唾調地黃末敷之外腎熱者雞子清調或加牡蠣少許。(危氏方

 

小兒熱病壯熱煩渴頭痛生地黃汁三合蜜半合和勻時時與服。(《普濟方》)

 

熱暍昏沉地黃汁一盞服之

 

熱瘴昏迷 煩悶飲水不止至危者一服見效用地黃根生薄荷葉等分擂爛取自然汁入麝香少許井華水調下覺心下頓涼勿再服。《普濟方

 

溫毒發斑黑膏治溫毒發斑嘔逆生地黃二兩六錢二字半好豆豉一兩六錢二字半以豬膏十兩合之露一夜煎減三分之一絞去滓入雄黃麝香如豆大攪勻分作三服毒從皮中出則愈忌蕪荑。(《千金方》)

 

血熱生癬地黃汁頻服之。(《千金方》)

 

疔腫乳癰地黃搗敷之熱即易性涼消腫無不效。(《梅師方》)

 

癰癤惡肉地黃三斤水一鬥煮取三升去滓煎稠塗紙上貼之日三易。《鬼遺方

 

一切癰疽及打撲傷損未破疼痛者以生地黃杵如泥攤在上摻木香末於中又攤地黃泥一重貼之不過三五度即內消也。(王袞博濟方》)

 

打撲損傷骨碎及筋傷爛用生地黃熬膏裹之以竹簡編夾急縛勿令轉動一日一夕可苦急召田錄事視之尚可救乃以藥封腫處中夜方蘇達旦痛止痛處已白日日換貼其瘀腫移至肩背乃以藥下去黑血三升而愈即上方也肘後方)。損傷打撲瘀血在腹者用生地黃汁三升酒一升半煮二升半分三服。(千金方》)

 

物傷睛突輕者瞼胞腫痛重者目睛突出但目系未斷者即納入急搗生地黃綿裹敷之仍以避風膏藥護其四邊。(《聖濟總錄》)

 

睡起目赤腫起良久如常者血熱也臥則血歸於肝故熱則目赤腫良久血散故如常也用生地黃汁浸粳米半升晒乾三浸三晒每夜以米煮粥食一盞數日即愈有人病此用之得效。(《醫余》)

 

眼暴赤痛水洗生地黃黑豆各二兩搗膏臥時以鹽湯洗目閉目以藥濃罨目上至曉水潤取下。(《聖濟總錄》)

 

蓐內赤目生地黃薄切溫水浸貼。(《短劇方》)

 

牙疳宣露膿血口氣生地黃一斤鹽二合自搗和團以面包煨令煙斷去面入麝一分研勻日夜貼之。(《聖濟錄》)

 

牙齒挺長出一分者常咋生地黃甚妙。(張文仲備急方》)

 

牙動欲脫生地黃綿裹咂之令汁漬根並咽之日五六次。(《千金方》)

 

食蟹齦腫肉胬出者生地黃汁一碗牙皂角數條火炙蘸盡地黃汁爲末敷之。《永類方

 

耳中常鳴生地黃截塞耳中日數易之或煨熟尤妙。《肘後方

 

鬚髮黃赤生地黃一斤生薑半斤各洗研自然汁留滓用不蛀皂角十條去皮弦蘸汁炙至汁盡為度同滓入罐內泥固存性為末用鐵器盛末三錢湯調停二日臨臥刷染鬚髮上即黑。(《本事方》)

 

竹木入肉生地黃嚼爛罨之。(《救急方》)

 

毒箭入肉煎生地黃汁作丸服至百日箭出。(《千金方》)

 

犬咬傷地黃搗汁飯餅塗之百度愈。(《百一方》)

 

 

 

主治

 

惡瘡似癩十年者搗爛日塗鹽湯先洗(《千金方》)。

 

()와 비슷한 惡瘡(악창)十年(십년)이 넘은 것은 우선 鹽湯(염탕)으로 씻은 후에 ()搗爛(도란)해서 날마다 바른다.

 

 

時珍曰抱朴子韓子治用地黃苗喂五十歲老馬生三駒又一百三十歲乃死也

 

살펴보면 抱朴子(포박자)韓子治(한자치)地黄(지황)()五十歲(오십세)老馬(노마)飼育(사육)했는데 그 老馬(노마)三頭(삼두)()를 낳았다. 一百三十歲(일백삼십세)가 되어 죽었다.”라고 되어 있다.

