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4. 29. 22:3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세신(細辛)[본초강목]
^^^^^^^^^^^^^^^^^^^^^^^^^^^^^^^^^^^^^^^^^^^^^^^^^^^^^^^^^^^^^^^^^^^^^^^^^^^
細辛
(《本經》上品)
【釋名】
小辛(《本經》)、少辛。
頌曰︰華州真細辛,根細而味極辛,故名之曰細辛。
華州(화주)의 眞細辛(진세신)은 根(근)이 가늘고 맛이 극히 맵다. 따라서 이름을 細辛(세신)이라 부른다.
時珍曰︰小辛、少辛,皆此義也。按《山海經》云,浮戲之山多少辛。《管子》云,五沃之土,群藥生少辛,是矣。
小辛(소신), 少辛(소신) 어느 쪽이든 같은 意義(의의)다. 살펴보면 山海經(산해경)“浮戲山(부회산), 少辛(소신)이 만다.”라고 하며, 管子(관자)에 “五沃(오옥)한 땅에 藥草(약초)가 무리지어 자라는데 이것이 少辛(소신)이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細辛,生華陰山谷,二月、八月採根陰乾。
弘景曰︰今用東陽臨海者,形段乃好,而辛烈不及華陰、高麗者。用之去其頭節。
當之曰︰細辛如葵赤黑,一根一葉相連。
頌曰︰今處處有之,皆不及華陰者為真,其根細而極辛。今人多以杜衡為之,杜衡根似飯帚密鬧,細長四、五寸,微黃白色,江淮呼為馬蹄香,不可誤用。
宗奭曰︰細辛,葉如葵,赤黑色,非此則杜衡也。杜衡葉如馬蹄之下,故俗名馬蹄香。蓋根似白前,又似細辛。按︰沈括《夢溪筆談》云︰細辛出華山,極細而直,柔韌,深紫色,味極辛,嚼之習習如椒而更甚於椒。本草云︰細辛水漬令直,是以杜衡偽為之也。東南所用細辛,皆杜衡也。 杜衡黃白色,拳曲而脆,乾則作團,又謂之馬蹄。襄漢間又有一種細辛,極細而直,色黃白,乃是鬼督郵,亦非細辛也。
時珍曰︰《博物志》言杜衡亂細辛,自古已然矣。沈氏所說甚詳。大抵能亂細辛者,不止杜衡,皆當以根苗色味細辨之。葉似小葵,柔莖細根,直而色紫,味極辛者,細辛也。葉似馬蹄,莖微粗,根曲而黃白色,味亦辛者,杜衡也。一莖直上,莖端生葉如傘,根似細辛,微粗直而黃白色,味辛微苦者,鬼督郵也。似鬼督郵而色黑者,及己也。葉似小桑,根似細辛,微粗長而黃色,味辛而有臊氣者,徐長卿也。葉似柳而根似細辛,粗長黃白色而味苦者,白薇也。似白薇而白直味甘者,白前也。
根
【修治】
雷斅曰︰凡使細辛,切去頭、土了,以瓜水浸一宿,曝乾用。須揀去雙葉者,服之害人。
무릇 細辛(세신)을 使用(사용)할 때에는 頭丫(두아)를 잘라 버리고, 瓜水(과수)에 하룻밤 재우고 暴乾(폭건)하여 用(용)한다. 二葉(이엽)짜리는 가려내도록 注意(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服用(복용)하면 害(해)가 되기 때문이다.
【氣味】
辛,溫,無毒。
普曰︰神農、黃帝、雷公、桐君︰辛,小溫;岐伯︰無毒;李當之︰小寒。權曰︰苦、辛。
之才曰︰曾青、棗根為之使。得當歸、芍藥、白芷、芎窮、牡丹、藁本、甘草,共療婦人;得決明、鯉魚膽、青羊肝,共療目痛。惡黃芪、狼毒、山茱萸,忌生菜、狸肉,畏消石、滑石,反藜蘆。
曾靑(증청), 棗根(조근)이 使(사)가 된다. 當歸(당귀), 芍藥(작약), 白芷(백지), 芎窮(궁궁), 牡丹(모단), 藁本(고본), 甘草(감초)와 配合(배합)하면 모두 婦人(부인)의 病(병)을 治療(치료)하고, 決明(결명), 鯉魚膽(이어담), 青羊肝(청양간)과 配合(배합)하면 모든 눈병을 治療(치료)한다. 黃芪(황기), 狼毒(낭독), 山茱萸(산수유)를 惡(오)하며, 生菜(생채), 狸肉(이육)을 忌(기)하고, 消石(소석), 滑石(활석)을 畏(외)하며, 藜蘆(여로)와는 反(반)한다.
