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22. 19:0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홍화(紅花) [본초강목]
^^^^^^^^^^^^^^^^^^^^^^^^^^^^^^^^^^^^^^^^^^^^^^^^^^^^^^^^^^^^^^^^^^^^^^^^^^^
紅藍花
(宋《開寶》)
【釋名】
紅花(《開寶》)黃藍
頌曰︰其花紅色,葉頗似藍,故有藍名。
그 花色(화색)이 붉고 葉(엽)이 매우 藍(람)과 유사한 까닭에 藍(람)이라고 名(명)한다.
【集解】
志曰︰紅藍花,即紅花也,生梁漢及西域。《博物志》云︰張騫得種於西域。 今魏地亦種之。 花下作 多刺,花出大。其花曝乾,以染真紅,又作胭脂。
時珍曰︰紅花,二月、八月、十二月皆可以下種,雨後布子,如種麻法。初生嫩葉、苗,亦可食。其葉如小薊葉。至五月開花,如大薊花而紅色。侵晨采花搗熟,以水淘,布袋絞去黃汁又搗,以酸粟米泔清又淘,又絞袋去汁,以青蒿覆一宿,晒乾。或捏成薄餅,陰乾收之。 入藥搓碎用。其子五月收采,淘淨搗碎煎汁,入醋,拌蔬食,極肥美。又可為車脂及燭。
花
【氣味】
辛,溫,無毒。
元素曰︰入心養血,謂其苦溫,陰中之陽,故入心。佐當歸,生新血。
心(심)에 들어가서 養血(양혈)한다. 소위 그 苦(고), 溫(온)은 陰中(음중)의 陽(양)이므로 心(심)에 들어가는 것이다. 當歸(당귀)를 佐(좌)로 함녀 新血(신혈)을 生(생)한다.
好古曰︰辛而甘苦溫,肝經血分藥也。入酒,良。
辛(신)하면서 甘(감), 苦(고)하고 溫(온)하므로 肝經(간경)의 血分藥(혈분약)이다. 술에 넣으면 더욱 좋다.
【主治】
產後血暈口噤,腹內惡血不盡絞痛,胎死腹中,並酒煮服。亦主蠱毒(《開寶》)。
産後(산후)의 血運(혈운), 口噤(구금), 腹內(복내)의 惡血(악혈)이 말끔히 나오지 않고 絞痛(교통)하는 것, 胎兒(태아)가 腹中(복중)에서 死亡(사망)한 것에는 모두 酒煮(주자)해서 服用(복용)한다. 또 蠱毒(고독)에도 主效(주효)가 있다.
多用破留血,少用養血(震亨)。
多用(다용)하면 留血(유혈)을 破(파)하고, 少用(소용)하면 養血(양혈)한다.
活血潤燥,止痛散腫,通經(時珍)
活血(활혈)하고, 潤燥(윤조)하며, 止痛(지통), 散腫(산종)하고 經(경)을 通利(통리)한다.
【發明】
時珍曰︰血生於心包,藏於肝,屬於衝任。紅花汁與之同類,故能行男子血脈,通女子經水。多則行血,少則養血。
血(혈)은 心包(심포)에서 만들어져서 肝(간)에 貯藏(저장)하며, 衝任(충임)에 屬(속)한다.紅花汁(홍화즙)은 이것과 類(유)를 같이 하는 것이니 能(능)히 男子(남자)의 血脈(혈맥)을 行(행)하게 하고, 女子(여자)의 經水(경수)를 通(통)하는 것이며, 多用(다용)하면 行血(행혈)하고, 少用(소용)하면 養血(양혈)하는 것이다.
