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 02:0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관동화(款冬花)[본초강목]
^^^^^^^^^^^^^^^^^^^^^^^^^^^^^^^^^^^^^^^^^^^^^^^^^^^^^^^^^^^^^^^^^^^^^^^^^^^^^^
款冬花
(《本經》中品)
【釋名】
款凍(郭璞)、顆凍(《爾雅》)、氐冬(《別錄》)、鑽凍(《衍義》)、菟奚(《爾雅》)、橐吾(《本經》)、虎須(《本經》)。
時珍曰︰按《述征記》云︰洛水至歲末凝厲時,款冬生於草冰之中,則顆凍之,名以此而得。後人訛為款冬,乃款凍爾。款者至也,至冬而花也。
述征記(술정기)에 “落水(낙수)가 歲末(세말)의 심한 寒氣(한기)로 얼어붙었을 때 款冬(관동)이 凍結(동결)된 草原(초원) 속에서 자라났다.”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顆凍(과동)이라는 名稱(명칭)이 여기서 由來(유래)하였으나 後世(후세)에 이르러서 款冬(관동)으로 訛傳(와전)한 것이다. 즉 款冬(관동)이다.款(관)의 意味(의미)는 至(지)하다는 뜻으로 겨울에 이르는 時期(시기)에 꽃이 피는 草(초)라는 意味(의미)이다.
宗奭曰︰百草中,惟此罔顧冰雪,最先春也,故世謂之鑽凍。雖在冰雪之下,至時亦生芽,春時人采以代蔬。入藥須微見花者良。如已芬芳,則都無氣力。今人多使如箸頭者,恐未有花也。
온갖 草(초) 가운데서 이 草(초)만은 水雪(수설)을 마다 않고 가장 먼저 봄에 앞선다. 따라서 세상에는 이것을 鑽凍(찬동)이라 한다. 가령 氷雪(빙설) 밑에 깔려 있다가도 때가 오면 芽生(아생)하는 것이다. 春季(춘계)가 되면 世人(세인)들은 이것을 採取(채취)해서 蔬菜(소채)로 大食(대식)한다. 藥(약)에 쓰이는 데는 꽃이 막 필 무렵에 採取(채취)해서 쓰는 것이 좋다. 이미 滿開(만개)한 것은 별로 氣力(기력)이 없는 탓이다. 지금은 一般(일반)에서 거의가 젓가락 끝만한 것을 골라서 쓰고 있으나 과연 아직 꽃이 피지 않았던 것인지 알수 없으니 마음이 쓰인다.
【集解】
《別錄》曰︰款冬生常山山谷及上黨水旁,十一月採花,陰乾。
弘景曰︰第一出河北,其形如宿 未舒者佳,其腹裡有絲。次出高麗百濟,其花乃似大菊花。次亦出蜀北部宕昌,而並不如。其冬月在冰下生,十二月、正月旦取之。
次位(차위)에 해당하는 것은 高麗(고려), 百濟(백제)에서 産(산)한다.
恭曰︰今出雍州南山溪水,及華州山谷澗間。葉似葵而大,叢生,花出根下。
頌曰︰今關中亦有之。根紫色,葉似萆薢 ,十二月開黃花,青紫萼,去土一二寸,初出如菊花萼,通直而肥實無子。則陶氏所謂出高麗百濟者,近此類也。又有紅花者,葉如荷而斗直,大者容一升,小者容數合,俗呼為蜂斗葉,又名水斗葉。則蘇氏所謂大如葵而叢生者,是也。敷咸《款冬賦》序云︰予曾逐禽,登於北山,於時仲冬之月,冰凌盈谷,積雪被崖,顧見款冬煒然,始敷華艷,是也。
【修治】
雷斅曰︰凡采得,須去向裡裹花蕊殼,並向裡實如栗零殼者。並枝葉,以甘草水浸一宿,卻取款冬葉相拌 一夜,晒乾去葉用。
대개 이것을 採取(채취)했을 때에는 뒷면을 바라보며 花蕊(화예)를 감싸고 있는 殼(각)과 뒷면에 있는 實(실)의 栗零殼(율령각)과 같은 것 또한 枝葉(지엽)을 棄去(기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게 해서 甘草水(감초수)에 하룻밤 담갔다가 또 款冬葉(관동엽)을 따서 싸매고 하룻밤 묵혀서 曬乾(쇄건)한 다음 葉(엽)을 去(거)하고 使用(사용)한다.
【氣味】
辛,溫,無毒。
《別錄》曰︰甘。
好古曰︰純陽,入手太陰經。
純陽(순양)한 것으로 手太陰經(수태음경)에 들어간다.