 

 

張鸑朝野僉載雉被鷹傷銜地黃葉點之虎中藥箭食清泥解之鳥獸猶知解毒何況人乎

 

張鸑(장악)朝野僉載(조야첨재)에는 ()()에 상처를 입었을 때는 地黄葉(지황엽)()하여 ()한다. ()藥箭(약전)에 쏘였을 때는 清泥(청니)를 먹고 그 ()()한다. 鳥獸(조수)마저 解毒(해독)하는 方法(방법)을 알고 있는데 하물며 人間(인간)으로서야.” 라고 말하고 있다.

 

 

 

主治

 

四月採陰乾搗末水服方寸匕日三服功與地黃等.(蘇頌)

 

四月(사월)採集(채집)을 해서 陰乾(음건)하고 搗末(도말)해서 一日(일일) 三回(삼회), 方寸匕(방촌비)를 물로 服用(복용)한다. 功力(공력)地黄(지황)比等(비등)하다.

 

 

弘景曰出渭城者有子淮南七精散用之

 

渭城(위성)에서 나는 것에는 씨가 있다. 淮南七精散(회남칠정산)使用(사용)되고 있다.

 

 

 

主治

 

為末服食功同地黃蘇頌)。腎虛腰脊痛為末酒服方寸匕日三時珍)。

 

()로 해서 服食(복식)한다. 功力(공력)地黄(지황)과 같다. 胃虛(위허)腰脊痛(요척통)에는 作末(작말)해서 一日(일일) 三會(삼회) 方寸匕(방촌비)酒服(주복)한다.

 

附方新一

 

)、槐點少許日三四次。(《聖惠方》)

 

[본초강목(本草綱目)]

 

^^^^^^^^^^^^^^^^^^^^^^^^^^^^^^^^^^^^^^^^^^^^^^^^^^^^^^^^^^^^^^^^^^^^^^

지황(地黄) 엽천사

 

 

气寒味甘无毒

 

主伤中逐血痹填骨髓长肌肉作汤除寒热积聚除痹疗折跌绝筋久服轻身不老生者尤良地黄气寒禀天冬寒之水气入足少阴肾经味甘无毒得地中正之土味入足太阴脾经气味重浊阴也

阴者中之守也

伤中者守中真阴伤也

地黄甘寒所以主之痹者血虚不运而风寒湿凑之所以麻木也

地黄味甘益脾脾血润则运动不滞气寒益肾肾气充则开合如式血和邪解而痹瘳矣肾主骨气寒益肾则水足而骨髓充脾主肌肉味甘润脾则土滋而肌肉丰也

作汤除寒热积聚者汤者荡也

或寒或热之积聚汤能荡之也

盖味甘可以缓急性滑可以去着也

其除痹者血和则结者散阴润则闭者通皆补脾之功也

其疗折跌绝筋者筋虽属肝而养筋者脾血也

味甘益脾脾血充足则筋得养而自续也

久服气寒益肾肾气充所以身轻味甘益脾脾血旺则华面所以不老且先后二天交接元气与谷气俱纳也

 

제방(制方)

 

地黄同大蓟小蓟各半捣取自然汁和童便服治血热吐衄症

同麦冬治产后烦闷同沙蒺藜苁蓉鹿茸山茱萸北味治男子精寒

同白茯丹皮泽泻山茱萸山药名六味汤丸治一切阴虚症

同人参远志麦冬枣仁柏仁茯神甘草治心虚怔忡悸忘

同黄耆川莲黄柏枣仁五味麦冬圆肉牡蛎治盗汗不止

同麦冬五味牛膝杞子车前阿胶天冬治尿血

同麦冬五味牛膝治下部无力同砂仁治胎动下血腰痛

同生姜治产后中风同醋炒黄耆治肠风不止

同肉桂山药山茱萸丹皮泽泻白茯名七味汤丸治命门火衰

同肉桂附子山茱萸白茯丹皮泽泻山药丸名肾气丸治命门虚寒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복령[본초강목]  (1) 2024.06.04
금앵자[본초강목]  (0) 2024.05.22
황정[본초강목]  (1) 2024.05.13
세신(細辛)[본초강목]  (0) 2024.04.29
마두령(馬兜鈴)[본초강목]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