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7. 18:3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작(白芍)[본초강목]
참작약/백작(白芍)
참작약
이명 : [집함박꽃(중)]
학명 :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 Stern
분류군 : Paeoniaceae(작약과)
일명 : Korai-shakuyaku
잎
근생엽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른다. 소엽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엽맥과 더불어 붉은 빛이 돈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2-5개이고 난형이며 갈색의 거친 털이 밀생하고, 내봉선(內縫線)으로 터진다.
꽃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녹색이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잎은 10개 정도로서 도란형이며 길이 5cm정도이고 수술은 많으며 황색이다. 자방은 3-5개로서 털이 밀생하고 짧은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높이 50-80cm이다.
뿌리
뿌리가 방추형이며 비대하고 길며, 절단면은 붉은 빛이 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 한국(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울진군, 포항시)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50-80cm
희귀, 특산식물 정보
[위기종]
평가내용:위기종 / 국가단위
이용방안
▶적작약, 호작약, 참작약의 根(근)을 赤芍藥(적작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하며 3-4년생을 캐내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粗皮(조피)를 벗겨내고 끓는 물에 넣어 잠깐 삶아 내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paeoniflorin, paeonin, 安息香酸(안식향산) 약 1.07%, 精油(정유), 脂肪
油(지방유), 樹脂(수지), tannin, 糖(당), 전분, 粘液質(점액질), 단백질, β-sitosterol,
triterpinoids을 함유하고, 꽃에는 astragalin, kaempferol-3, 7-diglucoside, 다량의
pyrogallol-tannin(10% 이상), pyrethrin 0.13%, 13-methyl-tetradecan酸(산) β
-sitosterol, hexacosane 등이, 잎에는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活血(양혈활혈), 消癰散腫(소옹산종), 斂陰收汗(염음수한)의 효능이 있다. 癰腫
(옹종), 疼痛(동통), 下痢腹痛(하리복통), 産後瘀滯(산후어체), 陰虛發熱(음허발열), 월경불순,
崩漏(붕루),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이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보호방안
최근 경상북도 및 동해안 지역에서 발견된 종으로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학명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 Stern
J. Roy. Hort. Soc. 68 : 129 (1943)
1. Paeonia albiflora var. tricocarpa Bunge
Enum. Pl. Chin. Bor. Coll. 3 (Bunge, 183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aeonia yui W.P.Fang
J. Jax. Chinae 7(4) : 310, pl. 63, f. 1 (195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참작약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집함박꽃(중)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毛果芍藥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 Stern 【異名】
正名:Paeonia lactiflora Pall. 芍藥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
이명(異名)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 Stern
Paeonia yui W. P. Fang
Paeonia albiflora Pall.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Bunge
Paeonia lactiflora var. villosa M. S. Yan et K. Sun
Paeonia sinensis Hort ex Steud.
Paeonia albiflora var. humei Sabine
Paeonia humei (Sabine) Vilm.
Paeonia albiflora var. fragrans Sabine
Paeonia fragrans (Sabine) Redoute
Paeonia albiflora var. hirta Regel
Paeonia albiflora var. purpurea Korsh.
Paeonia albiflora var. spontanea Makino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f. nuda Nakai
Paeonia lactiflora f. nuda (Nakai) Kitag.
Paeonia lactiflora f. pilosella (Nakai) Kitag.
Paeonia albiflora var. typica Huth
Paeonia albiflora var. whitleyi Sabine
Paeonia edulis Salisb.
Paeonia albiflora var. edulis (Salisb.) Pursh
Paeonia whitleyi (Sabine) Hort ex Garden
Paeonia edulis var. reevesiana Paxton
Paeonia reevesiana (Paxton) Baxter et Wooster
Paeonia edulis var. sinensis Sims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f. pilosella Nakai
Paeonia makoya Marnock
Paeonia albiflora f. nuda Nakai
Paeonia albiflora f. pilifera Schipcz.
Paeonia albiflora f. pilosella Nakai
Paeonia lactea Pall.
Paeonia lactiflora Pall.
