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10. 04:20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해(蟹)[본초강목]
^^^^^^^^^^^^^^^^^^^^^^^^^^^^^^^^^^^^^^^^^^^^^^^^^^^^^^^^^^^^^^^^^^^^^^^^
蟹
(《本經》中品)
【釋名】
螃䲒(《蟹譜》)郭索(《揚雄方言》)横行介士(《蟹譜》)無腸公子(《蟹譜》)雄曰蛝螘 ,雌曰博帶(廣雅)蜕
雄(웅)을 蛝螘(한의)라고 하며, 雌(자)를 博帶(박대)라 한다.
宗奭曰︰此物每至夏末秋初,如蟬蛻解。名蟹之意,必取此義。
이것이 오는 時期(시기)는 초가을이며 매미와 같이 蛻殼(태각)한다. 蟹(해)라는 것은 名稱(명칭)도 이러한 뜻에서 取(취)한 것이다.
時珍曰︰按︰傅肱《蟹譜》云︰蟹,水蟲也,故字從蟲。亦魚屬也,故古文從魚。以其橫行,則曰螃蟹。以其行聲,則曰郭索。以其外骨,則曰介士。以其內空,則曰無腸。
傅肱(부굉)의 蟹譜(해보)에는 “蟹(해)는 水蟲(수충)이다. 따라서 文字(문자)는 蟲邊(충변)으로 쓴다. 또 魚(어)에 屬(속)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古方(고방)에는 魚邊(어변)으로 썼다. 그것이 옆으로 걷는 것에서 螃蟹(방해)라 하고, 그 기어갈 때의 聲音(성음)에서 郭索(곽색)이라 하며, 外部(외부)가 骨格(골격)하기 때문에 介士(개사)라고 하며, 內部(내부)가 空虛(공허)하기 때문에 無腸(무장)이라고 한다.” 라고 記錄(기록)되어 있다.
【集解】
《別錄》曰︰蟹生伊芳洛池澤諸水中。取無時。
弘景曰︰蟹類甚多,蝤蛑、擁劍、蟛螖皆是,並不入藥。海邊又有蟛蜞,似蟛似蟹而大似蟹而小,不可食。蔡謨初渡江,不識蟛蜞,啖之幾死。嘆曰讀爾雅不熟為學者所誤也。
頌曰︰今淮海、汴東、河北陂澤中多有之,伊洛乃反難得也。今人以為食品佳味。俗傳八月一日取稻芒兩枝,長一二寸許,東行輸送芒長。故今南方捕蟹,差早則有銜芒須霜後輸芒方可食之,否則毒尤猛也。
속간(俗間)에 팔월(八月)일일(一日)에 일(一)~이촌(二寸)쯤의 도망(稻芒)을 이본(二本) 취(取)하여, 동(東)으로 향(向)하고, 그 수장(首長)에게 연공(年貢)으로서 수송(輸送)하는 것이라고 한다. 현재 남방(南方)에서는 포해(捕蟹)하는 시기(時期)가 조금 이르면 함망(銜芒)한 것이 있다고 한다. 상강후(霜降後)에 비로소 먹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맹렬(猛烈)한 독(毒)이 있다.
其類甚多︰六足者名蛫,四足者名北,皆有大毒,不可食。其殼闊而多黃者名蟙生南海中其螯最
鋭斷物如芟刈也。食之行風氣其扁而最大,後足闊者,名蝤蛑,南人謂之撥棹子,以其後腳如棹也一名蟳。
그 각(殼)이 활(闊)하고 황색(黃色)의 미청(味噌)이 많은 것을 직(蟙)이라 부르며, 남해중(南海中)에 서식(棲息)한다. 그 오(螯)는 가장 예리(銳利)하여 칼로 벤 것 같이 물체(物體)를 잘 절단(切斷)한다. 이것을 먹으면 풍기(風氣)를 행(行)한다. 편평(扁平)하고 가장 크며, 후족(後足)이 광활(廣闊)한 것을 추방(蝤蛑)이라 하는데 남방인(南方人)은 발도자(撥棹子)라 부른다. 그 후각(後脚)이 도(掉)와 같기 때문이며 일명(一名) 심(蟳)이라 부른다.
