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22. 20:2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선복화(旋覆花)[본초강목]
^^^^^^^^^^^^^^^^^^^^^^^^^^^^^^^^^^^^^^^^^^^^^^^^^^^^^^^^^^^^^^^^^^^^^^^^
旋覆花
(《本經》下品)
【釋名】
金沸草(《本經》)、金錢花(《綱目》)、滴滴金(《綱目》)、盜庚(《爾雅》)、夏菊(《綱目》)、戴椹(《別錄》)。
宗奭曰︰花緣繁茂,圓而覆下,故曰旋覆。
花緣(화연)이 둥글게 繁茂(번무)하여 아래쪽을 덮어서 旋覆花(선복화)라고 한다.
時珍曰︰諸名皆因花狀而命也。《爾雅》云︰蕧,盜庚也。蓋庚者,金也,謂其夏開黃花,盜竊金氣也。《酉陽雜俎》云︰金錢花,一名毗尸沙,自梁武帝時始進入中國。
諸種(제종)의 名稱(명칭)은 모두 그 꽃의 모양을 따라서 命名(명명)한 것으로 爾雅(이아)에 “蕧(복)은 盜庚(도경)이다.”라고 있음은 대개 庚(경)은 金(금)으로 이 草(초)는 여름에 黃花(황화)가 피므로 金氣(금기)를 훔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酉阳杂俎(유양잡조)에는 “金錢花(금전화), 一名(일명) 毗尸沙(비시사), 梁(양)의 武帝(무제) 時代(시대)에 비로소 中國(중국)으로 건너온 것이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旋覆生平澤川谷。五月採花,日乾,二十日成。
弘景曰︰出近道下濕地,似菊花而大。別有旋 根,出河南,北國亦有,形似芎 ,惟 合旋 膏用之,余無所用,非此旋覆花根也。
保升曰︰葉似水蘇,花黃如菊,六月至九月採花。
頌曰︰今所在皆有。二月以後生苗,多近水旁,大似紅藍而無刺,長一、二尺以來,葉似柳,莖細。六月開花如菊花,小銅錢大,深黃色。上黨田野人呼為金錢花,七八月採花。 今近道人家園圃所蒔金錢花,花葉並同,極易繁盛,恐即旋覆也。
宗奭曰︰旋覆葉如大菊,又如艾蒿。秋開花大如梧桐子,花淡黃色,其香過於菊。別有旋花,乃鼓子花,非此花也。見本條。
時珍曰︰花狀如金錢菊。水澤邊生者,花小瓣單;人家栽者,花大蕊簇,蓋壤瘠使然。 其根細白。俗傳露水滴下即生,故易繁,蓋亦不然。
花
【修治】
雷斅曰︰采得花,去蕊並殼皮及蒂子,蒸之,從巳至午,晒乾用。
꽃을 採取(채취)하였다면 꽃술과 殼皮(각피) 및 蒂子(체자)를 除去(제거)하고, 오전 열시부터 열두시까지 찐 후에 晒乾(쇄건)해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鹹,溫,有小毒。
《別錄》曰︰甘,微溫,冷利。
權曰︰甘,無毒。
大明曰︰無毒。
宗奭曰︰苦、甘、辛。
【主治】
結氣脅下滿,驚悸,除水,去五臟間寒熱,補中下氣(《本經》)。
結氣(결기)로 脇下(협하)가 滿(만)하여 驚悸(경계)하는 것, 水(수)를 除(제)하고 五臟(오장)사이의 寒熱(한열)을 去(거)하면 補中(보중)하고 下氣(하기)한다.
消胸上痰結,唾如膠漆,心脅痰水,膀胱留飲,風氣濕痺,皮間死肉,目中眵目蔑 ,利大腸,通血脈,益色澤(《別錄》)。
胸上(흉상)의 痰結(담결)로 침이 膠漆(교칠)과 같이 된 것, 心胸(심흉)의 痰水(담수), 膀胱(방광), 留飮(유음), 風氣濕痺(풍기습비), 皮間(피간)의 死肉(사육), 目中(목중)의 눈 속의 眵篾(치멸)을 消去(소거)하고, 大腸(대장)을 利(이)하며, 血脈(혈맥)을 通(통)하고, 色澤(색택)을 益(익)한다.
主水腫,逐大腹,開胃,止嘔逆不下食(甄權)。
水腫(수종)에 主效(주효)가 있으며, 大腹(대복)을 逐(축)하고, 開胃(개위)하며, 食物(식물)이 不通(불통)하는 것을 嘔逆(구역)을 멎게 한다.
