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10. 03:1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소소채(小巢菜)[본초강목]
새완두
이명:털새완두
학명:Vicia hirsuta (L.) Gray
분류군:Leguminosae(콩과)
일본명:スズヌノエンドウ(Suzumeno-endo)
영명:Pigeon Vetch, Tare Vetch, Tiny Vetch. Common hairy tare. Tyne grass.
漢名:薇(고비 미)
잎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으로서 6-8쌍의 소엽과 더불어 끝에 갈라진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피침형이며 길이 10~17mm, 나비 2-3mm로서 원두 또는 절두이고 탁엽은 대개 4개로 갈라지며 녹색이다.
열매
열매는 협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8mm, 나비 3mm로서 잔털이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편평한 원형이고 흑색이다.
꽃
엽액에서 길이 2-3cm의 총상화서가 나와 그 끝에 3-4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3~4m로서 백자색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익판과 용골판이 기판보다 짧다.
줄기
잔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길이 50cm정도 벋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남부지방의 산록 이하.
형태
덩굴성 2년초
크기
길이 50cm
생육환경
남부의 밭, 산록에 난다.
이용방안
▶전초는 차 대용으로 이용한다.
▶목초용
▶전초(全草)는 小巢菜(소소채), 종자는 漂搖豆(표요두)라고 하며 약용한다.
⑴小巢菜(소소채)
①성분 : 잎에는 apiin(fla.) 2.5-3.0%와 quercetin 0.005-0.01%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解表(해표), 利濕(이습), 活血(활혈),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학질, 鼻出血(비출혈), 白帶(백대) 등을 치료하고 五臟(오장)을 利(이)하고 耳目(이목)을 밝게 하고 熱風(열풍)을 祛(거)하고 五種(오종)의 黃病(황병-황달)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8-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漂搖豆(표요두)
①성분 : 단백질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다.
②약효 : 活血(활혈),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③용법/용량 : 곱게 가루 내어 1회에 3-6g을 甘草湯(감초탕)으로 調服(조복)한다.
학명 Vicia hirsuta (L.) Gray
Nat. arr. Brit. pl. 2: 614 (1821)
1. Ervum hirsutum L.
Sp. Pl. 2 : 738 (1753)
국명 새완두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털새완두
영문명 : Pigeon Vetch, Tare Vetch, Tiny Vetch
일본명 : スズヌノエンドウ
북한명 : 새완두
Vicia hirsuta Gray
Nat. Arr. Brit. Pl. ii. 614.
ii. 614. 0
Original Data:
Notes: Europ.; As. et Afr.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소소채(小巢菜)
Vicia hirsuta (L.) Gray
이명(异名)
Ervum hirsutum L. Vicia taquetii H. Lév.
Vicioides hirsuta Moench
Ervum terronii Ten.
Cracca minor Gren. & Godr.
Cracca hirsuta (L.)Gennari
Vicia mitchellii Raf.
Vicia coreana H.Lev.
Ervum filiforme Roxb.
Ervilia vulgaris Godr.
Ervilia hirsuta Opiz
Endiusa hirsuta Alef.
一年生草本,高10-30厘米,无毛。羽状复叶,有卷须;小叶8-16,矩圆状倒披针形,长5-15毫米,先端截形,微凹,有短尖,基部楔形,两面无毛。总状花序腋生,有2-5朵花,序轴及花梗均有短柔毛;萼钟状,萼齿5,披针形,有短柔毛;花冠白色或淡紫色,长约5毫米;子房有密长硬毛,无柄,花柱顶端周围有短柔毛。荚果矩圆形,扁,长7-10毫米,有黄色柔毛;种子1-2,棕色,扁圆形。
分布于江苏、浙江、江西、湖北、安徽、河南、陕西、四川、云南、台湾;苏联,北欧,北美洲也有。为优良青饲料或干饲料。全草药用,功效与救荒野豌豆相同。
^^^^^^^^^^^^^^^^^^^^^^^^^^^^^^^^^^^^^^^^^^^^^^^^^^^^^^^^^^^^^^^^^^^^^^^
翹搖
(《拾遺》)
【釋名】
搖車(《爾雅》)、野蠶豆(《綱目》)、小巢菜。
藏器曰︰翹搖,幽州人謂之苕搖。《爾雅》云︰柱夫,搖車(俗呼搖車)是矣。蔓生細葉,紫花可食。
敎擾(교요)는 幽州地方(유주지방)에서는 苕搖(초요)라고 한다. 爾雅(이아)에 “杜夫(두부)는 搖車(요거)이다.”라고 하엿따. 俗稱(속칭) 搖車(교거)라 하는 것이 이것이다. 蔓生(만생)으로 잎은 細(세)하고, 꽃은 紫色(자색)이며, 먹을 수 있는 것이다.