隨潮退殻一退一長其大者如升,小者如盞碟。兩螯如手,所以異於衆蟹也其力至強八月能與虎鬬虎不如也。
一螯大、一螯小者,名擁劍,一名桀步。常以大螯螯鬬,小螯食物。又名執火,以其螯赤也。其最小無毛者,名蟛螖,吳人訛為彭越。《爾雅》云︰螖蠌,小者螃。郭璞注云︰即蟛螖也。
時珍曰︰蟹,橫行甲蟲也。外剛內柔,於卦象離。骨眼蜩腹,䖱腦鱟足二螯八脆利鉗,尖爪殻脆而堅有十二星點。雄者臍長,雌者臍團。腹中之黃,應月盈虧。其性多躁,引聲噀沫,至死乃已。生於流水者色黄而醒生於止水者色紺而馨佛書言其散子後即自枯死霜前食物故有毒,霜後將蟄故味美。所謂入海輸芒者,亦謬談也。
蟛蜞大於蟛螖,生於陂池田港中,故有毒,令人吐下。似蟛蜞而生於沙穴中,見人便走者,沙狗也,不可食。似蟛蜞而生海中,潮至出穴而望者,望潮也,可食。兩螯極小如石者,蚌江也,不可食。生溪澗石穴中,小而殼堅赤者,石蟹也,野人食之。
溪澗(계간)의 石穴中(석혈중)에 살며, 작고 殼(각)이 堅固(견고)하고 赤色(적색)인 것은 石蟹(석해)라는 것으로 野人(야인)들은 이것을 食用(식용)한다.
又海中有紅蟹,大而色紅。飛蟹能飛。善苑國有百足之蟹。海中蟹大如錢,而腹下又有小蟹如榆莢者蟹奴也居蚌腹者蠣奴也。又名寄居蟹並不可食。
蟹腹中有蟲,如小木鱉子而白者,不可食,大能發風也。
宗奭曰︰取蟹以八九月蟹浪之時,伺其出水而拾之,夜則以火照捕之,時黃與白滿殼也。
【修治】
時珍曰︰凡蟹生烹,鹽藏糟收,酒浸醬汁浸,皆為佳品。
凡蟹(범해)는 날것을 삶던지, 鹽藏(염장)을 하든지, 糟(조)로 貯藏(저장)하든지, 酒(주)에 浸漬(침지)하든지, 醬汁(장즙)에 浸漬(침지)하든지 모두 맛좋은 食品(식품)이 된다.
但久留易沙,見燈亦沙,得椒易䐈。得皂莢或蒜及韶粉可免沙䐈蔥得白芷則黄不散得葱及五味子同煮則色不變藏蟹名曰蝑蟹。
다만 오래된 것은 상하기 쉬우며, 燈火(등화)에 쬐인 것도 상한다. 椒(초)를 加(가)하면 易䐈(이직)하지만, 皂莢(조협) 혹은 蒜(산),韶粉(소분)을 使用(사용)하면 沙䐈(사직)을 免(면)할 수 있다. 白芷(백지)를 使用(사용)하면 黃(황)이 散(산)하지 않는다. 蔥(총) 및 五味子(오미자)와 함께 삶으면 變色(변색)하지 않는다. 貯藏(저장)한 蟹(해)만 蝑蟹(서해)라 한다.
蟹
【氣味】
鹹,寒,有小毒。
弘景曰︰未被霜,甚有毒,云食水茛所致人中之不療多死也。獨螯,獨目兩目相向六足四足,腹下有毛,腹中有骨,頭背有星㸃 足斑目赤者 並不可食星㸃。有毒害人冬?汁 紫蘇汁、蒜汁、豉汁、蘆根汁,皆可解之。
서리가 내리기 前(전)까지는 매우 有毒(유독)하다. 水茛(수간)을 먹으므로 有毒(유독)한 것이며, 사람이 그것에 中毒(중독)됐을 때 治療(치료)하지 않으면 대개는 死亡(사망)한다고 한다. 獨螯(독오)의 것, 獨目(독목)의 것, 兩目(양목)이 서로 마주 보는 것, 六足(육족), 四足(사족)의 것, 腹部(복부)에 털이 나 있는 것,腹中(복중)에 骨(골)이 있는 것, 頭背(두배)에 星㸃(성점)이 이는 것, 足(족)에 斑點(반점)이 있고 눈이 붉은 것, 以上(이상)의 것은 먹으면 안된다. 그 毒(독)으로 사람을 害(해)친다. 冬瓜汁(동과즙), 紫蘇汁(자소즙), 蒜汁(산즙), 蘆根汁(노근즙)은 모두 그 毒(독)을 解(해)한다.
