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과(苦瓜)[본초강목] 여주

2022. 3. 20. 06:2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고과(苦瓜)[본초강목] 여주

 

 

 

 

여주/고과(苦瓜)

 

 

여주

 

이명 : [긴여주] [여지] [여자 ] [유자]

학명 : Momordica charantia L.

분류군 : Cucurbitaceae(박과)

일명 : ツルレイシ(Tsuru-reishi)

영명 : Balsam Pear, La-kwa, Bitter Gourd, Bitter Cucumbe

漢名 : 苦瓜(괴로울 고, 오이 과)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며 거치가 있다.

 

열매

열매는 박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꽃은 1가화이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황색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이다. 화관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도 3개로 갈라진다.

 

줄기

줄기는 가늘고 길이 13m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분포

아시아 열대지방

 

크기

높이는 15m이다.

 

 

 

 

 

 

 

 

 

학명 Momordica charantia L.

Sp. pl. 1009 (1753)

1. Momordica chinensis Hort

Bull. Soc. Tosc. Ort. 18 : 14(1893)

국명 여주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1. 긴여주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여자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3. 여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유자

영문명 :Balsam Pear, La-kwa, Bitter Gourd, Bitter Cucumbe

일본명 :ツルレイシ

북한명 :

 

 

 

 

Momordica charantia L.

Sp. Pl. 2: 1009. 1753 [1 May 1753]

2: 1009 1753

Original Data:

Notes: Amphig. trop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고과(苦瓜)

Momordica charantia Linn.

 

 

이명(異名)

 

Cucumis argyi H. Lév.

Momordica indica L.

Sicyos fauriei H. Lév.

Momordica chinensis Spreng.

Momordica sinensis Spreng.

Cucumis intermedius M.Roem.

Momordica charantia f. abbreviata (Ser.) W.J.de Wilde & Duyfjes

Momordica charantia subsp. abbreviata (Ser.) Greb.

Momordica charantia var. muricata (Willd.) Chakrav.

Momordica elegans Salisb.

 

 

一年生攀援狀草本莖被柔毛

 

卷須不分叉葉柄被柔毛或近無毛葉片輪廓腎形或近圓形5-7深裂長寬均約3-12厘米裂片具齒或再分裂兩面微被毛尤其脈上毛較密雌雄同株花單生花梗長5-15厘米中部或下部生一苞片苞片腎形或圓形全緣長寬均5-15毫米花萼裂片卵狀披針形花冠黃色裂片倒卵形1.5-2厘米雄蕊3,離生藥室S形折曲子房紡錘形密生瘤狀凸起柱頭3,膨大2果實紡錘狀有瘤狀凸起10-20厘米成熟後由頂端3瓣裂種子矩圓形兩端各具3小齒兩面有雕紋

 

 

 

^^^^^^^^^^^^^^^^^^^^^^^^^^^^^^^^^^^^^^^^^^^^^^^^^^^^^^^^^^^^^^^^^^

苦瓜

 

(《救荒》)

 

釋名

 

錦荔枝(《救荒》)、癩葡萄

 

時珍曰苦以味名瓜及荔枝葡萄皆以實及莖葉相似得名

 

()()命名(명명)한 것, (), 荔枝(여지), 葡萄(포도)는 모두 ()莖葉(경엽)相似(상사)()에 의해 붙여진 名稱(명칭)인 것이다.

 

 

集解

 

周定王曰錦荔枝即癩葡萄蔓延草木莖長七八尺莖有毛澀葉似野葡萄而花又開黃花實大如雞子有皺紋似荔枝

 

時珍曰苦瓜原出南番今閩廣皆種之五月下子生苗引蔓莖葉卷須並如葡萄而小八月開小黃花五瓣如碗形結瓜長者四五寸短者二三寸青色皮上痱如癩及荔枝殼狀熟則黃色自裂內有紅瓤裹子瓤味甘可食其子形扁如瓜子亦有痱南人以青皮煮肉及鹽醬充蔬苦澀有青氣費信星槎勝覽蘇門答剌國一等瓜皮若荔枝未剖時甚臭如爛蒜剖開如囊味如酥香甜可口疑此即苦瓜也

 

 

 

氣味

 

無毒

 

主治

 

除邪熱解勞乏清心明目時珍生生編》)。

 

邪熱(사열)除去(제거)하고, 勞乏(노핍)解消(해소)하며, 청심명목(淸心明目)하게 한다. 기재(記載)는 생생편(生生編)에 있다.

 

 

 

 

氣味

 

無毒

 

 

主治

 

益氣壯陽時珍)。

 

益氣壯陽(익기장양)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전(白前)[본초강목]  (0) 2022.03.20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2022.03.20
첨과(甜瓜)[본초강목]  (0) 2022.03.20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0) 2022.03.20
동과(冬瓜)[본초강목]  (0) 2022.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