行痰水,去頭目風(宗奭 )。
痰水(담수)를 行(행)하고, 頭目(두목)의 風(풍)을 去(거)한다.
消堅軟痞,治噫氣。(好古)。
消坚(소견)하고, 軟痞(연비)하며, 噫氣(애기)를 治(치)한다.
【發明】
頌曰︰張仲景治傷寒汗下後,心下痞堅,噫氣不除,有七物旋覆代赭湯;雜治婦人,有三物旋覆湯。胡洽居士治痰飲在兩脅脹滿,有旋覆花丸,用之尤多。
장중경(張仲景)의 상한(傷寒)으로 한하(汗下) 후(後)에 심하(心下)가 비견(痞堅)하고 애기(噯氣)가 제거(除去) 되지 않는 것을 치료(治療)하는 약에 칠물선복대자탕(七物旋覆代赭湯)이 있고, 부인병(婦人病)의 잡치(雜治)에는 삼물선복탕(三物旋覆湯)이 있으며, 호흡거사(胡洽居士)의 담음(痰飮)이 양협(兩脇)에 차서 창만(脹滿)하는 것을 치료(治療)하는 약(藥)에 선복화환(旋覆花丸)이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다.
成無己曰︰硬則氣堅,旋覆之咸,以軟痞堅也。
편(鞭)하면 기(氣)가 굳어지는 것으로 이런 경우 선복(旋覆)의 함(鹹)이 비견(痞堅)을 부드럽게 해준다.
震亨曰︰寇宗奭言其行痰水去頭目風,亦走散之藥。病患涉虛者,不宜多服,冷利大腸,宜戒之。
구종석(寇宗奭)은 담수(痰水)를 행(行)하게 해서 머리와 눈이 풍(風)을 거(去)하는 것 이라고 했는데 역시 주(走)하고 산(散)하는 약(藥)이며 허(虛)한 경향(傾向)의 환자(患者)에게는 다식(多食)시키면 안된다. 대장(大腸)을 냉리(冷痢)시키는 것이니 경계(警戒)를 요(要)한다.
時珍曰︰旋覆乃手太陰肺、手陽明大腸藥也。所治諸病,其功只在行水、下氣、通血脈爾。李衛公言︰嗅其花能損目。唐慎微《本草》誤以旋花根方收附此下,今改正之。
선복화(旋覆花)는 수태음(手太陰)의 폐(肺), 수양명(手陽明)의 대장약(大腸藥)으로서 치병(治病)상의 공력(公力)은 다만 수(水)를 행(行)하고, 기(氣)를 하(下)하며, 혈맥(血脈)을 통리(通利)하는데 있다. 이위공(李衛公)은 그 꽃을 맡으면 능히 눈을 손상(損傷)한다 라고 하였다. 당신미(唐慎微)의 본초(本草)에는 잘못하여 선화근(旋花根)의 방(方)을 이것에 관한 조항에 기재(記載)하였는데 바로 잡아 둔다.
【附方】
舊一,新三。
中風壅滯︰旋覆花,洗淨焙研,煉蜜丸梧子大。夜臥以茶湯下五丸至七丸、十丸。(《經 驗後方》)
半產漏下,虛寒相摶,其脈弦芤︰旋覆花湯︰用旋覆花三兩,蔥十四莖,新絳少許。水三升,煮一升,頓服。(《金匱要略》)
月蝕耳瘡︰旋覆花燒研,羊脂和塗之。(《集簡方》)
小兒眉癬,小兒眉毛眼睫,因癬退不生︰用野油花(即旋覆花)、赤箭(即天麻苗)、防 風等分,為末。洗淨,以油調塗之。(《總微論》)
葉
【主治】
敷金瘡,止血(大明)。
金瘡(금창)에 傅(부)하면 止血(지혈)된다.
治疔瘡腫毒(時珍)。
疔瘡(정창), 腫毒(종독)을 治(치)한다.
根
【主治】
風濕(《別錄》)。
風濕(풍습)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동화(款冬花)[본초강목] (0) | 2021.02.02 |
---|---|
자완(紫菀)[본초강목] (0) | 2021.02.02 |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0) | 2021.01.22 |
홍화(紅花) [본초강목] (0) | 2021.01.22 |
애엽(艾葉)[본초강목]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