Reise iii. 286.
iii. 286 0
多年生草本。
莖高60-80厘米,無毛。莖下部葉爲二回三出複葉;小葉狹卵形、披針形或橢圓形,長7.5-12厘米,邊緣密生骨質白色小齒,下面沿脈疏生短柔毛;葉柄長6-10厘米。花頂生並腋生,直徑5.5-10厘米;苞片4-5,披針形,長3-6.5厘米;萼片4,長1.5-2厘米;花瓣白色或粉紅色,9-13,倒卵形,長3-5厘米,寬1-2.5厘米;雄蕊多數;心皮4-5,無毛。
分布於甘肅、陝西、山西、河北、內蒙古和東北;蒙古,蘇聯西伯利亞地區也有。
生於山地草坡。普通栽培的爲重瓣品種。
根藥用,能鎮痛、鎮痙、祛瘀、通經;種子含油量約25 %,供制皂和塗料用。
變種毛果芍藥var. trichocarpa(Bunge) Stern,子房密生柔毛;分布於山西、河北、內蒙古東部、遼寧和吉林。
&&&&&&&&&&&&&&&&&&&&&&&&&&&&&&&&&&&&&&&&&&&&&&&&&&&&&&&&&&&&
작약(芍藥)/백작(白芍)
작약
이명: [적작약] [함박초] [함박꽃]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분류군: Paeoniaceae(작약과)
잎
근생엽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른다. 소엽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엽맥과 더불어 붉은 빛이 돈다.
열매
골돌은 내봉선(內縫線)으로 터진다. 8월 중순경에 종자를 채취할 수 있다.
꽃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또는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녹색이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잎은 10개 정도로서 도란형이며 길이 5cm정도이고 수술은 많으며 황색이다. 자방은 3-5개로서 털이 없고 짧은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높이 50-80cm이고 곧게 선다.
뿌리
뿌리는 방추형이며 굵고 길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80cm이다.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1. Paeonia albiflora Pall.
Fl. Ross. (Pallas) 1(2) : 92, t. 84 (Pall., 1788)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2.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 Makino
국명 작약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적작약
2. 함박꽃
3. 함박초
Paeonia lactiflora Pall.
Reise iii. 286.
iii. 286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
이명(異名)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 Stern
Paeonia yui W. P. Fang
Paeonia albiflora Pall.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Bunge
Paeonia lactiflora var. villosa M. S. Yan et K. Sun
Paeonia sinensis Hort ex Steud.
Paeonia albiflora var. humei Sabine
Paeonia humei (Sabine) Vilm.
Paeonia albiflora var. fragrans Sabine
Paeonia fragrans (Sabine) Redoute
Paeonia albiflora var. hirta Regel
Paeonia albiflora var. purpurea Korsh.
Paeonia albiflora var. spontanea Makino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f. nuda Nakai
Paeonia lactiflora f. nuda (Nakai) Kitag.
Paeonia lactiflora f. pilosella (Nakai) Kitag.
Paeonia albiflora var. typica Huth
Paeonia albiflora var. whitleyi Sabine
Paeonia edulis Salisb.
Paeonia albiflora var. edulis (Salisb.) Pursh
Paeonia whitleyi (Sabine) Hort ex Garden
Paeonia edulis var. reevesiana Paxton
Paeonia reevesiana (Paxton) Baxter et Wooster
Paeonia edulis var. sinensis Sims
Paeonia albiflora var. trichocarpa f. pilosella Nakai
Paeonia makoya Marnock
Paeonia albiflora f. nuda Nakai
Paeonia albiflora f. pilifera Schipcz.
Paeonia albiflora f. pilosella Nakai
Paeonia lactea Pall.
Paeonia lactiflora Pall.
Reise iii. 286.
iii. 286 0
多年生草本。
莖高60-80厘米,無毛。莖下部葉爲二回三出複葉;小葉狹卵形、披針形或橢圓形,長7.5-12厘米,邊緣密生骨質白色小齒,下面沿脈疏生短柔毛;葉柄長6-10厘米。花頂生並腋生,直徑5.5-10厘米;苞片4-5,披針形,長3-6.5厘米;萼片4,長1.5-2厘米;花瓣白色或粉紅色,9-13,倒卵形,長3-5厘米,寬1-2.5厘米;雄蕊多數;心皮4-5,無毛。
分布於甘肅、陝西、山西、河北、內蒙古和東北;蒙古,蘇聯西伯利亞地區也有。
生於山地草坡。普通栽培的爲重瓣品種。
根藥用,能鎮痛、鎮痙、祛瘀、通經;種子含油量約25 %,供制皂和塗料用。
變種毛果芍藥var. trichocarpa(Bunge) Stern,子房密生柔毛;分布於山西、河北、內蒙古東部、遼寧和吉林。
^^^^^^^^^^^^^^^^^^^^^^^^^^^^^^^^^^^^^^^^^^^^^^^^^^^^^^^^^^^^^^^^^^^^^^^^^^^^^^^^^
白芍藥
志曰︰赤者,利小便下氣;白者,止痛散血。
붉은 것은 소변(小便)을 이통(利通)하고 기(氣)를 내리며, 흰 것은 통증(痛症)을 멈추고 혈(血)을 산(散)한다.
