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령(馬兜鈴)[본초강목]

2024. 4. 29. 21:3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마두령(馬兜鈴)[본초강목]

 

 

 

 

^^^^^^^^^^^^^^^^^^^^^^^^^^^^^^^^^^^^^^^^^^^^^^^^^^^^^^^^^^^^^^^^^^^^^^^^^^^

 

 

馬兜鈴

 

開寶》)

 

校正

 

並入唐本草獨行根

 

 

釋名

 

都淋藤(《肘後》)獨行根(《唐本》)土青木香(《唐本》)雲南根(《綱目三百兩銀藥

 

 

宗奭曰蔓生附木而上葉脫時其實尚垂狀如馬項之鈴故得名也

 

蔓生(만생)인 것으로 ()에 붙어 위로 뻗고 葉落後(엽락후)에도 그 ()은 매달려 있으며 그 形狀(형상)이 마치 말의 ()에 매다는 ()과 같기 때문에 이 名稱(명칭)이 생겨났다.

 

時珍曰其根吐利人微有香氣故有獨行木香之名嶺南人用治蠱隱其名為三百兩銀藥。《肘後方作都淋蓋誤傳也

 

 

()은 사람을 (), ()시키는 것으로 微香(미향)이 있는 데서 獨行(독행), 木香(목향)이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嶺南地方(영남지방)에서는 이것으로 ()()하고, 名稱(명칭)隱語(은어)使用(사용)하여 三百兩銀藥(삼백량은약)이라고 한다. 肘后方(주후방)道淋(도림)이라 한 것은 아마도 誤傳(오전)이다.

 

 

集解

 

志曰獨行根生古堤城旁所在平澤叢林中皆有之山南名為土青木香一名兜鈴根蔓生葉似蘿 而圓且澀花青白色其子大如桃李而長十月以後枯則頭開四系若囊其中實薄扁似榆莢其根扁而長尺許作葛根氣亦似漢防己二月八月採根

 

頌曰馬兜鈴今關中河東河北浙州郡皆有之春生苗作蔓繞樹而生葉如山蕷葉而濃大背白六月開黃紫花頗類枸杞花七月結實如棗大狀似鈴作四五瓣其根名雲南根微似木香大如小指赤黃色八月采實暴幹

 

 

 

 

修治

 

雷斅曰凡采得實去葉及蔓以生絹袋盛於東屋角畔待乾劈開去革膜取淨子焙用

 

대개 ()採收(채수)한 후에는 ()()除去(제거)하고 生绢袋(생견대)에 담아 지붕의 東屋(동옥)에 걸어 말린 이후에 劈開(벽개)하여 革膜(혁막)()하고 깨끗한 ()()하여 焙用(배용)한다.

 

 

氣味

 

無毒

權曰

時珍曰微苦

 

 

杲曰味厚氣薄陰中微陽入手太陰經

 

()()하고 氣薄(기박)하며 陰中(음중)微陽(미양)이다. 手太陰經(수태음경)에 들어간다.

 

 

主治

 

肺熱咳嗽痰結喘促血痔(《開寶》)。

 

肺熱咳嗽(폐열해수), 痰結(담결), 喘促(천촉), 血痔瘺瘡(혈치누창)

 

 

肺氣上急坐息不得咳逆連連 不止甄權)。

 

肺氣(폐기)上急(상급)하여 ()하고 呼吸(호흡)할 수 없고, 咳逆(해역)이 계속하여 멎지 않는 경우,

 

 

清肺氣補肺去肺中濕熱 (元素)

 

 

肺氣(폐기)를 맑게 하고, 補肺(보폐)하며, 肺中(폐중)濕熱(습열)()한다.

 

 

 

 

發明

 

時珍曰馬兜鈴體輕而虛熟則懸而四開有肺之象故能入肺氣寒味苦微辛寒能清肺熱苦辛能降肺氣

 

마두령(馬兜鈴)의 형체(形體)는 경허(輕虛)하고, ()하면 상현(上縣)하여 사면(四面)에 개()하여 폐()의 형상(形象)이다. 따라서 능()히 폐()에 들어가는 것이다. ()는 한()하고 미신(微辛)하다. ()은 능()히 폐열(肺熱)을 청()하게 하고 고(), ()은 능()히 폐기(肺氣)를 다스린다.