【主治】
咳逆上氣,頭痛腦動,百節拘攣,風濕痺痛死肌。久服明目利九竅,輕身長年 (《本經》)。
咳逆上氣(해역상기), 頭痛腦動(두통뇌동), 諸節(제절)의 拘攣(구련), 風濕痹痛(풍습비통), 邪肌(사기), 오래도록 服用(복용)하면 明目(명목)하고 九竅(구규)를 利(이)하며, 輕身(경신)하고 長壽(장수)한다.
溫中下氣,破痰利水道,開胸中滯結,除喉痺 齆鼻不聞香臭,風癇癲疾,下乳結,汗不出,血不行,安五臟,益肝膽,通精氣(《別錄》)。
溫中下氣(온중하기)하고, 破談(파담), 利水道(이수도), 胸中(흉중)의 滯結(체결)을 開(개)하고 喉痺(후비)를 除(제)한다. 齆鼻(옹비)하여 香臭(향취)의 感覺(감각)(체결)이 마비된 것, 風癇癲疾(풍간전질), 乳結(유결)을 下(하)한다. 無汗(무한), 血行(혈행)이 고르지 못한 것, 五臟(오장)을 平安(평안)하게 하고, 肝膽(간담)을 益進(익진)하고, 精氣(정기)를 通利(통리)한다.
添膽氣、治嗽,去皮風濕癢,風眼淚下,除齒痛,血閉,婦人血瀝腰痛(甄權)。
膽氣(담기)를 强(강)하게 하고, 嗽(수)를 治(치)하며, 皮風(피풍)의 濕痒(습양), 風眼(풍안)으로 淚出(누출)하는 것을 去(거)하고, 齒痛(치통), 血閉(혈폐), 婦人(부인)의 血瀝(혈력), 腰痛(요통)을 除去(제거)한다.
含之,去口臭(弘景)。
이것을 머금으면 口臭(구취)가 없어진다.
潤肝燥,治督脈為病,脊強而厥(好古)。
肝燥(간조)를 潤(윤)하게 하며, 督脈病(독맥병)으로 등이 아프고 당기는 것을 治(치)한다.
治口舌生瘡, 大便燥結, 起目內倒睫 (時珍)。
口舌(구설)에서 發生(발생)한 瘡(창), 大便燥結(대변조결)을 治(치)하고, 눈 속의 倒睫(도첩)을 起(기)한다.
【發明】
宗奭曰︰治頭面風痛,不可缺此。
頭部(두부), 面部(면부)의 風痛(풍통)을 治(치)하는데 없으면 안 되는 藥(약)이다.
元素曰︰細辛氣溫,味大辛,氣濃於味,陽也,升也,入足厥陰、少陰血分,為手少陰引經之藥。香味俱細,故入少陰,與獨活相類。
細辛(세신)의 氣(기)는 溫(온), 味(미)는 大辛(대신), 氣(기)가 味(미)보다 厚(후)하다. 陽(양)이며 升(승)도 된다. 足厥陰(족궐음), 足少陰(족소음)의 血分(혈분)에 들고, 手少陰(수소음)의 引經藥(인경약)이다. 香味(향미)가 모두 잘기 때문에 少陰(소음)에 들어가며, 獨活(독활)과 相類(상류)한다.
以獨活為使,治少陰頭痛如神。亦止諸陽頭痛,諸風通用之。味辛而熱,溫少陰之經,散水氣以去內寒。
獨活(독활)을 使(사)로 하여 用(용)하면 少陰(소음)의 頭痛(두통)을 치료하는데 마치 神(신)과 같은 効果(효과)가 있다. 또한 諸陽(제양)의 頭痛諸風(두통제풍)을 고치는데 通用(통용)되고 있다. 味(미)매우 熱(열)하기 때문에 少陰經(소음경)을 溫(온)하게 하여 水氣(수기)를 散(산)하고 그것으로 內寒(내한)을 除去(제거)하는 것이다.
成無己曰︰水停心下不行,則腎氣燥,宜辛以潤之。細辛之辛,以行水氣而潤燥。
水分(수분)이 心下(심하)에 고여 있어 行(행)하지 않으면 腎氣(신기)가 메마른다. 그럴 때는 辛(신)으로 潤(윤)해주는 것이 좋다. 細辛(세신)의 辛(신)은 水氣(수기)를 行(행)하여 潤燥(윤조)한다.