之才曰︰杏仁為之使,得紫菀良,惡皂莢、消石、玄參,畏貝母、辛夷、麻黃、黃耆、黃芩、黃連、青葙。
杏仁(행인)이 使(사)가 된다. 紫菀(자완)과 配合(배합)하는 것이 좋다. 皂莢(조협), 消石(소석), 玄参(현삼)을 惡(오)하고, 貝母(패모), 辛夷(신이), 麻黃(마황), 黃芪(황기), 黃芩(황금), 連翹(연교), 靑葙(청상)을 畏(외)한다.
【主治】
咳逆上氣善喘,喉痺,諸驚癇寒熱邪氣。(《本經》)
咳逆上氣(해역상기)로 자주 喘(천)하는 것, 喉痺(후비), 諸驚癎(제경간), 寒熱邪氣(한열사기)
消渴,喘息呼吸(《別錄》)。
消渴(소갈)로 呼吸(호흡)함에 喘息(천식)하는 것
療肺氣心促急,熱乏勞咳,連連不絕,涕唾稠粘,肺痿肺癰,吐膿血(甄權)。
肺氣心促(폐기심촉), 急熱(급열), 勞咳(노해)가 계속해서 나오고 涕唾(체타)가 點(점)하는ㄴ 것, 肺痿(폐위), 肺癰(폐옹)으로 膿血(농혈)을 吐(토)하는 것을 治療(치료)한다.
潤心肺,益五臟,除煩消痰,洗肝明目,及中風等疾(大明)。
心肺(심폐)를 潤(윤)하고, 五臟(오장)을 益(익)하며, 除煩(제번)하고, 消痰(소담)하며 洗肝(세간), 明目(명목)한다. 中風(중풍)등의 疾(질)
【發明】
頌曰︰《本經》主咳逆,古今方用為溫肺治嗽之最。
本經(본경)에는 咳逆(해역)에 主效(주효)가 있다고 하였고, 古方(고방)에서는 肺(폐)를 溫(온)하게 하여 嗽(수)를 治(치)하는 最要藥(최요약)이라 했다.
崔知悌療久咳熏法︰每旦取款冬花如雞子許,少蜜拌花使潤,納一升鐵鐺中。又用一瓦碗鑽一孔,孔內安一小筆管,以面泥縫,勿令漏氣。鐺下著炭火,少時煙從筒出,以口含吸,咽之。如胸中少悶,須舉頭,即將指頭按住筒口,勿使漏。至煙盡乃止。如是五日一為之。待至六日,飽食羊肉餺飥 一頓,永瘥。
崔知悌(최지제)의 久咳를 治療하는 熏法(훈법)에는 “아침마다 鷄子(계자)만한 款冬花(관동화)를 取(취)하여 小量(소량)의 蜜(밀)을 섞어서 꽃을 潤(윤)하고 一升(일승)들이의 鐵鐺(철당)에 넣고 또 一個(일개)의 瓦碗(와완)에 구멍을 뚫어서 少筆管(소필관)을 한 개 꽃은 다음 그것으로 鍋(과)를 덮어서 氣(기)가 새지 못하게 面泥(면니)로 縫(봉)하고 鍋(과) 밑에 불을 피워 잠시 후에 筒(통)에서 나오는 煙氣(연기)가 盡(진)하면 멈춘다. 이와 같이 五日(오일)동안 一定(일정)하게 試行(시행)하고, 六日(육일)째는 羊肉(양육)의 餺飥(박탁) 一頓(일돈)을 飽食(포식)하면 낫는데 오래도록 發病(발병)하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다.
宗奭曰︰有人病嗽多日,或教然款冬花三兩,於無風處以筆管吸其煙,滿口則咽之,數日果效。
오랫동안 앓던 어떤 사람이 우연히 款冬花(관동화) 三兩(삼량)을 태워 바람이 없는 곳에서 筆管(필관)으로 그 烟(연)을 滿口(만구)해서 들이켜 삼키면 좋다는 敎示(교시)를 받고 그렇듯 試行(시행)하니 數日(수일)만에 과연 効果(효과)가 있었다.
【附方】新二。
痰嗽帶血︰款冬花、百合(蒸焙)等分為末,蜜丸龍眼大。每臥時嚼一丸,薑湯下。(《濟生方》)
口中疳瘡︰款冬花、黃連等分,為細末,用唾津調成餅子。先以蛇床子煎湯漱口,乃以餅子敷之,少頃確住,其瘡立消也。(楊誠《經驗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한련(墨旱蓮)[본초강목] (0) | 2021.02.02 |
---|---|
백출(白朮)[본초강목] (0) | 2021.02.02 |
자완(紫菀)[본초강목] (0) | 2021.02.02 |
선복화(旋覆花)[본초강목] (0) | 2021.01.22 |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