 

 

錢乙補肺阿膠散用之非取其補肺乃取其清熱降氣也

 

전을(錢乙)이 보폐아교산(補肺阿膠散)에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보폐(補肺)하는 것이 직접적(直接的)인 목적(目的)이 아니었고, ()을 청()하게 하고, ()를 강()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했던 것이다.

 

邪去則肺安矣其中所用阿膠糯米則正補肺之藥也湯劑中用多亦作吐故崔氏方用以吐蠱其不能補肺又可推矣

 

사거(邪去)하면 폐()가 평안(平安)해진다는 도리(道理)로 그 속에 사용하고 있는 아교(阿膠), 나미(糯米)는 확실(確實)補肺藥(보폐약)인 것이다. 湯劑中(탕제중)에 이것을 使用(사용)하면 대부분은 ()하고 만다. 그래서 崔氏(최씨)()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하게 한다. 이것이 補肺(보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런 ()에서도 推理(추리)할 수가 있다.

 

 

 

附方舊三新二

 

肺氣喘急馬兜鈴二兩去殼及膜),酥半兩入碗內拌勻慢火炒乾),甘草一兩為末每服一錢水一盞煎六分溫呷或噙之。(《簡要濟眾》)

 

一切心痛不拘大小男女大馬兜鈴一個燈上燒存性為末溫酒服立效。(《摘玄方》)

咽中如有物咽不下吐不出心下熱悶兜鈴一兩煎水服即吐出。(崔行功纂 要方》)

痔 腫痛以馬兜鈴於瓶中燒煙熏病處良。(《日華本草》)

 

 

 

獨行根

 

氣味

 

有毒

大明曰無毒

志曰有毒不可多服吐利不止

 

主治

 

鬼疰積聚諸毒熱腫蛇毒水磨為泥封之日三四次立瘥水煮一二兩取汁服吐蠱毒又搗末水調塗疔腫大效(《唐本》)。

 

鬼疰(귀주), 積聚(적취), 諸毒(제독)熱毒(열독), 蛇毒(사독)에는 물로 ()하여 ()를 만들고 하루 ()~四回(사회) ()하면 바로 ()한다. 물로 ()~二兩(이량)煮汁(자즙)을 내어 服用(복용)하면 蠱毒(고독)()한다. 搗末(도말)하고 물로 調()하여 丁種(정종)에 바르면 큰 効果(효과)가 있다.

 

 

治血氣大明)。

 

血氣(혈기)()한다.

 

 

利大腸治頭風瘙癢禿瘡時珍精義》)。

 

大腸(대장)通利(통리)하고 頭風瘙癢(두풍소양), 禿瘡(독창)()한다. 精義(정의)記載(기재)되어 있다.

 

 

附方舊一新五

 

五種蠱毒︰《肘後方席辨刺史言嶺南俚人多於食中毒人漸不能食胸背漸 脹先寒似瘴用都淋藤十兩水一斗酒二升煮三升分三服毒逐小便出十日慎食毒物不瘥更服土人呼為三百兩銀藥又支太醫云兜鈴根一兩為末水煎頓服當吐蠱出未盡再服或為末水調服亦驗中草蠱毒此術在西涼之西及嶺南人中此毒入咽欲死 者用兜鈴苗一兩為末溫水調服一錢即消化蠱出神效。(《聖惠方》)

 

腸風漏血馬兜鈴藤穀精草荊三棱用烏頭炒過),三味各等分煎水先熏後疔腫複發馬兜鈴根搗爛用蜘蛛網裹敷少時根出。(《肘後方》)

惡蛇所傷青木香半兩煎湯飲之。(《袖珍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정[본초강목]  (1) 2024.05.13
세신(細辛)[본초강목]  (0) 2024.04.29
청대(青黛)[본초강목]  (2) 2024.04.20
수채(睡菜)[본초강목]  (2) 2024.04.20
행채(莕菜)[본초강목]  (1) 202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