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7. 18:0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적작약[본초강목]
^^^^^^^^^^^^^^^^^^^^^^^^^^^^^^^^^^^^^^^^^^^^^^^^^^^^^^^^^^^^^^^^^^^^^^^^^^^^^^^^^
芍藥
《本經》中品)
【釋名】
將離(《綱目》)犁食(《別錄》)白朮(《別錄》)餘容(《別錄》)鋌(《別錄》)白者名金芍藥(《圖經》) 赤者名木金芍藥.
時珍曰︰芍藥,猶婥約也。 婥約,美好貌。此草花容婥約,
芍藥(작약)은 婥約(작약)이란 意味(의미)이다. 婥約(작약)은 美好(미호)의 形容(형용)으로 그 草(초)는 꽃의 姿態(자태)가 婥約(작약)하기 때문에 그 形容詞(형용사)가 이름이 된 것이다.
《羅願 爾雅翼言》︰製食之毒,莫良於芍,故得藥名,亦通。
羅願(나원)의 爾雅翼(이아익)에 “食毒(식독)을 制(제)하는 데 勺(작)보다 좋은 것은 없다. 따라서 藥(약)의 文字(문자)를 이름으로 使用(사용)한 것이다.
鄭風詩雲︰伊芳其相謔,贈之以芍藥。《韓詩外傳》雲︰芍藥,離草也。董子雲︰芍藥一名將離,故將別贈之。俗呼其花之千葉者,為小牡丹;赤者為木芍藥,與牡丹同名也。
【集解】
《別錄》曰︰芍藥生中嶽川穀及丘陵,二月、八月採根,曝乾。
弘景曰︰今出白山、蔣山、茅山最好,白而長尺許。餘處亦有而多赤,赤者小利。
志曰︰此有赤白兩種,其花亦有赤白二色。
頌曰︰今處處有之,淮南者勝。春生紅芽作叢,莖上三枝五葉,似牡丹而狹長,高一、二尺。夏初開花,有紅白紫數種,結子似牡丹子而小。秋時采根。崔豹《古今注》雲︰芍藥有二種︰有草芍藥、木芍藥。木者花大而色深,俗呼為牡丹,非矣。《安期生服煉法》︰芍藥有金芍藥,色白多脂肉;木芍藥,色紫瘦多脈。
承曰︰《本經》芍藥生丘陵。今世多用人家種植者,乃欲其花葉肥大,必加糞壤。每歲 八、九月取根分削,因利以為藥。今淮南真陽尤多,根雖肥大而香味不佳,入藥少效。
時珍曰︰昔人言洛陽牡丹、揚州芍藥甲天下。今藥中所用,亦多取揚州者。十月生芽,至春乃長,三月開花。其品凡三十餘種,有千葉、單葉、樓子之異。入藥宜單葉之根,氣味全濃。根之赤白,隨花之色也。
根
【修治】
雷斅曰︰凡采得,竹刀刮去皮並頭土,銼細,以蜜水拌蒸,從巳至未,曬乾用。
무릇 이것을 採取(채취)하였다면 竹刀(죽도)로 皮(피)와 더물어 頭土(두토)를 깍아내고 잘게 다져 蜜水(밀수)를 섞어 午前(오전) 十時(십시)쿠터 午後(오후) 二時(이시)까지 찌고 曬乾(쇄건)하여 使用(사용)한다.
時珍曰︰今人多生用,惟避中寒者以酒炒,入女人血藥以醋炒耳。
요즘은 一般(일반)에서 많이 生用(생용)하는데 다만 中寒(중한)을 피하기 위해 술로 볶고, 婦人(부인)의 血藥(혈약)에 넣기 위해 醋(초)로 볶을 뿐이다.
【氣味】
苦,平,無毒。
《別錄》曰︰酸,微寒,有小毒。
普曰︰神農︰苦;桐君︰甘,無毒;岐伯︰鹹;雷公︰酸。李當之︰小寒。
元素曰︰性寒,味酸,氣厚味薄,升而微降,陽中陰也。
性(성)은 寒(한), 味(미)는 酸(산), 氣(기)는 厚(후)하고 味薄(미박)하며 升(승)으로써 微降(미강)하고 陽中(양중)의 陰(음)이다.
杲曰︰白芍藥酸,平,有小毒,可升可降,陰也。
白芍藥(백작약)은 酸(산)하고, 平(평)하며 小毒(소독)이 있다. 升(승)하고 降(강)하며, 陰(음)이다.