時珍曰︰翹搖,言其莖葉柔婉,有翹然飄搖之狀,故名。蘇東坡云︰菜之美者,蜀鄉之巢。故人巢元修嗜之,因謂之元修菜。
敎擾(교요)는 그 莖(경), 葉(엽)이 柔婉(유완)하고, 翹然(교연)하여 飄搖(표요)하고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蘇東坡(소동파)는 “菜(채)가 美(미)한 것은 蜀鄉(촉향)의 巢(소)인데 古人(고인) 巢元修(소원수)가 이것을 즐기는데 緣由(연유)하여 元修菜(원수채)라고 한다.” 라고 하였으며,
陸放翁詩序云︰蜀蔬有兩巢︰大巢即豌豆之不實者;小巢生稻田中,吳地亦多,一名漂搖草,一名野蠶豆。以油炸之,綴以米糝,名草花,食之佳,作羹尤美。
陸放翁(육방옹)의 詩序(시서)에는 “蜀(촉)의 蔬(소)에 兩巢(양소)가 있다. 大巢(대소)는 豌豆(완두)로서 結實(결실)하지 않는 것이며, 小巢(소소)는 稻田中(도전중)에 自生(자생)한다. 吳地方(오지방)에도 많은데 一名(일명) 漂搖草(표요초), 一名(일명) 野蠶豆(야잠두)라고 한다. 油(유)에 삶아서 米糝(미삼)으로 綴(철)하고, 草花(초화)하여 먹으면 佳味(가미)한 것이다. 羹(갱)으로 하면 더욱 美味(미미)하다.”라고 하였다.
【集解】
藏器曰︰翹搖生平澤。蔓生如KT 豆,紫花。
時珍曰︰處處皆有。蜀人秋種春采,老時耕轉壅田。故薛田詩云︰剩種豌巢沃晚田。蔓似KT 豆而細,葉似初生槐芽及蒺藜,而色青黃。欲花未萼之際,采而蒸食,點酒下鹽,羹作餡,味如小豆藿。至三月開小花,紫白色。結角,子似豌豆而小。
【氣味】
辛,平,無毒。
詵曰︰煮食佳,生食令人吐水。
煮食(자식)하는 것이 좋다. 生食(생식)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물을 吐(토)하게 한다.
【主治】
破血,止血生肌。搗汁服之,療五種黃病,以瘥為度(藏器)。
破血止血(파혈지혈)하며, 生肌(생기)한다. 搗汁(도즙)을 服用(복용)하며, 五種(오종)의 黃病(황병)을 療(요)한다. 瘵(채)하는 것을 限度(한도)로 한다.
利五臟,明耳目,去熱風,令人輕健,長食不厭,甚益人(孟詵)。
五臟(오장)을 利(이)하고, 耳目(이목)을 明(명)한다. 熱風(열풍)을 去(거)하며, 輕健(경건)하게 한다. 久服(구복)하여도 질리지 않으며, 매우 有益(유익)하다.
止熱瘧,活血平胃(時珍)。
熱瘧(열학)을 멎게 하고 活血平胃(활혈평위)한다.
【附方】
新二。
活血明目︰漂搖豆為末,甘草湯服二錢,日二錢。(《衛生易簡方》)。
熱瘧不止︰翹搖杵汁服之。(《廣利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蟹)[본초강목] (0) | 2020.11.10 |
---|---|
석해(石蟹)[본초강목] (0) | 2020.11.10 |
벽도간(碧桃干)[본초강목] (0) | 2020.11.10 |
부체목피(扶栘木皮)[본초강목] (0) | 2020.11.10 |
첨당향(詹糖香)[본초강목]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