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13. 23:4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애엽(艾葉)[본초강목]
^^^^^^^^^^^^^^^^^^^^^^^^^^^^^^^^^^^^^^^^^^^^^^^^^^^^^^^^^^^^^^^^^^^^^^^^^
艾
(《別錄》中品)
【釋名】
冰台(《爾雅》)、醫草(《別錄》)、黃草(《埤雅》)、艾蒿。
時珍曰︰王安石《字說》云︰艾可乂疾,久而彌善,故字從 。陸佃《埤雅》云︰《博 物志》言削冰令圓,舉而向日,以艾承其影則得火。則艾名冰台,其以此乎?醫家用灸百病,故曰灸草。一灼謂之一壯,以壯人為法也。
字說(자설)에 “艾(애)는 乂(예/治)하는 것으로 오래된 것일 수록 좋다. 그러므로 文字(문자)는 乂(예)를 따라야 한다.”라고 하였다. 陸田(육전)의 埤雅(비아)에는 “氷(빙)을 둥글게 깍아 손에 쥐고 햇볕을 향해서 透光(투광)을 艾(애)에 받게 하면 불이 붙는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에 氷臺(빙대)라는 명칭이 있는 까닭은 바로 이것 때문이다. 醫家(의가)에서는 이것을 使用(사용)해서 많은 病(병)을 灸(구)하므로 灸草(구초)라고 한다. 灸(구)의 一灼(일작)을 一壯(일장)이라 하는 것은 壯健(장건)한 사람을 標準(표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集解】
《別錄》曰︰艾葉生田野,三月三日采,曝乾。
頌曰︰處處有之,以複道及四明者為佳,云此種灸百病尤勝。初春布地生苗,莖類蒿,葉背白,以苗短者為良。三月三日,五月五日,采葉曝乾。陳久方可用。
時珍曰︰艾葉,《本草》不著土產,但雲生田野。宋時以湯陰複道者爲佳,四明者圖形。近代惟湯陰者謂之北艾,四明者謂之海艾。自成化以來,則以蘄州者爲勝,用充方物,天下重之,謂之蘄艾。相傳他處艾灸酒壇不能透,蘄艾一灸則直透徹,爲異也。
此草多生山原。二月宿根生苗成叢,其莖直生,白色,高四五尺。其葉四布,狀如蒿,分爲五尖,椏上複有小尖,面青背白,有茸而柔厚。七八月葉間出穗如車前穗,細花,結實累累盈枝,中有細子,霜後始枯。
皆以五月五日連莖刈取,暴幹收葉。先君月池子諱言聞,嘗著《蘄艾傳》一卷。有贊雲:產於山陽,采以端午。治病灸疾,功非小補。又宗懍《荊楚歲時記》雲:五月五日雞未鳴時,采艾似人形者攬而取之,收以灸病甚驗。
是日采艾爲人,懸於戶上,可禳毒氣。其莖幹之,染麻油引火點灸炷,滋潤灸瘡,至愈不疼。亦可代蓍策,及作燭心。
葉
【修治】
宗奭曰︰艾葉乾搗,去青滓,取白,入石硫黃末少許,謂之硫黃艾,灸家用之。 得米粉少許,可搗為末,入服食藥用。
艾葉(애엽)을 乾棗(건조)하고 搗(도)하여 青滓(청재)를 除去(제거)한 흰 부분을 採取(채취)해서 거기에 石流黃(석유황)가루 小量(소량)을 넣은 것을 硫黃艾(유황애)라 말하며, 灸家(구가)에서 使用(사용)한다. 米粉(미분) 小量(소량)을 넣고 찧은 末(말)은 服食藥(복식약)에 넣는다.
時珍曰︰凡用艾葉,須用陳久者,治令細軟,謂之熟艾。若生艾灸火,則傷人肌脈。
대개 艾葉(애엽)을 使用(사용)할 때에는 오랫동안 두었던 古葉(고엽)을 修治(수치)해서 細軟(세연)한 것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熟艾(숙애)라 한다. 生艾(생애)를 써서 灸(구)를 點(점)하면 肌脈(기맥)이 傷(상)하게 된다.