好古曰︰味酸而苦,氣薄味濃,陰也,降也,為手足太陰行經藥,入肝脾血分。
味(미)는 酸(산)하고, 苦(고)하다. 氣(기)는 薄(박)하며 味(미)는 厚(후)하고 陰(음)으로서 降(강)이 되고, 手足太陰(수족태음)의 行經藥(행경약)이다. 肝脾(간비)으 血分(혈분)에 들어간다.
之才曰︰須丸為之使,惡石斛、芒硝,畏消石、鱉甲、小薊,反藜蘆。
須丸(수환)이 使(사)가 된다. 石斛(석곡), 芒硝(망초)를 惡(오)하고, 消石(소석), 鱉甲(별갑), 小薊(소계)를 畏(외)하며, 藜蘆(여로)와는 反(반)한다.
禹錫曰︰別本須丸作雷丸。
別本(별본)에는 須丸(수환)을 雷丸(뇌환)이라 記錄(기록)하였다.
時珍︰同白朮補脾,同芎藭瀉肝,同人參補氣,同當歸補血,以酒炒補陰,同甘草止腹痛,同黃連止瀉痢,
同防風生痘疹, 同薑黃棗散濕溫經.
白朮(백출)과 功用(공용)하면 脾(비)를 補(보)하고, 芎藭(궁궁)과 功用(공용)하면 肝(간)을 瀉(사)하고, 人參(인삼)과 功用(공용)하면 氣(기)를 補(보)하며, 當歸(당귀)와 功用(공용)하면 血(혈)을 補(보)하고, 酒炒(주초)하면 補陰(보음)하며, 甘草(감초)와 功用(공용)하면 腹痛(복통)이 멎고, 黃連(황련)과 功用(공용)하면 瀉痢(사리)를 멈추며, 防風(방풍)과 功用(공용)하면 痘疹(두진)이 發生(발생)하고, 薑(강), 棗(조)와 功用(공용)하면 經(경)을 溫(온)하여 濕(습)을 散(산)한다.
【主治】
邪氣腹痛,除血痺,破堅積,寒熱疝瘕,止痛,利小便,益氣(《本經》)。
邪氣(사기), 腹痛(복통), 血痺(혈비)를 除(제)하고 堅積(견적)을 破(파)하며, 寒熱疝瘕(한열산가)에는 止痛(지통)하고 小便(소변)을 利通(이통)하고 益氣(익기)한다.
通順血脈,緩中,散惡血,逐賊血,去水氣,利膀胱大小腸,消癰腫,時行寒熱,中惡腹痛腰痛(《別錄》)。
血脈(혈맥)을 順通(순통)하며, 中(중)을 緩(완)하게 하고 惡血(악혈)을 散(산)하며, 賊血(적혈)을 몰아내고, 水氣(수기)를 去(거)하고, 膀胱(방광), 大小腸(대소장)을 利(이)하며 癰腫(옹종)을 消(소)한다. 時行寒熱(시행한열), 中惡(중악), 腹痛(복통), 腰痛(요통)
治臟腑壅氣,強五臟,補腎氣,治時疾骨熱,婦人血閉不通,能蝕膿(甄權)。
臟腑(장부)의 壅氣(옹기)를 治(치)하고, 五臟(오장)을 強化(강화)하고, 腎氣(신기)를 補(보)하며, 時疾(시질)의 骨熱(골열), 婦人(부인)의 血閉不通(혈폐불통)을 治(치)하고, 能(능)히 膿(농)을 蝕(식)한다.
女人一切病,胎前產後諸疾,治風補勞,退熱除煩,益氣, 驚狂, 頭痛, 明赤眼, 腹風瀉血, 痔漏發背瘡疥(大明)。
女人(여인) 一切(일체)의 病(병), 産前(산전), 産後(산후)의 諸疾(제질), 風(풍)을 治(치)하고, 勞(노)를 補(보)하고, 熱(열)을 물리치고, 除煩(제번)하고 益氣(익기)한다. 驚狂(경광), 頭痛(두통), 붉은 눈을 밝게 한다. 腹風瀉血(복풍사혈), 痔漏(치루), 發背(발배), 瘡疥(창개)
瀉肝,安脾肺,收胃氣,止瀉利,固腠理,和血脈,收陰氣,斂逆氣(元素)。
瀉肝(사간)하고, 脾肺(비폐)를 安靜(안정)시키며 胃氣(위기)를 거두고, 瀉痢(사리)를 멈추며, 腠理(주리)를 견고하게 하고, 血脈(혈맥)을 和(화)하며, 陰氣(음기)를 모으고 逆氣(역기)를 가라앉힌다.
