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과(冬瓜)[본초강목]

2022. 3. 20. 04:2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동과(冬瓜)[본초강목]

 

 

 

^^^^^^^^^^^^^^^^^^^^^^^^^^^^^^^^^^^^^^^^^^^^^^^^^^^^^^^^^^^^^^^^^^

 

冬瓜

 

(《本經上品

 

校正

 

今並入白瓜子

 

釋名

 

白瓜(《本經》)、水芝同上)、地芝(《廣雅》)。

 

志曰冬瓜經霜後皮上白如粉塗其子亦白故名白冬瓜而子雲白瓜子也

 

()에 있기를 冬瓜(동과)는 서리가 내린 후에 皮上(피상)()을 바른 것처럼 하얗게 되고, () 또한 白色(백색)이다. 그래서 白冬瓜(백동과)라 하고, ()白瓜子(백과자)라 한다.

 

時珍曰冬瓜以其冬熟也又賈思勰雲冬瓜正三月種之若十月種者結瓜肥好乃勝春種則冬瓜之名或又以此也

 

冬瓜(동과)는 그것이 冬熟(동숙)하기 때문이다. 또한 賈思勰(가사협)冬瓜(동과)正三月(정삼월)에 심는다. 十月(십월)에 심은 것은 結果(결과)肥好(비호)하며, 봄에 심은 것보다 좋다.”라고 한 것을 보면 冬瓜(동과)라는 名稱(명칭) 또한 그 때문일 것이다.

 

 

別錄冬瓜原附於本經瓜子之下開寶本草加作白瓜子複分白冬瓜為別錄一種遂致諸注辯說紛紛今並為一

 

 

別錄(별록)白冬瓜(백동과)는 원래 本經(본경)瓜子條下(과자조하)附載(부재)되어 있었으나 ()開寶本草(개보본초)에서는 白瓜子(백과자)添加(첨가)하였고, 또한 白冬瓜(백동과)로 나누어 別錄(별록)一種(일종)으로 記錄(기록)하였던 데서 諸家(제가)解釋(해석), 說明(설명)混亂(혼란)招來(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本書(본서)에서는 一條(일조)倂記(병기)한다.

 

 

集解

 

別錄白瓜子生嵩高平澤冬瓜仁也八月採之

 

頌曰今處處園圃蒔之其實生苗蔓下大者如鬥而更長皮濃而有毛初生正青綠經霜則白粉人家多藏蓄彌年作菜果入藥須霜後取置之經年破出核洗燥乃擂取仁用之亦堪單作服餌

 

時珍曰冬瓜三月生苗引蔓大葉團而有尖莖葉皆有刺毛七月開黃花結實大者徑尺餘長三四尺嫩時綠色有毛老則蒼色有粉其皮堅濃其肉肥白其瓤謂之瓜練白虛如絮可以浣練衣服其子謂之瓜犀在瓤中成列霜後取之其肉可煮為茹可蜜為果其子仁亦可食蓋兼蔬果之用凡收瓜忌酒麝香及糯米觸之必爛

 

 

白冬瓜

 

氣味

 

微寒無毒

弘景曰冷利

 

 

主治

 

小腹水脹利小便止渴(《別錄》)。

 

小腹水脹(소복수창), 利小便(이소변), 止渴(지갈)

 

搗汁服止消渴煩悶解毒弘景)。

 

搗汁(도즙)服用(복용)하면 消渴煩悶(소갈번민)을 멎게 하고, 解毒(해독)한다.

 

益氣耐老除心胸滿去頭面熱孟詵)。

 

益氣(익기)하며, 耐老(내노)하고, 心煩滿(심번만)()하며, 痘面(두면)()()한다.

 

消熱毒癰腫切片摩痱子甚良大明)。

 

熱毒癰腫(열독옹종)解消(해소)한다. 切片(절편)하여 疿子(비자)()하면 좋다.

 

 

利大小腸壓丹石毒蘇頌)。

 

大小腸(대소장)通利(통리)하고, 丹石毒(단석독)()한다.

 

 

發明

 

詵曰熱者食之佳冷者食之瘦人煮食練五臟為其下氣故也欲得體瘦輕健者則可長食之若要肥則勿食也

 

()이 있는 ()는 이것을 먹으면 좋다. ()()기 이것을 먹으면 ()한다. 煮食(자식)하면 五臟(오장)()한다. 下氣(하기)하기 때문인 것이다. 살을 빼고, 輕健(경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오래도록 먹는 것이 좋다. 살을 찌려고 할 경우에는 이것을 먹어서는 안 된다.

 

 

宗奭曰凡患發背及一切癰疽者削一大塊置瘡上熱則易之分散熱毒瓦斯甚良

 

대개 發背(발배) 一切(일체)癰疽(옹저)를 앓고 있는 ()一大塊(일대괴)()하여 瘡上(창상)에 놓고, 뜨거워지면 바꾼다. 熱毒氣(열독기)分散(분산)시킬수 있기 때문에 매우 좋은 것이다.