故《孟子》云︰七年之病,求三年之艾。揀取淨葉,揚去塵屑,入石臼內木杵搗熟,羅去渣滓,取白者再搗,至柔爛如綿為度。用時焙燥,則灸火得力。
그러므로 孟子(맹자)에 “七年(칠년)된 病(병)에는 三年(삼년)된 艾(애)를 灸(구)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淸淨(청정)한 葉(엽)을 가려내어서 塵屑(진설)을 털어내고 石臼(석구)에 넣어 木杵(목저)로 搗熟(도숙)하고, 渣滓(사재)를 篩(사)로 쳐서 흰 部分(부분)을 取(취)한다. 다시 綿(면)처럼 부드럽게 搗爛(도란)하여 사용할 때에는 焙燥(배조)하여 사용하면 灸火(구화)에 效力(효력)을 發揮(발휘)한다.
入婦人丸散,須以熟艾,用醋煮乾,搗成餅子,烘乾再搗為末用。或以糯糊和作餅,及酒炒者,皆不佳。
婦人(부인)이 服用(복용)하는 丸(환), 散藥(산약)에 넣는 경우에는 熟艾(숙애)를 醋(초)로 煮乾(자건)해서 짓이겨 餠(병)으로 烘乾(홍건)하여 다시 末(말)이 되게 짓찧어서 써야만 된다. 糯糊(나호)에 和(화)해서 餠(병)으로 한 것이나 술로 볶은 것도 있지만, 모두 좋지 않는 것들이다.
洪氏《容齋隨筆》 云︰艾難著力,若入白茯苓三、五片同碾,即時可作細末,亦一異也。
洪邁(홍매)의 容齋隨筆(용재수필)에 “艾(애)를 降(강)하고 有力(유력)하게 하려면 상당히 까다롭긴 하여도 白茯苓(백복령) 三(삼)~五片(오편)을 넣어 함께 갈아서 바로 細末(세말)로 하여 쓰는 것이 特殊(특수)한 하나의 方法(방법)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氣味】
苦,微溫,無毒。
恭曰︰生寒;熟熱。
元素曰︰苦溫,陰中之陽。
苦(고)하고 溫(온)하며 陰中(음중)의 陽(양)이다.
時珍曰︰苦 而辛,生溫熟熱,可升可降,陽也。入足太陰、厥陰、少陰之經。苦酒、
苦(고)하면서 辛(신)하다. 生(생)한 것은 溫(온), 熟(숙)한 것은 熱(열), 升(승)할 수도 있으며, 降(강)할 수도 있다. 陽(양)하며 足太阴(족태음), 足厥陰(족궐음), 足少陰(족소음)의 經(경)에 들어간다. 苦酒(고주), 香附(향부)가 使(사)가 된다.
【主治】
灸百病。可作煎,止吐血下痢,下部匿蟲瘡,婦人漏血,利陰氣,生肌肉,辟風寒,使人有子。作煎勿令見風(《別錄》)。
百病(백병)에 灸(구)한다. 煎(전)하여 쓰게 되면 吐血(토혈), 下痢(하리), 下部(하부)의 匿蟲瘡(닉충창), 婦人(부인)의 漏血(누혈)을 멈추고 陰氣(음기)를 利(이)하고 肌肉(기육)을 生(생)하며, 風寒(풍한)을 辟(피)하고, 子(자)를 한다. 煎(전)하여 使用(사용)할 때는 바람을 보이면 안 된다.
搗汁服,止傷血,殺蛔蟲(弘景)。
搗汁(도즙)을 服用(복용)하면 傷血(상혈)을 멈추고 蛔蟲(회충)을 殺(살)한다.