理中氣,治脾虛中滿,心下痞,脅下痛,善噫,肺急脹逆喘咳,太陽鼽衄目澀,肝血不足,陽維病苦寒熱,帶脈病苦腹痛滿,腰溶溶如坐水中(好古)。
中氣(중기)를 理(이)하고, 脾虛中滿(비허중만), 心下痞(심하비), 脇下痛(협하통), 자주 噫(희)하여 肺(폐)가 急促(급촉)해지는 것, 脹逆喘咳(창역천해), 太陽(태양)의 鼽衄(구뉵), 目澀(목삽), 肝血不足(간혈부족), 陽維(양유)의 病(병) 때문에 寒熱(한열)로 괴로운 것, 帶脈病(대맥병)으로 腹(복)이 痛滿(통만)하여 괴로운 것, 허리가 溶溶(용용)하여 水中(수중)에 앉아 있는 듯한 것을 治(치)한다.
止下痢腹痛後重(時珍)。
下痢(하리), 腹痛後重(복통후중)을 멈춘다.
【發明】
志曰︰赤者,利小便下氣;白者,止痛散血。
붉은 것은 소변(小便)을 이통(利通)하고 기(氣)를 내리며, 흰 것은 통증(痛症)을 멈추고 혈(血)을 산(散)한다.
大明曰︰赤者補氣,白者補血。
붉은 것은 기(氣)를 보(補)하고, 흰 것은 혈(血)을 보(補)한다.
弘景曰︰赤者小利,俗方以止痛不減當歸。白者道家亦服食之,及煮石用。
붉은 것은 조금 이(利)한다. 일반의방에서 지통(止痛)할 때 사용하여 당귀(當歸)에 못지 않는 효력(效力)이 있다. 흰 것은 도가(道家)에서도 복식(服食)하고 또한 돌을 삶을 때 사용(使用)한다.
成無己曰︰白補而赤瀉,白收而赤散。酸以收之,甘以緩之,故酸甘相合,用補陰血。收逆氣而除肺燥。又雲︰芍藥之酸,斂津液而益營血,收陰氣而泄邪熱。
흰 것은 보(補)하고 붉은 것은 사(瀉)한다. 흰 것은 수(收)하고 붉은 것은 산(散)한다. 미(味)가 산(酸)한 것은 수(收)로 하고 감(甘)한 것은 완(緩)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酸), 감(甘)으로 상합(相合)하여 사용(使用)하면 음혈(陰血)을 보(補)하고, 기를 통하게 하며 폐조(肺燥)를 제(除)하는 것이다. 우왈(又曰) 작약(芍藥)의 산(酸)은 진액(津液)을 염(斂)하고 영혈(營血)을 익(益)하며 음기(陰氣)를 수(收)하여 사열(邪熱)을 설(泄)한다.
元素曰︰白補赤散,瀉肝補脾胃。酒浸行經,止中部腹痛;與薑同用,溫經散濕通塞,利腹中痛,胃氣不通。白芍入脾經補中焦,乃下利必用之藥。蓋瀉利皆太陰病,故不可缺此。 得炙甘草為佐,治腹中痛,夏月少加黃芩,惡寒加桂,此仲景神方也。
흰 것은 보(補)하고, 붉은 것은 산(散)하는 것으로, 간(肝)을 사(瀉)하고 비위(脾胃)를 보(補)할 때에는 술에 담가 경(經)을 행(行)하게 하니 중부(中部)의 복통(腹痛)을 그치게 한다. 강(薑)과 함께 용(用)하여 경(經)을 온(溫)하게 하고, 습(濕)을 산(散)하며, 색(塞)을 통(通)하고, 복중(腹中)의 통(通), 위기(胃氣)의 불통(不通)을 이(利)한다. 백작(白芍)은 비경(脾經)에 들어가서 중초(中焦)를 보(補)하는 것으로 하리(下痢)에는 반드시 용(用)하지 않으면 안되는 약(藥)이다. 대개 사리(瀉利)는 모두 태음(太陰)의 병(病)이기 때문에 이것이 없으면 안 되는 이치이다. 자감초(炙甘草)를 좌(佐)로 해서 배합(配合)하면 복중통(腹中痛)을 치료(治療)한다. 하계(夏季)에는 소량의 황금(黃芩)을 첨가(添加)하고, 오한(惡寒)에는 계(桂)를 첨가(添加)한다. 이것은 장중경(張仲景)의 신방(神方)이다.