杲曰︰膽氣不足,細辛補之。又治邪氣自裡之表,故仲景少陰証,用麻黃附子細辛湯。
膽氣(담기)의 不足(부족)에는 細辛(세신)으로 補(보)한다. 또 邪氣(사기)가 안에서 밖으로 表出(표출)되는 것을 治療(치료)한다. 따라서 仲景(중경)은 少陰證(소음증)에는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을 用(용)하였다.
時珍曰︰氣之濃者能發熱,陽中之陽也。辛溫能散,故諸風寒、風濕頭痛、痰飲、胸中滯氣、驚癇者,宜用之。
氣(기)가 厚(후)한 것은 잘 發熱(발열)하는 陽中(양중)의 陽(양)이 되므로 辛溫(신온)은 能(능)히 散解(산해)한다. 따라서 諸腫(제종)의 風寒(풍한), 風濕(풍습)의 頭痛(두통), 痰飮(담음), 胸內(흉내)의 滯氣(체기), 驚癎(경간)한 者(자)에게 適合(적합)하다.
口瘡、喉痺、䘌齒諸病用之者,取其能散浮熱,亦火郁則發之之義也。辛能泄肺,故風寒咳嗽上氣者,宜用之。
口瘡(구창), 喉痺(후비), 䘌齒(익치)의 諸病(제병)에 이것을 用(용)하는 것은 그 浮熱(부열)을 散(산)하는 功力(공력)을 利用(이용)하는 것으로서 역시 火鬱(화울)에도 이것을 發生(발생)시키는 意味(의미)가 있다. 辛(신)은 能(능)히 肺(폐)를 泄(설)한다. 따라서 風寒(풍한)으로 咳嗽(해수), 上氣(상기)된 사람에게 的當(적당)하다.
辛能補肝,故膽氣不足,驚癇眼目諸病,宜用之。辛能潤燥,故通少陰及耳竅,便濇者宜用之。
辛(신)은 能(능)히 肝(간)을 補(보)한다. 그러므로 膽氣不足(담기부족), 驚癎(경간), 眼目(안목)의 諸病(제병)에 適合(적합)하다. 辛(신)은 能(능)히 潤燥(윤조)한다. 그러므로 少陰(소음) 밑 耳竅(이규)를 通(통)하게 하고, 便濇(변색)된 사람에게 適合(적합)하다.
承曰︰細辛非華陰者不得為真。若單用末,不可過一錢。多則氣悶塞不通者死,雖死無傷。近年開平獄中嘗治此,不可不記。非本有毒,但不識多寡耳。
細辛(세신)은 華陰山(화음산) 以外(이외)는 眞物(진물)이라고 할 수 없다. 만약 單純(단순)하게 末(말)만을 用(용)하고자 할 때에는 一錢(일전) 以上(이상)을 過用(과용)하면 아니 된다. 量(양)이 많으면 氣息(기식)이 悶塞(민색)하고, 利通(이통)하지 않게 되어 死亡(사망)한다. 죽어도 傷處(상처)가 남지 않는다. 近年(근년)에 開平(개평)의 獄中(옥중)에서 이미 이것을 使用(사용)하였으니 알아두는 것이 좋을 성싶다. 本來(본래)는 毒(독)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단지 用量(용량)을 알지 못하는 것이 問題(문제)로 남는 것이다.
【附方】
舊二,新六。
暗風猝倒,不省人事。細辛末,吹入鼻中。(危氏《得效方》)
虛寒嘔噦,飲食不下。細辛(去葉)半兩,丁香二錢半。為末。每服一錢,柿蒂湯下。小兒客忤口不能言。細辛、桂心末等分,以少許納口中。(《外台秘要》)
小兒口瘡︰細辛末,醋調,貼臍上。(《衛生家寶方》)
口舌生瘡︰細辛、黃連等分,為末摻之,漱涎甚效,名兼金散。 一方用細辛、黃柏。(《三因方》)
口臭䘌齒腫痛。細辛煮濃汁,熱含冷吐,取瘥。(《聖惠方》)
鼻中息肉︰細辛末,時時吹之。(《聖惠方》)
諸般耳聾︰細辛末,溶黃蠟丸鼠屎大,綿裹一丸塞之,一、二次即愈。須戒怒氣,名聰耳丸。(龔氏《經驗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황[본초강목] (0) | 2024.05.22 |
---|---|
황정[본초강목] (1) | 2024.05.13 |
마두령(馬兜鈴)[본초강목] (0) | 2024.04.29 |
청대(青黛)[본초강목] (2) | 2024.04.20 |
수채(睡菜)[본초강목] (2)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