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7. 17:1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상륙(商陸)[본경/동의보감]
자리공/상륙(商陸)
자리공
이명 : [상륙] [장녹]
학명 : 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분류군 : Phytolaccaceae(자리공과)
일명 : ヤマゴボウ(Yamagobo)
영명 : Indian Poke
漢名 : 商陸(헤아릴 상, 뭍 륙). 昌陸(창성할 창, 뭍 륙). 當陸(마땅할 당, 뭍 륙)
잎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0~20cm, 폭 5-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5-2.5cm이다.
열매
과실은 장과이며 자흑색이다. 과수(果穗)는 곧게 서며 8개의 분과가 서로 인접하여 윤상으로 나열되고 자주색의 즙액이 있으며 흑색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꽃
꽃은 회색의 총상화서로서 6~7월에 피고, 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길이 5-12cm로서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화경이 짧고 꽃잎은 없다.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고 꽃받침열편은 5개로서 난형이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밥은 엷은 홍색이다. 자방은 8개로서 윤생하고 1개씩의 암술대가 밖으로 젖혀진다.
줄기
줄기는 육질이고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원주형이고 곧게 선다.
뿌리
뿌리가 비대하며 덩어리를 형성한다. 뿌리를 상륙(商陸)이라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운봉), 경남, 경북, 충북, 경기, 강원(설악산), 평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약 1m에 달한다.
생육 환경
▶뜰에 심기도 하나 산야의 길가, 또는 밭 주변에서 자란다.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남부 지방에서 잘 되고, 중부 지방에서는 월동을 못하고 얼어 죽는다. 토질은 겉흙이 깊고 적당한 습기가 있는 질참흙 또는 모래참흙으로서 비옥한 땅에 잘 된다.
토양
비옥
수분
보통
꽃/번식방법
▶자리공은 씨앗으로 번식하므로 직파법 또는 육묘 이식법으로 재배한다.
1.직파법: 파종시기는 늦가을 또는 봄이다.
2.육묘 이식법: 늦가을이나 봄철에 모판을 만들며, 늦가을까지 모판에서 키운 다음 본밭에 이식한다.
재배특성
자리공은 씨앗으로 번식하므로 직파법 또는 육묘이식법으로 재배한다. 이어짓기를 하면 뿌리가 썩어버리므로 한번 재배했던 곳에 다른 작물을 2~3년 재배해야 한다.
①직파법 : 파종시기는 늦가을 또는 봄이다. 밑거름으로 두엄, 나무재, 인분뇨를 충분히 주고 밭을 깊이 갈아서 이랑나비 60cm의 골을 타고 줄뿌림한 후 1cm깊이로 흙을 덮는다. 약 20일 후가 되면 싹이 나오는데 30cm에 1포기씩 남기고 솎아 주고 더자란 뒤에 풀매기와 북을 준다. 당년 덧거름은 필요치 않으며 늦가을에 꽃이 피면 적심해 준다. 해를 넘겨 이듬해 봄에 덧거름으로 인분뇨를 10a당 700~800kg정도 주고 북을 준다.
②육묘이식법 : 늦가을이나 봄철에 모판을 만드는데, 모판은 폭 90cm, 높이 6cm로 만들고 밑거름으로 두엄, 나무재등을 주고 줄뿌림 또는 흩어뿌림으로 씨를 넣고 1cm흙을 덮고 짚을 깔아준다. 씨앗 소요량은 3.3㎡당 0.8ℓ이다. 싹이 트면 15~20㎠당 1주씩 솎아서 튼튼한 모를 기른다. 늦가을까지 모판에서 키운 다음 본밭에 이식한다. 본밭에 이식 재배해는 요령은 직파법에 준한다.
③수확과 조제 : 그해 가을 또는 이듬해 가을 지상부가 시들면 뿌리를 캐내어 흙을 떨고 적당히 쪼개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는 굵은 것은 길이 30cm, 지름 6cm에 달하고 독한 맛이 난다.