其用凡六︰安脾經,一也;治腹痛,二也;收胃氣,三也;止瀉痢,四也;和血脈,五也;固腠理,六也。
이약의 공용(功用)에는 대체로 육종(六種)이 있는데 비경(脾經)을 안정(安定)함이 하나, 복통(腹痛)을 치(治)함이 둘, 위기(胃氣)를 수(收)함이 셋, 사리(瀉痢)를 지(止)하는 것이 넷, 혈맥(血脈)을 화(和)하는 것이 다섯, 주리(腠理)를 견고하게 함이 여섯이 된다.
宗奭曰︰芍藥須用單葉紅花者為佳,然血虛寒人禁之。古人雲︰減芍藥以避中寒。誠不可忽。
작약(芍藥)은 반드시 단엽홍화(單葉紅花)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좋지만, 기(氣)가 허한(虛寒)한 환자(患者)에게는 금물(禁物)이다. 옛 사람도 작약(芍藥)을 감(減)하고 중한(中寒)을 피하라고 말하고 있다. 참으로 소홀히 취급(取扱)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震亨曰︰芍藥瀉脾火,性味酸寒,冬月必以酒炒。凡腹痛多是血脈凝澀,亦必酒炒用。然止能治血虛腹痛,餘並不治。為其酸寒收斂,無溫散之功也。下痢腹痛必炒用,後重者不炒。產後不可用者,以其酸寒伐生發之氣也。必不得已,亦酒炒用之。
작약(芍藥)은 비화(脾火)를 사(瀉)하는 것이지만, 성미(性味)가 산한(酸寒)하기 때문에 동계(冬季)에는 반드시 술에 볶아 사용(使用)한다. 무릇 복통(腹痛)의 대부분(大部分)은 혈맥(血脈)의 응색(應濇)에 인(因)한 것이니 반드시 술에 볶아 사용(使用)하는 것인데 단지 혈허(血虛)의 복통(腹痛)을 고칠 뿐으로서 그 외(外)에는 아무런 치효(治效)가 없다. 이것은 그 산한(酸寒)이 수렴(收斂)하는 것뿐으로 온(溫), 산(散)의 공력(公力)이 없기 때문이다. 하리복통(下痢腹痛)에는 반드시 볶아서 사용(使用)한다. 후중(後重)한 자(者)에게는 볶지 않고 용(用)한다. 산후(産後)에 사용(使用)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이 물건의 산한(酸寒)이 생발(生發)의 기(氣)를 상하게 하는 것으로서 부득이 한 때에는 역시 술로 볶아 사용(使用)한다.
時珍曰︰白芍藥益脾,能於土中瀉木。赤芍藥散邪,能行血中之滯。
백작약(白芍藥)은 비(脾)를 익(益)하여 토중(土中)에 목(木)을 사(瀉)하며, 적작약(赤芍藥)은 사(邪)를 산(散)하여서 혈중(血中)의 체(滯)를 행(行)하게 하는 것이다.
《日華子》言︰赤補氣,白治血,欠審矣。產後肝血已虛,不可更瀉,故禁之。酸寒之藥多矣,何獨避芍藥耶? 以此杲曰︰或言古人以酸澀為收,
일화자(日華子)가 “적(赤)은 기(氣)를 보(補)하고, 백(白)은 혈(血)을 치(治)한다”라고 말했으나, 그것은 심상(審詳)을 결(缺)하고 있다. 산후(産後)에 간혈(肝血)이 이미 허(虛)하여 조금도 사(瀉)하면 안 되기 때문에 금(禁)하는 데에 산한약(酸寒藥)이 많은 것으로서 단지 작약(芍藥)에 한해서만 특별히 피하라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유로서 소송(蘇頌)은 “장중경(張仲景)이 상한(傷寒)을 치(治)하는데 많은 작약(芍藥)을 사용(使用)한 것은 그 자체(自體)의 공(功)이 한열(寒熱)에 주효(主效)가 있어 소변(小便)을 이통(利通)하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으며, 이고(李杲)는 “어떤 사람은 고인(古人)은 산색(酸塞)으로써 수(收)하는 것으로 삼았는데
《本經》何以言利小便?曰︰芍藥能益陰滋濕而停津液,故小便自行,非因通利也。
본경(本經)에는 소변(小便)을 이(利)한다고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물으니, 그것은 작약(芍藥)이 능(能)히 음(陰)을 익(益)하고 습(濕)을 자(滋)하여 진액(津液)을 정체(停滯)시키는 데서 소변(小便)이 절로 나오는 것으로서 통리(通利)의 공(功)에 의거(依據)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고,
曰︰又言緩中何也?曰︰損其肝者緩其中,即調血也,故四物湯用芍藥。大抵酸澀者為收斂停濕之劑,故主手足太陰經收斂之體,又能治血海而入於九地之下,後至厥陰經。
또 말하길 “ 중(中)을 완(緩)하게 한다고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라고 물으니, 그것은 간(肝)을 손상(損傷)한 자(者)에 대하여 그 중(中)을 완(緩)하게 하는 것으로서 즉, 혈(血)을 조(調)하는 것이다”라고 대답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사물탕(四物湯)에는 작약(芍藥)을 용(用)하였다. 대개 산색(酸塞)한 것은 수렴(收斂), 정습체(停濕滯)이므로 수족태음경(手足太陰經)을 주(主)로 하는 것으로서 수렴작용(收斂作用)의 본질(本質)은 또한 혈해(血海)를 치(治)하고 끝까지 인체(人體)의 하부(下部)에 미쳐, 후(後)에 궐음경(厥陰經) 도달(到達)하는 것이다.