主衄血、下血,腸血痢,水煮及丸散任用(蘇恭)。
衄血(육혈), 下血(하혈), 膿血痢(농혈리)에 主效(주효)가 있다. 水煮(수자) 및 散(산)을 적적하게 使用(사용)한다.
止崩血、腸痔血,搨金瘡,止腹痛,安胎。苦酒作煎,治癬甚良。搗汁飲,治心腹一切冷氣、鬼氣(甄權)。
崩血(붕혈), 腸痔血(장치혈)을 멈추고 金瘡(금창)을 撢(탐)하며 腹痛(복통)을 멎게 하고, 安胎(안태)한다. 苦酒(고주)로 달여서 使用(사용)하면 癬(선)을 治(치)하는데 매우 좋다. 搗汁(도즙)을 마시면 心腹(심복) 一切(일체)의 冷氣(냉기), 鬼氣(귀기)를 治(치)한다.
治帶下,止霍亂轉筋,痢後寒熱(大明)。
帶下(대하)를 治(치)하고, 癨亂轉筋(곽란전근), 痢後(이후)의 寒熱(한열)을 멎게 한다.
治帶脈為病,腹脹滿,腰溶溶如坐水中(好古)。
帶脈(대맥)의 病(병)이 되어 腹(복)이 脹滿(창만)하고 腰(요)가 溶溶(용용)해져서 水中(수중)에 앉는 것과 같이 된 것을 治療(치료)한다.
溫中、逐冷、除濕(時珍)。
溫中(온중)하고 冷(냉)을 逐(축)하고 除濕(제습)한다.
【發明】
詵曰︰春月採嫩艾作菜食,或和面作餛飩如彈子,吞三、五枚,以飯壓之,治一切鬼惡氣,長服止冷痢。又以嫩艾作乾餅子,用生薑煎服,止瀉痢及產後瀉血,甚妙。
春季(춘계)에 艾(애)의 嫩葉(눈엽)을 採集(채집)해서 菜(채)로 먹고 혹은 麵(면)에 和(화)하여 彈子(탄자) 크기의 餛飩(혼돈)으로 만들어 三(삼)~五個(오개)를 넘기고 밥을 먹어서 위에서 눌려 주면 一切(일체)의 鬼(귀), 惡氣(악기)를 治(치)한다. 오fot동안 服用(복용)하면 冷痢(냉리)를 멎게 한다. 또 嫩艾(눈애)로 만든 乾餅子(건병자)를 生薑煎(생강전)으로 服用(복용)하면 瀉痢(사리), 産後(산후)의 瀉血(사혈)을 멎게 하는데 甚妙(심묘)하다.
頌曰︰近世有單服艾者,或用蒸木瓜和丸,或作湯空腹飲,甚補虛羸。然亦有毒發則熱氣沖 上,狂躁不能禁,至攻眼有瘡出血者,誠不可妄服也。
近世(근세)에는 艾(애)를 單服(단복)하는 사람도 있고, 혹은 찐 木瓜(모과)와 和(화)해서 丸(환)으로 하고 혹은 湯(탕)을 만들어 空腹(공복)에 마시는 사람도 있다. 매우 虛羸(허리)를 補(보)하는 것이긴 하나 그래도 역시 中毒(중독)을 發(발)하는 일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熱氣(열기)가 衝上(충상)하여 狂燥(광조)되어 마침내는 손을 써볼 方法(방법)이 없게 되어 攻眼(공안)하고, 瘡(창)이 도지며, 出血(출혈)하기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참으로 함부로 服用(복용)해서는 안 된다.