이용방안
▶根(근)은 商陸(상륙), 花(화)는 商陸花(상륙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商陸(상륙)
①가을, 겨울, 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 및 泥土(이토)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가로 또는 길이로 썰어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약효 : 이뇨약으로서 通二便(통이변), 瀉水(사수), 산비결의 효능이 있다. 腎性 水腫(신성 수종), 腸滿(장만), 각기, 咽喉腫痛(인후종통), 癰腫(옹종), 惡瘡(악창), 胸脇滿悶(흉협만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商陸花(상륙화)
①꽃을 따서 100일간 그늘에서 말려 해질녘에 一方寸匕(일방촌비)를 술로 복용한다.
유사종
섬자리공(P. insularis Nakai)
학명 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Fl. Serres. 4: 398B (1848)
1. Phytolacca acinosa var. esculenta (VanHoutte) Maxim.
Ind. Sem. Hort. Petrop. Suppl. 23 (186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Phytolacca acinosa var. kaempferi (A.Gray) Makino
Bot. Mag. (Tokyo) 15 : 142 (190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3. Phytolacca kaempferi A.Gray
Mem. Am. Acad. N. S. 6: 404 (185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자리공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상륙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장녹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Indian Poke
일본명 : ヤマゴボウ
북한명 :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Fl. des Serres iv. (1848) 398 B.
iv. (1848) 398 B 0
Links:
basionym of:Phytolaccaceae Sarcoca esculenta (van Houtte) Skalický Preslia 57(4): 372 (1985):.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章柳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異名】
正名:Phytolacca acinosa Roxb. 商陸
상륙(商陸)
Phytolacca acinosa Roxb.
이명(異名)
Phytolacca pekinensis Hance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Phytolacca acinosa Roxb.
Hort. Bengal. 35; Fl. Ind. ii. 458.
35; Fl. Ind. ii. 458. 0
Links:
basionym of:Phytolaccaceae Sarcoca acinosa (Roxb.) Skalický Preslia 57(4): 372 (1985):.
Original Data:
Notes: Reg. IIimal.; China
多年生草本,高1-1.5米,無毛;根肥厚,肉質,圓錐形,外皮淡黃色;莖綠色或紫紅色。葉卵狀橢圓形至長橢圓形,長12-25厘米,寬5-10厘米;葉柄長3厘米。總狀花序頂生或側生,長達20厘米;花直徑約8毫米;花被片5,白色,後變淡粉紅色;雄蕊8,花藥淡粉紅色;心皮8-10,離生。分果漿果狀,扁球形,紫色或黑紫色。
分布幾遍全國;朝鮮,日本,印度也有。喜陰濕,生於林下、路旁及宅旁。根有毒,入藥,瀉水利尿,外敷治癰腫疔瘡、跌打損傷;也可作農藥;果實可提栲膠。
^^^^^^^^^^^^^^^^^^^^^^^^^^^^^^^^^^^^^^^^^^^^^^^^^^^^^^^^^^^^^^^^^^
商陸
味辛平。
主水張疝瘕痺躄,除癰腫,殺鬼精物,一名根,一名夜呼。生川穀。
《名醫》曰:如人行者,有神,生鹹陽。
案《說文》:荲草,枝枝相值,葉葉相當。《廣雅》雲:常蓼,馬尾,商陸也。
《爾雅》雲:蓫薚馬尾。郭璞雲:今關西亦呼為薚,江東為當陸。周易夬雲:莧陸夬夫。鄭元雲:莧陸、商陸也,蓋薚即俗字,商即假音。
[本經/下經]
^^^^^^^^^^^^^^^^^^^^^^^^^^^^^^^^^^^^^^^^^^^^^^^^^^^^^^^^^^^^^^^^^^
商陸
상륙(商陸)
쟈리공불휘性平(一雲冷)味辛酸有大毒
성(性)은 평(平)하고 <일운(一雲)냉(冷)> 미(味)는 신(辛), 산(酸)하고 대독(大毒)이 있다.
