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과(西瓜)[본초강목]

2022. 3. 20. 03:3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서과(西瓜)[본초강목]

 

 

 

^^^^^^^^^^^^^^^^^^^^^^^^^^^^^^^^^^^^^^^^^^^^^^^^^^^^^^^^^^^^^^^^^^

 

西瓜

 

(《日用》)

 

釋名

 

寒瓜見下)。

 

集解

 

瑞曰契丹破回紇始得此種以牛糞覆而種之結實如鬥大而圓如匏色如青玉子如金色或黑麻色北地多有之

 

時珍曰胡嶠陷虜記嶠征回紇得此種歸名曰西瓜則西瓜自五代時始入中國今則南北皆有而南方者味稍不及亦甜瓜之類也二月下種蔓生葉皆如甜瓜八月實熟有圍及徑尺者長至二尺者其棱或有或無其色或青或綠其瓤或白或紅紅者味尤勝其子或黃或紅或黑或白白者味更劣其味有甘有淡有酸酸者為下陶弘景注瓜蒂言永嘉有寒瓜甚大可藏至春者即此也蓋五代之先瓜種已入浙東但無西瓜之名未遍中國爾其瓜子曝裂取仁生食炒熟俱佳皮不堪啖亦可蜜煎醬藏

 

頌曰一種楊溪瓜秋生冬熟形略長扁而大瓤色如胭脂味勝可留至次年雲是異人所遺之種也

 

 

瓜瓤

 

氣味

 

無毒

瑞曰有小毒多食作吐利胃弱者不可食同油餅食損脾

 

小毒(소독)이 있다. 多食(다식)하면 吐痢(토리)를 일으킨다. 胃弱者(위약자)는 먹어서는 안 된다. 油餠(유병)과 함께 먹으면 ()損傷(손상)한다.

 

 

時珍曰延壽書北人稟濃食之猶慣南人稟薄多食易至霍亂冷病終身也

 

생각하건대 延壽書(연수서)에는 北方人(북방인)稟性(품성)()하고, 이것을 먹는 데 익숙해 있으나 南方人(남방인)稟性(품성)()하기 때문에 多食(다식)하면 霍亂(곽란)을 일으키고, 終身(종신)토록 冷病(냉병)이 되기 쉽다.”라고 하였다.

 

 

又按︰《相感志食西瓜後食其子即不噫瓜氣以瓜劃破曝日中少頃食即冷如水也得酒氣近糯米即易爛貓踏之即易沙

 

또한 相感志(상감지)에는 西瓜(서과)를 먹은 ()에 그 ()를 먹으면 瓜氣(과기)()하지 않는다. ()劃破(획파)하여 볕에다 曝乾(폭건)하고 잠시 ()에 먹으면 물처럼 ()하다. 酒氣(주기)糯米(나미)近接(근접)하면 糜爛(미란)하기 쉽다. ()가 이것을 밝으면 ()하기 쉽다.”라고 나와 있다.

 

 

主治

 

消煩止渴解暑熱吳瑞)。

 

消煩止渴(소번지갈)하고 暑熱(서열)解消(해소)한다.

 

療喉痺汪穎)。

 

喉痺(후비)()한다.

 

寬中下氣利小水治血痢解酒毒寧原)。

 

寬中下氣(관중하기)하고 小便(소변)通利(통리)하며, 血痢(혈리)()하고, 酒毒(주독)解消(해소)한다.

 

 

含汁治口瘡震享)。

 

()()하면 口瘡(구창)()한다.

 

 

 

發明

 

穎曰西瓜性寒解熱有天生白虎湯之號然亦不宜多食

 

西瓜(서과)()()하기 때문에 解熱(해열)하며, 天生白虎湯(천생백호탕)이라()가 있다. 그러나 多食(다식)하는 것은 좋지 않다.

 

 

時珍曰西瓜甜瓜皆屬生冷世俗以為醍醐灌頂甘露灑心取其一時之快不知其傷脾助濕之害也

 

西瓜(서과)甜瓜(첨과)는 모두 生冷(생랭)()한다. 世俗(세속)에서는 醍醐(제호)를 정수리에 부어서 甘露(감로)로 마음을 씻는다.”고 하면서 일시적인 ()를 택하고 있으나 ()()損傷(손상)하고, ()을 돕는 ()에 대해서는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真西山衛生歌瓜桃生冷宜少飧免致秋來成瘧痢是矣

 

真西山(진서산)衛生歌(위생가)에서 (), ()生冷(생랭)한 것이다. 적게 먹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秋來(추래)瘧痢(학리)가 되는 것을 모면할 수 있다.”고 한 것은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又李鵬飛延壽書防州太守陳逢原避暑食瓜過多至秋忽腰腿痛不能舉動遇商助教療之乃愈此皆食瓜之患也故集書於此以為鑒戒雲

 

李鵬飛(이붕비)延壽書(연수서)에는 防州太守(방주태수) 陳逢原(진봉원)避暑(피서)()過食(과식)하였는데 가을이 되어 忽然(홀연)腰腿(요퇴)가 아프고 擧動不能(거동불능)이 되었다. 商助教(상조교)를 만나 治療(치료)를 받고 治癒(치유)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食瓜(식과)疾患(질환)이었다. 그래서 이 集書(집서)記錄(기록)하여 鑑戒(감계)로 한다.”라고 하였다.

 

 

又洪忠宣松漠紀聞有人苦目病或令以西瓜切片曝乾日日服之遂愈由其性冷降火故也

 

또한 洪忠宣(홍충선)松漠紀聞(송막기문)에는 或者(혹자)目病(목병)을 앓았는데 어떤 사람이 西瓜(서과)切片(절편)으로 하여 暴乾(폭건)하고 그것을 매일 服用(복용)시켰던 바 마침내 治癒(치유)되었다. ()()해서 ()降下(강하)하기 때문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氣味

 

無毒

 

 

主治

 

脣內生瘡燒研噙之震亨)。

 

口舌(구설), 脣內(순내)생긴 ()에는 燒硏(소연)하여 머금는다.

 

 

 

附方

 

新二

 

閑挫腰痛西瓜青皮陰乾為末鹽酒調服三錢。(《攝生眾妙方》)

食瓜過傷瓜皮煎湯解之諸瓜皆同。(《事林廣記》)

 

瓜子仁

 

氣味

 

無毒

 

主治

 

與甜瓜仁同時珍)。

 

甜瓜仁(첨과인)同一(동일)하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과(冬瓜)[본초강목]  (0) 2022.03.20
사과(絲瓜)[본초강목]  (0) 2022.03.20
목이(木耳)[본초강목]  (0) 2022.03.12
과루(栝蔞)[본초강목]  (0) 2022.03.12
발계(菝葜)[본초강목]  (0)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