按《養屙漫筆》云︰新昌徐氏婦,病產暈已死,但胸膈 微熱。有名醫陸氏曰︰血悶也。得紅花數十斤,乃可活。遂亟購得,以大鍋煮湯,盛三桶於窗格之下,舁婦寢其上熏之,湯冷再加。有頃指動,半日乃蘇。按此亦得唐許胤宗,以黃湯熏柳太後風病之法也。
살펴보면 養屙(양아)의 漫筆(만필)에는 “新昌(신창)으 徐氏(서씨)의 妻(처)는 產暈(산훈)을 앓다가 일단 死亡(사망)했으나 오직 胸膈(흉격)에만 微熱(미열)이 있어 名義(명의) 陸氏(육씨)가 ”이것은 血悶(혈민)이라는 病(병)이다. 紅花(홍화) 十數斤(십수근)이 있으면 살아난다.“라고 말하여 急(급)히 그것을 買入(매입)해서 助劑(조제)시켜 大鍋(대과)에다 湯(탕)으로 煮取(자취)해서 三個(삼개)의 桶(통)에 가득히 담아 창문짝 밑에 옮겨 놓고, 病婦(병부)를 들 것으로 옮겨 그 위에 눕히고 熏(훈)하면서 湯(탕)이 冷(냉)해지면 다시 湯(탕)을 添加(첨가)하여 熏(훈)하였다. 그리하여 얼마 후에 病婦(병부)는 손가락을 움직이게 되었고, 半日(반일)쯤 지나서는 마침내 되살아났다.”라고 記載(기재)되어 있다. 생각해 봄녀 이것은 역시 唐(당)의 許胤宗(허윤종)이 黃芪湯(황기탕)으로 柳太後(유태후)의 風病(풍병)을 熏(훈)한 것과 同一(동일)한 方法(방법)을 應用(응용)한 것이다.
【附方】舊四,新四。
六十二種風,張仲景治六十二種風,兼腹內血氣刺痛︰用紅花 一大兩,分為四分。以酒一大升,煎鐘半,頓服之。不止再服。(《圖經本草》)
一切腫疾︰紅花,熟,搗,取汁,服。不過三服,便瘥。(《外台秘要》)
喉痺壅塞不通者︰紅藍花搗,絞取汁一小升服之,以瘥為度。如冬月無生花,以乾者浸 濕絞汁,煎熱病胎死︰紅花,酒煮汁,飲二、三盞。(《熊氏補遺》)
胎衣不下︰方同上。(《楊氏產乳》)
產後血暈,心悶氣絕︰紅花一兩,為末,分作二服,酒二盞,煎一盞,連服。如口噤,斡開灌之,或入小便尤妙。(《子母秘錄》)
耳出水 紅藍花三錢半,枯礬五錢。為方去礬。(《聖惠方》)
噎膈拒食︰端午采頭次紅花(無灰酒拌,焙乾)、血竭(瓜子樣者)等分為末。無灰酒一盞,隔湯頓熱,徐咽。初服二分;次日,四分;三日,五分。(楊起《簡便方》)
子
【主治】
天行瘡痘,水吞數顆(《開寶》)。
天行瘡痘(천행창두)에는 물로 數顆(수과)를 넘긴다.
功與花同(蘇頌)。
功力(공력)은 꽃과 같다.
【附方】舊二,新一。
血氣刺痛︰紅藍子一升。搗碎,以無灰酒一大升拌子,曝乾,重搗篩,蜜丸梧子大,空 心酒下四十丸。(張仲景方)
瘡疽不出︰紅花子、紫草茸各半兩,蟬蛻二錢半,水酒鐘半,煎減半,量大小加減服。 (龐安常《傷寒論》)
女子中風,血熱煩渴︰以紅藍子五合。熬搗,旦日取半大匙,以水一升 渣,細細咽之。(《貞元廣利方》)
苗
【主治】
生搗,塗游腫(《開寶》)。
生(생)것을 찧어서 游腫(유종)에 바른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복화(旋覆花)[본초강목] (0) | 2021.01.22 |
---|---|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0) | 2021.01.22 |
애엽(艾葉)[본초강목] (0) | 2021.01.13 |
소계(小薊)[본초강목] (0) | 2021.01.13 |
설련화(雪蓮花)[본초강목습유]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