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2022. 3. 20. 07:3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

 

壺盧

 

(《日華》)

 

釋名

 

瓠瓜(《說文》)、匏瓜(《論語》)。

 

 

時珍曰酒器也飲器也此物各象其形又可為酒飯之器因以名之俗作葫蘆者非矣葫乃蒜名蘆乃葦屬也其圓者曰匏亦曰瓢因其可以浮水如泡如漂也

 

 

()酒器(주기)이고, ()飮器(음기)이다. 이것은 각각 그 물건을 象形(상형)한 것으로 (), ()()로도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命名(명명)한 것이다. ()葫蘆(호로)表記(표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의 이름, ()()()인 것이다. 그 둥근 것을 ()라 하고, 또는 ()라고도 한다. 그것이 물에 거품처럼 뜨고, ()라 하는 것 같은데 緣由(연유)한 것이다.

 

 

凡蓏屬皆得稱瓜故曰瓠瓜匏瓜

 

대개 蓏屬(나속)은 모두 ()라는 稱呼(칭호)로 일컫는다. 그래서 瓠瓜(호과), 匏瓜(포과)라고 하는 것이다.

 

 

古人壺匏三名皆可通稱初無分別故孫 唐韻瓠音壺又音護瓢也陶隱居本草作瓠 雲是瓠類也許慎說文匏也又雲瓠也大腹瓠也陸璣詩疏瓠也又雲瓠也。《莊子有五石之瓠諸書所言其字皆當與壺同音而後世以長如越瓜首尾如一者為瓠音護),瓠之一頭有腹長柄者為懸瓠無柄而圓大形扁者為匏匏之有短柄大腹者為壺壺之細腰者為蒲蘆各分名色迥異於古以今參詳其形狀雖各不同而苗子性味則一故茲不複分條焉懸瓠今人所謂茶酒瓢者是也蒲蘆今之藥壺盧是也

 

郭義恭廣志謂之約腹壺以其腹有約束也亦有大小二種也

 

集解

 

弘景曰瓠與冬瓜氣類同輩又有瓠 亦是瓠類小者名瓢食之乃勝瓠

此等皆利水道所以在夏月食之大約不及冬瓜也

 

恭曰瓠與瓠 冬瓜全非類例三物苗葉相似而實形則異瓠形似越瓜長尺餘頭尾相似夏中便熟秋末便枯瓠 形狀大小非一夏末始實秋中方熟取其為器經霜乃堪瓠與甜瓠 體性相類啖之俱勝冬瓜陶言不及乃是未悉此等原種各別也

 

時珍曰長瓠懸瓠壺盧匏瓜蒲盧名狀不一其實一類各色也處處有之但有遲早之殊陶氏言瓠與冬瓜氣類同輩蘇氏言瓠與瓠 全非類例皆未可憑數種並以正二月下種生苗引蔓延緣其葉似冬瓜葉而稍團有柔毛嫩時可食幡幡瓠葉采之烹之六月開白花結實白色大小長短各有種色瓤中之子齒列而長謂之瓠犀竊謂壺匏之屬既可烹曬又可為器大者可為甕盎小者可為瓢樽為舟可以浮水為笙可以奏樂膚瓤可以養豕犀瓣可以澆燭其利溥矣

 

 

壺瓠

 

氣味

 

無毒

恭曰甘冷多食令人吐利

 

 

扁鵲曰患腳氣虛脹冷氣者食之永不除也

 

扁鵲(편작): 腳氣(각기), 虛脹(허창), 冷氣(냉기)()하는 ()는 이것을 먹으면 오래도록 除去(제거)할 수 없다.

 

 

主治

 

消渴惡瘡鼻口中肉爛痛思邈)。

 

消渴(소갈), 惡瘡(악창), (), 口中(구중)肉爛痛(육란통)

 

利水道弘景)。

 

手刀(수도)通利(통리)한다.

 

消熱服丹石人宜之孟詵)。

 

()解消(해소)하고, 丹石(단석)服用(복용)하는 사람에게 좋다.

 

 

除煩治心熱利小腸潤心肺治石淋大明)。

 

除煩(제번)하고, 心熱(심열)()하며, 小腸(소장)()하고, 心肺(심폐)()하고 石淋(석림)()한다.

 

 

 

發明

 

時珍曰︰《名醫錄浙人食匏瓜多吐瀉謂之發暴蓋此物以暑月壅成故也惟與香 同食則可免

 

名醫錄(명의록)에는 浙人(절인)瓠瓜(호과)를 먹고 많이 吐瀉(토사)한다. 이것을 發暴(발폭)이라고 한다. 이것은 暑期(서기)壅成(옹성)하는 것이기 때문인데 다만 香荽(향유)와 함께 먹으면 이것을 冒免(모면)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附方

 

新一

 

腹脹黃腫用亞腰壺盧連子燒存性每服一個食前溫酒下不飲酒者白湯下十餘日見效。(《簡便方》)

 

 

 

氣味

 

無毒

 

主治

 

為茹耐飢思邈)。

 

()로 하면 耐飢(내기)한다.

 

 

 

主治

 

解毒時珍)。

 

解毒(해독)

 

附方

 

新一

 

預解胎毒八月或三伏日或中秋日剪壺盧須如環子腳者陰乾於除夜煎湯浴小兒則可免出痘。(唐瑤經驗方》)

 

 

主治

 

齒齦或腫或露齒搖疼痛用八兩同牛膝四兩每服五錢煎水含漱日三四次(《禦藥院方》)。

 

齒齦(치간)이 혹은 ()하고, 혹은 나타나 ()가 은들리면서 疼痛(동통)하는 경우에는 八兩(팔량)牛膝(우슬) 四兩(사량)과 함께 五錢(오전)씩을 ()하여 一日(일일) ()~四回(사회) 含漱(함수)한다.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