白者色在西方,故補;赤者色在南方,故瀉。
흰 색의 것은 방위(方位)로 배분(配分)해 보면 서(西)에 해당되는 것이니 보(補)가 되고, 붉은색은 남(南)에 해당되는 것이니 사(瀉)가 되는 것이다.
【附方】舊六,新一十。
服食法︰頌曰︰安期生服煉芍藥法雲︰芍藥有二種︰救病用金芍藥,色白多脂肉;其木芍藥,色紫瘦多脈。若取審看,勿令差錯。凡采得,淨洗去皮,以東流水煮百沸,陰乾。停 三日,又於木甑內蒸之,上覆以淨黃土,一日夜熟,出陰乾,搗末。以麥飲或酒服三錢匕,日三。服滿三百日,可以登嶺絕穀不飢。(《圖經本草》)
腹中虛痛︰白芍藥三錢,炙甘草一錢。夏月,加黃芩五分;惡寒,加肉桂一錢;冬月大寒,再加桂一錢。水二盞,煎一半,溫服。(《潔古用藥法象》)
風毒骨痛在髓中。芍藥二分,虎骨一兩(炙),為末,夾絹袋盛,酒三升,漬五日。每服三合,日三服。(《經驗後方》)
腳氣腫痛︰白芍藥六兩,甘草一兩。為末,白湯點服。(《事林廣記》)
消渴引飲︰白芍藥、甘草等分。為末。每用一錢,水煎服,日三服。鄂渚辛 之患此九 年,服藥止而複作。蘇樸授此方,服之七日頓愈。古人處方,殆不可曉,不可以平易而忽之也。(陳日華《經驗方》)
小便五淋︰赤芍藥一兩,檳榔一個(面裹煨)。為末。每服一錢,水一盞,煎七分,空 心服。(《博濟方》)
衄血不止︰赤芍藥為末,水服二錢匕。(《事林廣記》)
衄血咯血︰白芍藥一兩,犀角末二錢半。為末。新水服一錢匕,血止為限。(《古今錄 驗》)
煎六合,入酒五合,再煎七合,空心分為兩服。亦可為末,酒服二錢。(《聖惠方》)
經水不止︰白芍藥、香附子、熟艾葉各一錢半。水煎服之。(《熊氏補遺》)
血崩帶下︰赤芍藥、香附子等分。為末。每服二錢,鹽一撚,水一盞,煎七分,溫服,日二服。十服見效,名如神散。(《良方》)
赤白帶下,年深月久不瘥者。取白芍藥三兩,並乾薑半兩。銼熬令黃,搗末。空心水飲服二錢匕,日再服。《廣濟方》︰只用芍藥炒黑,研末,酒服之。(《貞元廣利方》)
金瘡血出︰白芍藥一兩。熬黃為末。酒或米飲服二錢,漸加之。仍以末敷瘡上即止,良 驗。(《廣利方》)
痘瘡脹痛︰白芍藥為末,酒服半錢匕。(《痘疹方》)
木舌腫滿,塞口殺人。紅芍藥、甘草煎水熱漱。(《聖濟總錄》)
魚骨哽咽︰白芍藥嚼細咽汁。(《事林廣記》)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단(牡丹)[본초강목] (2) | 2024.02.27 |
---|---|
백작(白芍)[본초강목] (1) | 2024.02.27 |
상륙(商陸)[본초강목] (1) | 2024.02.27 |
상륙(商陸)[본경/동의보감] (1) | 2024.02.27 |
원지(遠志)[본초강목]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