 

震亨曰冬瓜性走而急寇氏謂其分散熱毒瓦斯蓋亦取其走而性急也久病者陰虛者忌之孫真人言九月勿食令人反胃須被霜食之乃佳

 

冬瓜(동과)()走行(주행)하는데 ()한 것이다. 寇氏(구씨)熱毒氣(열독기)分散(분산)한다고 한 것도 그 ()走行(주행)하고 ()한 것을 ()한 것이다. 久病者(구병자)陰虛(음허)()는 이것을 ()한다. 孫真人(손진인)九月(구월)에 먹어서는 안 된다. 사람으로 하여금 反胃(반위)하게 한다. 반드시 서리를 맞힌 다음 먹는 것이 좋다.”라고 하였다.

 

 

詵曰取瓜一顆和桐葉與豬食之一冬更不要與諸物食自然不飢長三四倍也

 

() 一課(일과)()하여 桐葉(동엽)()하여 ()에게 먹이면 一冬(일동)사이에 다른 먹이를 줄 必要(필요)가 없으며, 不飢(불기)하고, ()~四倍(사배)成長(성장)한다

 

 

附方

 

舊七新七

 

積熱消渴白瓜去皮每食後吃三二兩五七度良。(孟詵食療》)。

消渴不止冬瓜一枚削皮埋濕地中一月取出破開取清水日飲之或燒熟絞汁飲之。(《聖濟總錄》)。

消渴骨蒸大冬瓜一枚去瓤入黃連末填滿安甕內待瓜消盡同研丸梧子大每服三四十丸煎冬瓜湯下。(《經驗》)。

產後痢渴久病津液枯竭四肢浮腫口舌乾燥用冬瓜一枚黃土泥濃五寸煨熟絞汁飲亦治傷寒痢渴。(《古今錄驗》)。

小兒渴利冬瓜汁飲之。(《千金》)。

小兒 病寒熱如疳用冬瓜蓄各四兩水二升煎湯浴之。(《千金方》)。

嬰孩寒熱冬瓜炮熟絞汁飲。(《子母秘錄》)。

水病危急冬瓜不拘多少任意吃之神效無比。(《兵部手集》)。

十種水氣浮腫喘滿用大冬瓜一枚切蓋去瓤以赤小豆填滿蓋合簽定以紙筋泥固濟曬乾用糯糠兩大籮入瓜在內煨至火盡取出切片同豆焙乾為末水糊丸梧子大每服七十丸煎冬瓜子湯下日三服小便利為度。(《楊氏家藏方》)。發背欲死冬瓜截去頭合瘡上瓜爛截去更合之瓜未盡瘡已小斂矣乃用膏貼之。(《肘後方》)。

痔瘡腫痛冬瓜煎湯洗之。(《袖珍方》)。

馬汗入瘡乾冬瓜燒研洗淨敷之

食魚中毒冬瓜汁飲之。(《短劇方》)。

面黑令白冬瓜一個竹刀去皮切片酒一升半水一升煮爛濾去滓熬成膏瓶收

每夜塗之。(《聖濟總錄》)

 

 

 

瓜練瓤也

 

氣味

 

無毒

 

主治

 

絞汁服止煩躁熱渴利小腸治五淋壓丹石毒甄權)。

 

()()하여 服用(복용)하면 번조열갈(번조열갈)이 멎고, 小腸(소장)()하며, 五淋(오림)()하고, 丹石毒(단석독)()한다.

 

洗面澡身去䵟䵳令人悅澤白皙時珍)。

 

洗眼(세안)하고 操身(조신)하면 䵟䵳(간회)除去(제거)하고, 悅澤白皙(열택백석)하게 된다.

 

 

附方

 

新二

 

消渴煩亂冬瓜瓤乾者一兩水煎飲。(《聖惠方》)。

水腫煩渴小便少者冬瓜白瓤水煎汁淡飲之。(《聖濟總錄》)

 

 

 

白瓜子

別錄冬瓜仁也八月採之

 

正誤

 

恭曰此甘瓜也甘字似白字後人誤寫耳當改從甘字

 

志曰︰《本草白瓜子冬瓜仁也蘇氏所言殊為孟浪且甘瓜即甜瓜亦有青白二種其子色黃主療與冬瓜全異但冬瓜經霜有白衣其子亦白白瓜之號因斯而得

況諸方惟用冬瓜子不見用甘瓜子者蘇說不可憑也

 

 

氣味

 

無毒

 

別錄久服寒中

 

主治

 

令人悅澤好顏色益氣不飢久服輕身耐老(《本經》)。

 

사람을 悅澤(열택)하게 하고,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益氣不飢(익기불기)한다. 久服(구복)하면 經身耐老(경신내로)한다.