大明曰︰赤者補氣,白者補血。
붉은 것은 기(氣)를 보(補)하고, 흰 것은 혈(血)을 보(補)한다.
弘景曰︰赤者小利,俗方以止痛不減當歸。白者道家亦服食之,及煮石用。
붉은 것은 조금 이(利)한다. 일반의방에서 지통(止痛)할 때 사용하여 당귀(當歸)에 못지 않는 효력(效力)이 있다. 흰 것은 도가(道家)에서도 복식(服食)하고 또한 돌을 삶을 때 사용(使用)한다.
成無己曰︰白補而赤瀉,白收而赤散。酸以收之,甘以緩之,故酸甘相合,用補陰血。 收逆氣而除肺燥。又雲︰芍藥之酸,斂津液而益營血,收陰氣而泄邪熱。
흰 것은 보(補)하고 붉은 것은 사(瀉)한다. 흰 것은 수(收)하고 붉은 것은 산(散)한다. 미(味)가 산(酸)한 것은 수(收)로 하고 감(甘)한 것은 완(緩)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酸), 감(甘)으로 상합(相合)하여 사용(使用)하면 음혈(陰血)을 보(補)하고, 기를 통하게 하며 폐조(肺燥)를 제(除)하는 것이다. 우왈(又曰) 작약(芍藥)의 산(酸)은 진액(津液)을 염(斂)하고 영혈(營血)을 익(益)하며 음기(陰氣)를 수(收)하여 사열(邪熱)을 설(泄)한다.
元素曰︰白補赤散,瀉肝補脾胃。酒浸行經,止中部腹痛;與薑同用,溫經散濕通塞,利腹中痛,胃氣不通。
흰 것은 보(補)하고, 붉은 것은 산(散)하는 것으로, 간(肝)을 사(瀉)하고 비위(脾胃)를 보(補)할 때에는 술에 담가 경(經)을 행(行)하게 하니 중부(中部)의 복통(腹痛)을 그치게 한다. 강(薑)과 함께 용(用)하여 경(經)을 온(溫)하게 하고, 습(濕)을 산(散)하며, 색(塞)을 통(通)하고, 복중(腹中)의 통(通), 위기(胃氣)의 불통(不通)을 이(利)한다.
白芍入脾經補中焦,乃下利必用之藥。蓋瀉利皆太陰病,故不可缺此。得炙甘草為佐,治腹中痛,夏月少加黃芩,惡寒加桂,此仲景神方也。
백작(白芍)은 비경(脾經)에 들어가서 중초(中焦)를 보(補)하는 것으로 하리(下痢)에는 반드시 용(用)하지 않으면 안되는 약(藥)이다. 대개 사리(瀉利)는 모두 태음(太陰)의 병(病)이기 때문에 이것이 없으면 안 되는 이치이다. 자감초(炙甘草)를 좌(佐)로 해서 배합(配合)하면 복중통(腹中痛)을 치료(治療)한다. 하계(夏季)에는 소량의 황금(黃芩)을 첨가(添加)하고, 오한(惡寒)에는 계(桂)를 첨가(添加)한다. 이것은 장중경(張仲景)의 신방(神方)이다.
其用凡六︰安脾經,一也;治腹痛,二也;收胃氣,三也;止瀉痢,四也;和血脈,五也;固腠理,六也。
이약의 공용(功用)에는 대체로 육종(六種)이 있는데 비경(脾經)을 안정(安定)함이 하나, 복통(腹痛)을 치(治)함이 둘, 위기(胃氣)를 수(收)함이 셋, 사리(瀉痢)를 지(止)하는 것이 넷, 혈맥(血脈)을 화(和)하는 것이 다섯, 주리(腠理)를 견고하게 함이 여섯이 된다.
時珍曰︰白芍藥益脾,能於土中瀉木。赤芍藥散邪,能行血中之滯。
백작약(白芍藥)은 비(脾)를 익(益)하여 토중(土中)에 목(木)을 사(瀉)하며, 적작약(赤芍藥)은 사(邪)를 산(散)하여서 혈중(血中)의 체(滯)를 행(行)하게 하는 것이다.
