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동루(胡桐淚)[본초강목]

2022. 4. 1. 07:09[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호동루(胡桐淚)[본초강목]

 

 

 

^^^^^^^^^^^^^^^^^^^^^^^^^^^^^^^^^^^^^^^^^^^^^^^^^^^^^^^^^^^^^^^^^^^

胡桐淚

 

(《唐本草》)

 

 

校正

 

自草部移入此

 

 

釋名

 

胡桐鹼(《綱目》)、胡桐律

 

李珣曰胡桐淚是胡桐樹脂也故名淚作律字者非也淚聲訛爾

 

胡桐淚(호동루)胡桐樹(호동수)()이다. 그래서 ()라고 命名(명명)된 것이다. 律字(율자)를 쓰는 것은 옳지 않다. ()()發音(발음)轉訛(전와)한 것이다.

 

 

時珍曰︰《西域傳車師國多胡桐顏師古注云胡桐似桐不似桑故名胡桐蟲食其樹而汁出下流者俗名胡桐淚言似眼淚也

 

西域傳(서역전)車師國(차사국)에는 胡桐(호동)이 많다.”라고 하였으며, 顏師古(안사고)()에는 胡桐(호동)()과 같은 것으로서 ()과 같지 않다. 그래서 胡桃(호도)라고 命名(명명)되었다. ()이 그 ()()하면 ()이 나오는데, 下流(하류)한 것을 俗稱(속칭) 胡桐淚(호동루)라고 한다. 그 뜻은 眼淚(안루)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其入土石成塊如鹵鹼者為胡桐鹼音減)。或云律當作瀝非訛也猶松脂名瀝青之義亦通

 

土石(토석)에 들어가서 鹵鹼(노감)과 같은 ()가 된 것을 胡桐鹼(호동감)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律字(율자)()이라 써야 하는 것인데 轉訛(전와)가 아니다. 松脂(송지)瀝青(역청)이라고 命名(명명)한 것과 같은 뜻이라고도 하는데 역시 ()하는 바가 있다.

 

 

 

集解

 

恭曰胡桐淚出肅州以西平澤及山谷中形似黃礬而堅實有夾爛木者云是胡桐樹脂淪入土石鹼鹵地者其樹高碩皮葉似白楊青桐桑輩故名胡桐木堪器用

 

保升曰涼州以西有之初生似柳大則似桑其津下入地與土石相染狀如薑極鹹苦得水便消若礬石消石之類冬月採之

 

大明曰此有二般木律不中入藥惟用石律石上采之形如小石片子黃土色者為上

 

頌曰今西番亦有商人貨之

 

時珍曰木淚乃樹脂流出者其狀如膏油石淚乃脂入土石間者其狀成塊以其得鹵斥之氣故入藥為勝

 

木淚(목루)樹脂(수지)流出(유출)한 것으로서 그 狀態(상태)(), ()k같다. 石淚(석루)()土石間(토석간)에 들어간 것인데 그 狀態(상태)()를 이루고, 鹵斥(노척)()를 얻고 있기 때문에 ()에 넣어 ()하는 것이다.

 

 

氣味

 

大寒無毒

恭曰伏砒石可為金銀焊藥

 

砒石(비석)()한다. (), ()焊藥(한약)使用(사용)한다.

 

 

主治

 

大毒熱心腹煩滿水和服之取吐牛馬急黃黑汗水研三二兩灌之立瘥(《唐本》)。

 

大毒熱(대독열)心腹煩滿(심복번만)하는 경우에는 물로 和服(화복)하고 取吐(취토)한다. 牛馬(우마)急黃(급황), 黑汗(흑한)에는 ()~三兩(삼량)을 물로 ()하여 ()하면 卽時(즉시) ()한다.

 

 

主風蟲牙齒痛殺火毒面毒大明)。

 

風蟲牙齒痛(풍충아치통)主效(주효)가 있으며, 火毒(화독), 面毒(면독)()한다.

 

 

風疳䘌齒骨槽風勞能軟一切物多服令人吐 (李珣)

 

風疳䘌齒(풍감익치), 骨槽風勞(골조풍로) 곧잘 一切(일체)의 것을 ()하게 한다. 多服(다복)하면 ()하게 된다.

 

 

 

瘰鬁非此不能除(元素)

 

瘰疬(라력)에는 이것이 아니면 除去(제거)할 수 없다.

 

 

咽喉熱痛水磨掃之取涎(時珍)

 

咽喉(인후)熱痛(열통)에는 물로 磨掃(마소)하고 取涎(취연)한다.

 

 

 

發明

 

頌曰古方稀用今治口齒家多用為最要之物

 

古方(고방)에서는 稀用(희용)하고 있으나 지금은 口齒患者(구치환자)()하는데 多用(다용)하고 있는데 가장 重要(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時珍曰石淚入地受鹵氣故其性寒能除熱其味鹹能入骨軟堅

 

石淚(석루)는 땅에 들어가 鹵氣(노기)를 받는다. 그래서 그 ()()하여 능히 除熱(제열)하고, ()()하여 능히 ()에 들어가 ()()하게 한다.

 

 

附方

 

新六

 

濕熱牙疼喜吸風胡桐淚入麝香摻之

牙疼出血胡桐淚半兩研末夜夜貼之或入麝香少許走馬牙疳胡桐鹼黃丹等分為末摻之。(《醫林集要》)

牙疳宣露膿血臭氣者胡桐淚一兩枸杞根一升每用五錢煎水熱漱又方胡桐淚葶藶等分研摻。(《聖惠方》)

牙齒蠹黑乃腎虛也胡桐淚一兩丹砂半兩麝香一分為末摻之。(《聖濟總錄》)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동(梧桐)[본초강목]  (0) 2022.04.10
약엽(箬葉)[본초강목]  (0) 2022.04.01
백전(白前)[본초강목]  (0) 2022.03.20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2022.03.20
고과(苦瓜)[본초강목] 여주  (0) 2022.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