 

除煩滿不樂可作面脂(《別錄》)。

 

煩滿(번만)하고, 快活(쾌활)하지 않는 것을 除去(제거)한다. 面脂(면지)로 사용할 수 있다.

 

 

去皮膚風及黑䵟潤肌膚大明)。

 

皮膚風(피부풍) 黑䵟(흑간)除去(제거)하고, 皮膚(피부)()한다.

 

 

治腸癰時珍)。

 

腸癰(장옹)()한다.

 

 

 

發明

 

頌曰冬瓜仁亦堪單作服餌又研末作湯飲及作面脂藥並令人顏色光澤宗懍荊楚歲時記七月采瓜犀以為面脂即瓜瓣也亦堪作澡豆

 

冬瓜仁(동과인)으로 단지 服餌(복이)로 할 수 있다. 또한 硏末(연말)하여 ()을 만들어 마시고, 또한 面脂藥(면지약)으로 하는데 모두 사람의 顔色(안색)을 좋게 하고 光澤(광택)이 있게 한다. 宗懍(종름)荊楚歲時記(형초세시기)七月(칠월), 瓜犀(과서)()하여 面脂(면지)로 한다.” 라고 한 것은 瓜瓣(과판)을 말한 것이다. 역시 澡豆(조두)로 사용할 수 있다.

 

宗奭曰服食方亦稀用之

 

服食(복식)()에서 이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稀少(희소)하다.

 

 

附方

 

舊四新四

 

服食法取冬瓜仁七升以絹袋盛投三沸湯中須臾取曝乾如此三度又與清苦酒漬之一宿曝乾為末日服方寸匕令人肥悅明目延年不老又法取子三五升去皮為丸空心日服三十丸令人白淨如玉。(孟詵食療》)。

補肝明目治男子五勞七傷明目用冬瓜仁方同上。(《外台秘要》)。悅澤面容白瓜仁五兩桃花四兩白楊皮二兩為末食後飲服方寸匕日三服欲白加瓜仁欲紅加桃花三十日面白五十日手足俱白一方有橘皮無楊皮。(《肘後方》)。多年損傷不瘥者瓜子末溫酒服之。(孫真人方)。

消渴不止小便多用乾冬瓜子麥門冬黃連各二兩水煎飲之冬瓜苗葉俱治消渴不拘新乾。(《摘玄方》)。

男子白濁陳冬瓜仁炒為末每空心米飲服五錢。(《救急易方》)。

女子白帶方同上

 

 

瓜皮

 

主治

 

可作丸服亦入面脂蘇頌)。

 

()을 만들어 服用(복용)하고, 또한 面脂(면지)()할 수 있다.

 

 

主驢馬汗入瘡腫痛陰乾為末塗之又主折傷損痛時珍)。

 

(), ()의 땀이 ()에 들어가서 腫痛(종통)하는 경우에 主效(주효)가 있다. 陰乾作末(음건작말)하여 塗布(도포)한다. 또한 折傷損痛(절상손통)主效(주효)가 있다.

 

 

 

附方

 

新二

 

跌撲傷損用乾冬瓜皮一兩真牛皮膠一兩銼入鍋內炒存性研末

每服五錢好酒熱服仍飲酒一甌濃蓋取微汗其痛即止一宿如初極效。(《摘玄方》)。

損傷腰痛冬瓜皮燒研酒服一錢。(《生生編》)

 

 

 

主治

 

治腫毒殺蜂療蜂叮大明)。

 

腫毒(종독)()하고 ()()하며, 蜂叮(봉정)()한다.

 

 

主消渴瘧疾寒熱又焙研敷多年惡瘡時珍)。

 

消渴(소갈), 瘧疾(학질)寒熱(한열)主效(주효)하다. 焙硏(배연)하여 多年(다년)惡瘡(악창)()한다.

 

 

 

附方

 

新一

 

積熱瀉痢冬瓜葉嫩心拖面煎餅食之。(《海上名方》)

 

 

 

主治

 

燒灰可出繡黥煎湯洗黑䵟並瘡疥大明)。

 

燒灰(소회)繡黥(수경)을 만들 수 있다. 煎湯(전탕)黑䵟(흑간), 瘡疥(창개)를 씻는다.

 

 

搗汁服解木耳毒煎水洗脫肛燒灰可淬銅伏砒石時珍)。

 

搗汁(도즙)服用(복용)하면 木耳(목이)()解消(해소)한다. 水煎(수전)하여 脫肛(탈항)을 씻는다. 燒灰(소회)銅鐵(동철)()하고, 砒石(비석)()할 수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과(甜瓜)[본초강목]  (0) 2022.03.20
남과(南瓜)[본초강목] 호박  (0) 2022.03.20
사과(絲瓜)[본초강목]  (0) 2022.03.20
서과(西瓜)[본초강목]  (0) 2022.03.20
목이(木耳)[본초강목]  (0)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