震亨曰︰婦人無子,多由血少不能攝精,俗醫謂子宮虛冷,投以辛熱,或服艾葉。不知艾性至熱,入火灸則氣下行;入藥服,則氣上行。
婦人(부인)의 不姙症(불임증)에는 大部分(대부분)이 血(혈)이 적은 탓으로 攝政不能(섭정불능)이 되는 것이다. 俗醫(속의)는 子宮(자궁)의 虛冷(허랭)이라 여기어 辛(신), 熱(열)의 藥(약)을 投與(투여) 혹은 艾葉(애엽)을 服用(복용)시키거나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艾(애)는 性(성)이 至熱(지열)한 것이므로 火(화)를 使用(사용)해서 灸(구)하면 氣(기)가 下行(하행)하고 藥(약)에 넣어서 服用(복용)하면 氣(기)가 上行(상행)하는 것이다.
本草止言其溫,不言其熱。世人喜溫,率多服之,久久毒發,何嘗歸咎於艾哉﹗予考蘇頌《圖經》而因默有感焉。
本草(본초)에서는 단지 그 性(성)을 溫(온)하다고만 말했을 뿐으로 熱(열)이라고 하지 않는 탓으로 世人(세인)들은 그 溫(온)을 可能(가능)하면 多服(다복)한 나머지 오랜 歲月(세월)에 걸쳐서 中毒(중독)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罪(죄)를 艾(애)에 뒤집어씌울 수는 없다. 나는 燒送(소송)의 圖景(도경)을 보고 이 問題(문제)에 관해서 깊이 느낀 바가 있었다.
時珍曰︰艾葉生則微苦太辛,熟則微辛太苦,生溫熟熱,純陽也。可以取太陽真火,可以回垂絕元陽。服之則走三陰,而逐一切寒濕,轉肅殺之氣為融和。灸之則透諸經,而治百種病邪,起沉 之人為康泰,其功亦大矣。
艾葉(애엽)은 生(생)으로 味苦(미고)하면서 매우 辛(신)하고 熟(숙)한 것은 微辛(미신)하면서 매우 苦(고)하다. 生(생)것은 溫(온), 熟(숙)은 熱(열), 純陽(순양)이다. 이것으로 太陽(태양)의 眞火(진화)를 取(취)하며, 그 때문에 節(절)되어 늘어진 元陽(원양)을 回復(회복)하니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三陰(삼음)에 走行(주행)해서 一切(일체)의 寒濕(한습)을 쫓고 肅殺(숙살)의 氣(기)를 轉向(전향)시켜 融和(융화)를 이룬다. 灸(구)하면 諸經(제경)에 透(투)해서 百種(백종)의 病邪(병사)를 治(치)하며, 沈痾(침아)의 사람을 일으켜 세워 康泰(강태)하게 한다. 그 功(공)은 참으로 큰 것이다.
蘇恭言其生寒,蘇頌言其有毒。一則見其能止諸血,一則見其熱氣上沖,遂謂其性寒有毒,誤矣。
蘇恭(소공)은 “그 性(성)이 寒(한)하다.”라고 하였고 蘇頌(소송)이 “毒(독)이 있다.”라고 한 것은 하나는 능히 諸血(제혈)을 멎게 하는 것을 보았고, 하나는 그 熱氣(열기)의 上衝(상충)함을 보았던 것으로 寒(한)하다는 것과 毒(독)이 있다는 것을 誤認(오인)했던 것이다.
蓋不知血隨氣而行,氣行則血散,熱因久 服致火上沖之故爾。夫藥以治病,中病則止。若素有虛寒痼冷,婦人濕郁帶漏之人,以艾和歸、香附諸藥治其病,夫何不可?
대개 血(혈)은 氣(기)에 따라서 흐르고 氣(기)가 흐르면 血(혈)이 散(산)하는 것으로 熱因(열인)한 것을 久服(구복)하면 火(화)의 上衝(상충)을 惹起(야기)하는 것에 理解(이해)가 缺(결)했던 것이다. 원래 虛寒(허한), 痼冷(고랭)한 사람, 婦人(부인)이 濕鬱(습울), 對漏(대루)의 患者(환자)일 경우에는 그것에 대해서 艾(애)를 쓰되 當歸(당귀), 香附(향부)의 諸藥(제약)을 和(화)해서 그 病(병)을 治療(치료)한다는 方法(방법)에 무슨 지장이 있겠는가.