瀉十種水病喉痺不通下蠱毒墮胎除癰腫殺鬼精物付惡瘡通利大小腸
십종(十種)의 수병(水病), 후비불통(喉痹不通)을 사(瀉)하고, 고독(蠱毒)을 하(下)하며, 타태(墮胎)하고 옹종(癰腫을 제(除)하며, 귀정물(歸精物)을 살(殺)한다. 악창(惡瘡)에 부(付)하고 대소장(大小腸)을 통리(通利)한다.
在處有之有赤白二種白者入藥用赤者甚有毒見鬼神但貼腫外用若服則傷人痢血不已而死
곳곳에 있으며 적백(赤白) 이종(二種)이 있는데, 흰 것은 약에 넣어 쓰고 붉은 것은 독이 많으므로 먹으면 귀신(鬼神)을 본다. 다만 외용으로 종기에 붙일 뿐이다. 만일 먹으면 사람을 상(傷)하여 혈리(血痢)하여 죽는다.
一名章柳根一名章陸赤花者根赤白花者根白二月八月採根暴乾如人形者有神《本草》
일명(一名) 장류근(章柳根) 또는 장륙(章陸)이라고도 한다. 적화(赤花)는 근(根)도 붉고, 백화(白花)는 근(根)이 희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사람의 형(形)과 같은 것은 신효(神效)가 있다.[본초].
銅刀刮去皮薄切水浸三日取出和菉豆蒸半日去頭望乾或焙乾《入門》
동도(銅刀)로 피(皮)를 괄거(刮去)하고 박절(薄切)하여 삼일(三日)간 수침(水浸)하여 꺼내어 녹두(綠豆)와 화(和)하여 반일(半日)을 증(蒸)한 후(後)에 거두(去頭)하고 망건(望乾), 혹은 배건(焙乾)한다.[입문].
商陸花
상륙화(商陸花)
主多忘喜誤取花陰乾爲末臨臥水服錢思念所欲事卽於眼中自覺神效《本草》
혼색(惛塞)해져서 건망(健忘)한 것에 주효(主效)하다. 화(花)를 취(取)하여 음건(陰乾)한 후 연말(硏末)하여 취침(就寢)무렵에 방촌비(方寸匕)를 수복(水服)한다. 생각하고 있던일, 기억해 내려고 했던 것들이 곧 눈 앞에 떠오르게 하는 신효(神效)가 있다.[본초].
@商陸
상륙(商陸)
主暴琋腹中有物如石痛刺若不治百日死多取商陸根搗爛蒸之以布藉腹上安藥滻之冷復易自消《本草》
폭징(暴癥)으로 복중(腹中)에 돌 같은 것이 있으면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에 주효(主效)하다. 만약 불치(不治)하면 백일(百日)만에 죽을 수 있다. 상륙근(商陸根)을 취(取)하여 도란(搗爛)하고 증(蒸)하여 베천에 싸서 배에 붙이고 찜질하는데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 해야 한다. 그러면 징가(癥瘕)가 자소(自消)한다.[본초].
能瀉十種水病取白色生根細切雜生鯉魚煮作羹湯服之《本草》
능(能)히 십종(十種)의 수병(水病)을 사(邪)한다. 백색(白色)의 생근(生根)을 취(取)하여 세절(細切)하여 이어(鯉魚)와 자(煮)하여 갱탕(羹湯)을 만들어 복용한다.[본초].
滻除癰腫付惡瘡
옹종(癰腫)을 제(除)하고, 악창(惡瘡)에는 부(付)한다.
一切熱毒腫商陸根和少鹽搗付日一易效《本草》
일체(一切)의 열독종(熱毒腫)에는 商陸根(상륙근)에 鹽(염) 少量(소량)을 搗(도)하여 一日(일일) 한 번씩 갈아 붙인다.[본초].
[東醫寶鑑]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작약[본초강목] (1) | 2024.02.27 |
---|---|
상륙(商陸)[본초강목] (1) | 2024.02.27 |
원지(遠志)[본초강목] (0) | 2024.02.17 |
소방목(蘇方木)[본초강목] (0) | 2024.02.17 |
운실(雲實)[본초강목] (1)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