《日華子》言︰赤補氣,白治血,欠審矣。產後肝血已虛,不可更瀉,故禁之。酸寒之藥多矣,何獨避芍藥耶? 以此頌曰: 張仲景 治傷寒多用芍藥 以其主寒熱利小便故也。
일화자(日華子)가 “적(赤)은 기(氣)를 보(補)하고, 백(白)은 혈(血)을 치(治)한다”라고 말했으나, 그것은 심상(審詳)을 결(缺)하고 있다. 산후(産後)에 간혈(肝血)이 이미 허(虛)하여 조금도 사(瀉)하면 안 되기 때문에 금(禁)하는 데에 산한약(酸寒藥)이 많은 것으로서 단지 작약(芍藥)에 한해서만 특별히 피하라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유로서 소송(蘇頌)은 “장중경(張仲景)이 상한(傷寒)을 치(治)하는데 많은 작약(芍藥)을 사용(使用)한 것은 그 자체(自體)의 공(功)이 한열(寒熱)에 주효(主效)가 있어 소변(小便)을 이통(利通)하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으며,
杲曰︰或言古人以酸澀為收,《本經》何以言利小便?曰︰芍藥能益陰滋濕而停津液,故小便自行,非因通利也。曰︰又言緩中何也?曰︰損其肝者緩其中,即調血也,故四物湯用芍藥。
이고(李杲)는 “어떤 사람은 고인(古人)은 산색(酸塞)으로써 수(收)하는 것으로 삼았는데 본경(本經)에는 소변(小便)을 이(利)한다고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물으니, 그것은 작약(芍藥)이 능(能)히 음(陰)을 익(益)하고 습(濕)을 자(滋)하여 진액(津液)을 정체(停滯)시키는 데서 소변(小便)이 절로 나오는 것으로서 통리(通利)의 공(功)에 의거(依據)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고, 또 말하길 “ 중(中)을 완(緩)하게 한다고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라고 물으니, 그것은 간(肝)을 손상(損傷)한 자(者)에 대하여 그 중(中)을 완(緩)하게 하는 것으로서 즉, 혈(血)을 조(調)하는 것이다”라고 대답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사물탕(四物湯)에는 작약(芍藥)을 용(用)하였다.
大抵酸澀者為收斂停濕之劑,故主手足太陰經收斂之體,又能治血海而入於九地之下,後至厥陰經。白者色在西方,故補;赤者色在南方,故瀉。
대개 산색(酸塞)한 것은 수렴(收斂), 정습체(停濕滯)이므로 수족태음경(手足太陰經)을 주(主)로 하는 것으로서 수렴작용(收斂作用)의 본질(本質)은 또한 혈해(血海)를 치(治)하고 끝까지 인체(人體)의 하부(下部)에 미쳐, 후(後)에 궐음경(厥陰經) 도달(到達)하는 것이다. 흰 색의 것은 방위(方位)로 배분(配分)해 보면 서(西)에 해당되는 것이니 보(補)가 되고, 붉은색은 남(南)에 해당되는 것이니 사(瀉)가 되는 것이다.
[本草綱目]
&&&&&&&&&&&&&&&&&&&&&&&&&&&&&&&&&&&&&&&&&&&&&&&&&&&&&&&&&&&&
曆代本草著作對白芍的論述(역대본초저작대백작적론술)
《神農本草經》:味苦,平,主治邪氣腹痛,除血痹,破堅積,寒熱,疝瘕,止痛,利小便,益氣。
《名醫別錄》:味酸,微寒,有小毒。主通順血脈,緩中,散惡血,逐賊血,去水氣,利膀胱、大小腸,消癰腫,時行寒熱,中惡,腹痛,腰痛。
《藥性論》:臣。能治肺邪氣,腹中絞痛,血氣積聚,通宣髒腑擁氣, 治邪痛敗血,主時疾骨熱,強五髒,補腎氣,治心腹堅脹,婦人血閉不通,消瘀血,能蝕膿。
《日華子本草》:治風、補勞,主女人一切病,並產前後諸疾,通月水,退熱,除煩,益氣,天行熱疾,瘟瘴,驚狂,婦人血運,及腸風,瀉血,痔瘺。發背,瘡疥,頭痛,明目,目赤努肉。赤色者多補氣,白者治血。