而乃妄意求嗣,服艾不輟,助以辛熱,藥性久偏,致使火躁,是誰之咎歟,於艾何尤?
그러나 함부로 姙娠(임신)을 圖謀(도모)함에 갑자기 間斷(간단)없이 艾(애)를 服用(복용)하고, 더욱이 그 藥力(약력)을 돕기 위해서 辛(신)이나 熱(열)한 것을 使用(사용)하는 일은 藥性(약성)이 오랫동안 作用(작용)하여 偏(편)의 現象(현상)이 되니 끝내는 火(화)를 躁(조)하는 結果(결과)가 되고 마는 것이다. 原則(원칙)을 따지자면 누구의 罪(죄)가 되겠는가. 艾(애)에게 무슨 罪(죄)가 있다고 할 수 있겠는가.
艾附丸治心腹、少腹諸痛,調女人諸病,頗有深功。膠艾湯治虛痢,及妊娠產後下血,尤著奇效。老人丹田氣弱,臍腹畏冷者,以熟艾入布袋兜其臍腹,妙 不可言。寒濕腳氣,亦宜以此夾入襪內。
艾附丸(애부환)에는 心腹(심복), 小腹(소복)의 諸痛(제통)을 治(치)하고, 婦人(부인)의 祭屛(제병)을 調律(조율)함에 매우 깊고 좋은 效力(효력)이 있지 않는가. 膠艾湯(교애탕)에는 虛痢(허리) 및 姙娠(임신), 産後(산후)의 下血(하혈)을 治療(치료)함에 就中(취중)에 현저한 效驗(효험)이 있지 않는가. 老人(노인)의 丹田氣(단전기)가 弱(약)한 것에 脐腹(제복)이 冷(냉)을 두려워하는 것에는 熟艾(숙애)를 布袋(포대)에 넣어서 그 脐腹(제복)을 덮고 溫(온)하게 하면 말로 다 할 수 없는 妙效(묘효)가 있다. 寒濕脚氣(한습각기)에도 역시 이것을 足袋(족대)의 裏(이)에 끼우는 것이 좋은 것이다.
【附方】舊二十三,新二十九。
傷寒時氣,溫病頭痛,壯熱脈盛。以乾艾葉三升。水一斗,煮一升,頓服取汗。(《肘後方》)
妊娠傷寒壯熱,赤斑變為黑斑,溺血︰用艾葉如雞子大,酒三升,煮二升半,分為二服。(《傷寒類要》)
妊娠風寒卒中,不省人事,狀如中風︰用熟艾三兩,米醋炒極熱,以絹包熨臍下,良久即蘇。(《婦人良方》)
中風口喎︰以葦筒長五寸,一頭刺入耳內,四面以面密封,不透風,一頭以艾灸之七壯。患右灸左,患左灸右。(《勝金方》)
中風口噤︰熟艾 灸承漿一穴,頰車二穴,各五壯。(《千金方》)
中風掣痛,不仁不隨︰並以乾艾斛許,揉團 納瓦甑中,並下塞諸孔,獨留一目,以痛處著 舌縮口噤︰以生艾搗敷之。乾艾浸濕亦可。(《聖濟錄》)
咽喉腫痛︰《醫方大成》︰同嫩艾搗汁,細咽之。《經驗方》︰用青艾和莖葉一握,同醋搗爛,敷於喉上。冬月取乾艾亦得。李亞 所傳方也。癲癇諸風︰熟艾於陰囊下谷道正門當中間,隨年歲灸之。(《斗門方》)
鬼擊中惡,卒然著人,如刀刺狀,胸脅腹內 刺切痛不可按,或即吐血、鼻中出血、下血,一名鬼排︰ 以熟艾如雞子大三枚,水五升,煎二升,頓服。(《肘後方》)
小兒臍風撮口︰艾葉燒灰填臍 中,以帛縛定效。或隔蒜灸之,候口中有艾氣立愈。(《簡便方》)
狐惑蟲 病患齒無色,舌上白,或喜睡不知痛癢處,或下痢,宜急治下部。不曉此者,但攻其上,而下部生蟲,食其肛,爛見五臟,便死也。燒艾於管中,熏下部令煙入,或少加雄黃更妙。罌中燒煙亦可。 (《肘後方》)
頭風久痛︰蘄艾揉為丸,時時嗅之,以黃水出為度。(《青囊雜纂》)
頭風面瘡,癢出黃水︰艾葉二兩,醋一斤,砂鍋煎取汁,每薄紙上貼之。一日一、兩上。( 心腹惡氣︰艾葉搗汁飲之。(《藥性論》)
脾胃冷痛︰白艾末,沸湯服二錢。(《衛生易簡方》)
蛔蟲心痛如刺,口吐清水︰白熟艾一升。水三升,煮一升服,吐蟲出。或取生艾搗汁,五更食香脯一片,乃飲一升,當下蟲出。(《肘後方》)
口吐清水︰乾蘄艾煎湯啜之。(《怪証奇方》)。 霍亂洞下不止︰以艾一把。水三升,煮一升,頓服。(《外台秘要》)
老小白痢︰艾薑丸︰用陳北艾四兩,乾薑(炮)三兩,為末,醋煮倉米糊丸梧子大。每服七諸痢久下︰艾葉、陳皮等分,煎湯服之。亦可為末,酒煮爛飯和丸,每鹽湯下二、三十丸暴泄不止︰陳艾一把,生薑一塊,水煎熱服。(《生生編》)
糞後下血︰艾葉、生薑煎濃汁,服三合。(《千金方》)
野雞痔病︰先以槐柳湯洗過,以艾灸上七壯,取效。郎中王及乘騾入西川,數日病痔大作五壯,忽覺一道熱氣入腸中,因大轉瀉,血穢並出,瀉後遂失胡瓜所在矣。(《經驗方》)
妊娠下血︰張仲景曰︰婦人有漏下者,有半產後下血不絕者,有妊娠下血者,並宜膠艾 湯清酒三升,煮取三升,乃納膠令消盡,每溫服一升,日三服。(《金匱要略》)
妊娠胎動或腰痛,或搶心,或下血不止,或倒產子死腹中︰艾葉一雞子大,酒四升,煮二升,分二服。(《肘後方》)
胎動迫心作痛︰艾葉雞子大。以頭醋四升,煎二升,分溫服。(《子母秘錄》)
婦人崩中連日不止︰熟艾雞子大,阿膠(炒為末)半兩,乾薑一錢。水五盞,先煮艾薑至二盞半,傾出,入膠烊化,分三服,一日服盡。(初虞世《古今錄驗》)
產後瀉血不止︰乾艾葉半兩,炙熟老生薑半兩,濃煎湯,一服止,妙。(孟詵《食療本草》)
產後腹痛欲死,因感寒起者︰陳蘄艾二斤。焙乾,搗鋪臍上,以絹覆住,熨斗熨之,待口中艾氣出,則痛自止矣。(《楊誠經驗方》)
忽然吐血一二口,或心衄,或內崩︰熟艾三團,水五升,煮二升服。一方︰燒灰水服鼻血不止︰艾灰吹之。亦可以艾葉煎服。(《聖惠方》)
盜汗不止︰熟艾二錢,白茯神三錢,烏梅三個,水一鐘,煎八分,臨臥溫服。(《通妙 真人方》)
火眼腫痛︰以艾燒煙起,用碗覆之,候煙盡,碗上刮煤下,以溫水調化洗眼,即瘥。更入面上 ︰艾灰、桑灰各三升,以水淋汁,再淋至三遍,以五色布納於中,同煎,令可丸婦人面瘡,名粉花瘡︰以定粉五錢,菜子油調泥碗內,用艾一、二團,燒煙熏之,候煙 盡 身面疣目︰艾火灸三壯即除。(《聖惠方》)
鵝掌風病︰蘄艾(真者)四、五兩,水四五碗,煮五、六滾,入大口瓶內盛之,用麻布 二層縛之,將手心放瓶上熏之,如冷再熱,如神。(陸氏《積德堂方》)