《開寶本草》:味苦、酸,平、微寒,有小毒。通順血脈,緩中,散惡血,逐賊血,去水氣,利膀胱、大小腸,消癰腫,時行寒熱,中惡,腹痛,腰痛。
《本草衍義》:然血虛寒人禁此一物。古人有言曰:減芍藥以避中寒,誠不可忽。
《藥類法象》:氣微寒,味酸。
補中焦之藥,得炙甘草爲輔,治腹中痛之聖藥也。如夏月腹痛,少加黃芩,其痛立止。若病人春夏秋三時腹疼,亦少加黃芩。若惡寒腹痛,加肉桂一分,白芍藥三錢,炙甘草一錢半,此三味爲治寒腹疼,此仲景神品藥也。如深秋腹痛,更加桂二錢。如冬月大寒腹中冷痛,加桂一錢半,水二盞,煎一盞。
《藥性賦》:味酸,平,性寒,有小毒。可升可降,陽也。其用有四:扶陽氣大除腹痛,收陰氣陡健脾經。墜其胎能逐其血,損其肝能緩其中。
《湯液本草》:氣微寒,味酸而苦。氣薄味厚,陰也,降也。陰中之陽,有小毒。
入手、足太陰經。
《象》雲:補中焦之藥,得炙甘草爲佐,治腹中痛。夏月腹痛,少加黃芩。如惡寒腹痛,加肉桂一錢,白芍藥三錢,炙甘草一錢半,此仲景神方也。如冬月大寒腹痛,加桂二錢半,水二盞,煎一半。去皮用。
《心》雲:脾經之藥,收陰氣,能除腹痛,酸以收之,扶陽而收陰氣,泄邪氣,扶陰。與生薑同用,溫經散濕,通塞,利腹中痛,胃氣不通,肺燥氣熱。酸收甘緩,不利必用之藥。
《珍》雲:白補赤散,瀉肝,補脾胃。酒浸行經,止中部腹痛。
《本草》雲:主邪氣腹痛,除血痹,破堅積,寒熱疝瘕,止痛,利小便,益氣,通順血脈,緩中,散惡血,逐賊血,去水氣,利膀胱。
《衍義》雲:然血虛寒人禁此一物,古人有言:減芍藥以避中寒。誠不可忽。今見花赤者爲赤芍藥,花白者爲白芍藥,俗雲白補而赤瀉。
東垣雲:但澀者爲上。或問:古今方論中多以澀爲收,今《本經》有利小便一句者,何也?東垣雲:芍藥能停諸濕而益津液,使小便自行,本非通行之藥,所當知之。又問:有緩中一句,何謂緩中?東垣雲:損其肝者緩其中。又問當用何藥以治之?東垣雲:當用四物湯,以其內有芍藥故也。赤者利小便下氣,白者止痛散氣血。入手、足太陰經。太抵酸澀者爲上,爲收斂停濕之劑,故主手、足太陰經。收降之體,故又能至血海而入於九地之下,後至厥陰經也。後人用赤瀉白補者,以其色在西方故補,色在南方故泄也。
《本草》雲:能利小便。非能利之也,以其腎主大、小二便,既用此以益陰滋濕,故小便得通也。
《難經》雲:損其肝者緩其中。即調血也。沒藥、烏藥、雷丸爲之使。
《本草》又雲:惡石斛、芒硝,畏硝石、鱉甲、小薊,反藜蘆。
《液》雲:腹中虛痛,脾經也,非芍藥不除。補津液停濕之劑。
《本草衍義補遺》:酒浸炒,與白術同用則能補脾;與川芎同用,則瀉肝;與人參、白術同用則補氣。治腹中痛而下痢者必炒,後重不炒。又雲:白芍惟治血虛腹痛,諸腹痛皆不可治。芍藥白補赤瀉。又雲:赤者利小便下氣,白者止痛散血。又雲:血虛寒人禁此一物。古人有言曰:減芍藥以避中寒,誠不可忽。
《本草發揮》:成聊攝雲:芍藥白補而赤瀉,白收而赤散也。又雲:芍藥之酸,收斂津液而益榮。又雲:正氣虛弱,收而行之。芍藥之酸,以收正氣。又雲:酸收也,泄也。芍藥之酸,收陰氣而泄邪氣。又雲:肺燥氣熱,以酸收之,以甘緩之。芍藥之酸,以斂逆氣。
潔古雲:白芍藥補中焦之藥,炙甘草爲輔,治腹中痛。如夏月腹痛,少加黃芩;惡熱而痛,加黃柏;若惡寒腹痛,加肉桂一分,白芍藥二分,炙甘草一分半,此仲景神品藥也。如寒月大寒腹痛,加桂一錢半,水二盞,煎一盞服。《主治秘訣》雲:性寒,味酸,氣厚味薄,升而微降,陽中陰也。其用有六:安脾經一也,治腹痛二也,收胃氣三也,止瀉痢四也,和血脈五也,固腠理六也。白補赤散,瀉肝補脾。酒浸引經,止中部腹痛。去皮用。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학초[본초강목] (3) | 2024.03.06 |
---|---|
모단(牡丹)[본초강목] (2) | 2024.02.27 |
적작약[본초강목] (1) | 2024.02.27 |
상륙(商陸)[본초강목] (1) | 2024.02.27 |
상륙(商陸)[본경/동의보감] (1)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