瘡疥熏法︰熟蘄艾一兩,木鱉子三錢,雄黃二錢,硫黃一錢。為末,揉入艾中,分作四條。每以一條安陰陽瓦中,置被裡烘熏,後服通聖散。(《醫方摘要》)
小兒疳瘡︰艾葉一兩,水一升,煮取四合,分三服。(《備急方》)
小兒爛瘡︰艾葉燒灰,敷之,良。(《子母秘錄》)
瘡口冷不合︰熟艾燒煙熏之。(《經驗方》)
白癩風瘡︰乾艾隨多少,以浸曲釀酒如常法,日飲之,覺痺即瘥。(《肘後方》)
疔瘡腫毒︰艾蒿一擔燒灰,於竹筒中淋取汁,以一、二合,和鍛石如糊。先以針刺瘡至 痛,乃點藥三遍,其根自拔。玉山韓光以此治人神驗。貞觀初,衢州徐使君訪得此方。予用治三十餘人,得效。(孫真人《千金方》)
發背初起未成,及諸熱腫︰以濕紙拓上,先乾處是頭,著艾灸之。不論壯數,痛者灸至 不痛;不痛者灸至痛乃止。其毒即散,不散亦免內攻,神方也。(李絳《兵部手集》)
癰疽不合,瘡口冷滯︰以北艾煎湯洗後,白膠熏之。(《直指方》)
咽喉骨哽︰用生艾蒿數升,水、酒共一斗,煮四升,細細飲之,當下。(《外台秘要》)
誤吞銅錢︰艾蒿一把,水五升,煎一升,頓服便下。(錢相公《篋中方》)
諸蟲蛇傷︰艾灸數壯甚良。(《集簡方》)
風蟲牙痛︰化蠟少許,攤紙上,鋪艾,以箸卷成筒,燒煙,隨左右熏鼻,吸煙令滿口,呵氣,即疼止腫消。靳季謙病此月餘,一試即愈。《普濟方》。
實
【氣味】
苦、辛,暖,無毒。
【主治】
明目,療一切鬼氣(甄權)。
明目(명목)하고 一切(일체)의 鬼氣(귀기)를 療(요)한다.
壯陽,助水臟腰膝,及暖子宮(大明)。
壯陽(장양)하고 水臟(수장), 腰(요), 膝(슬)을 도우며, 또 子宮(자궁)을 暖(난)한다.
【發明】
詵曰︰艾子和乾薑等分,為末,蜜丸梧子大。空心每服三十丸,以飯三、五匙壓之,日再服。治百惡氣,其鬼神速走出。田野之人,與此甚相宜也。
艾子(애자)와 乾薑(건강) 等分(등분)을 作末(작말)해서 蜜(밀)로 梧子(오자) 크기의 丸(환)을 만들어 空心(공심)에 三丸(삼환)씩 服用(복용)하고, 밥 三(삼)~五匙(오시)를 먹어 누른다. 一日(일일) 二回(이회)씩 服用(복용)하면 온갖 惡氣(악기)를 治(치)하며, 그 鬼神(귀신)은 재빠르게 走出(주출)한다. 農家(농가)의 患者(환자)들에게는 이 方(방)을 用(용)하는 것이 매우 適合(적합)하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0) | 2021.01.22 |
---|---|
홍화(紅花) [본초강목] (0) | 2021.01.22 |
소계(小薊)[본초강목] (0) | 2021.01.13 |
설련화(雪蓮花)[본초강목습유] (0) | 2020.12.31 |
천리광(千里光)[본초강목]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