楊氏產乳:娠婦食之,令子橫生。
姙婦(임부)가 이것을 먹으면 橫位(횡위)로 子息(자식)을 生産(생산)한다.
宗奭曰︰此物極動風,風疾人不可食,屢見其事。
이것은 極(극)히 動風(동풍)하는 것이다. 風疾患者(풍질환자)는 먹어서는 안 된다. 가끔 이런 사실과 遭遇(조우)한다.
時珍曰︰不可同柿及荊芥食,發霍亂動風,木香汁可解。詳柿下。
柿(시) 및 荊芥(형개)를 合食(합식)해서는 안 된다. 霍亂(곽란)을 일으키고 風(풍)을 動(동)한다. 木香汁(목향즙)으로 解毒(해독)할 수 있다. 詳細(상세)한 것은 柿(시)의 조를 참고
【主治】
胸中邪氣,熱結痛,喎僻面腫。能敗漆。燒之致鼠(《本經》。
胸中(흉중)의 邪氣(사기), 熱結痛(열결통), 喎僻(괘벽), 面腫(면종), 能(능)히 漆(칠)을 敗(패)한다. 이것을 불에 태우면 쥐가 모여든다.
弘景曰︰仙方用之,化漆為水,服之長生。以黑犬血之三日燒之諸鼠畢至。
仙方(선방)에서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漆(칠)을 물로 變化(변화)시켜 長生(장생)의 術(술)로 이를 服用(복용)한다. 黑犬血(흑견혈)을 三日間(삼일간) 灌注(관주)하여 이것을 燒却(소각)하면 諸鼠(제서)가 전부 集合(집합)한다.
頌曰:其黄能化漆為水 故塗漆瘡用之。 其螯燒烟可集鼠於庭也。
그 黃(황)은 能(능)히 漆(칠)을 물로 化(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漆瘡(칠창)에 이것을 塗布(도포)한다. 그 螯(오)를 태워서 煙氣(연기)를 내면 쥐가 마당에 集合(집합)한다.
解結散血 愈漆瘡 養筋 益氣。[别録]
結(결)을 解(해)하고, 血(혈)을 散(산)하며, 漆瘡(칠창)을 愈(유)하고, 筋(근)을 養(양)하며, 益氣(익기)한다.
散諸熱 治胃氣 理經脉 消食。以醋食之利胑節 去五臟中煩悶 氣益人。(孟詵)
諸熱(제열)을 散(산)하고, 胃氣(위기)를 治(치)하며, 經脈(경맥)을 利(이)하고, 食物(식물)을 消化(소화)한다. 醋(초)와 合食(합식)하면 胑節(지절)을 利(이)하고, 五臟中(오장중)의 煩悶(번민)의 氣(기)를 除(제)하며, 益人(익인)한다.
産後肚痛 血不下者 以酒食之。筋骨折傷者 生搗炒罯之。(日華)
産後(산후)에 肚痛(두통)하고 血(혈)이 不下(불하)하는 경우에는 酒服(주복)한다. 筋骨折伤(근골절상)에는 날것을 搗炒(도초)하여 患處(환처)에 塗布(도포)한다.
能續斷絶筋骨 去殻同黄 搗爛㣲炒 納入瘡中 筋即連也。(藏器)
能(능)히 斷絶(단절)된 筋骨(근골)을 接續(접속)한다. 殼(각)을 去(거)하고 黃(황)과 함께 搗爛(도란)하고, 微炒(미초)하여 瘡中(창중)에 納入(납입)하면 筋(근)이 連結(연결)된다.
小兒解顱不合 以螯同白及末搗塗 以合爲度。(宗奭)
小兒(소아)의 解顱(해로)가 合(합)하지 않을 때는 蟹(해)와 白及末(백급말)을 搗碎(도쇄)하여 塗布(도포)한다. 合(합)해지는 것을 限度(한도)로 한다.
殺茛菪毒 解鱓魚毒 漆毒 治瘧及黄疸 搗膏塗疥瘡癬瘡 搗汁滴耳聾。(時珍)
莨菪(낭탕)의 毒(독)을 殺(살)하고, 鱔魚(선어)의 毒(독), 漆毒(칠독)을 解(해)하고 瘧(학) 및 黃疸(황달)을 治(치)한다. 搗碎(도쇄)하여 膏(고)로 만들어 疥瘡(개창), 癬瘡(선창)에 塗布(도포)한다. 搗汁(도즙)을 耳聾(이롱)에 滴下(적하)한다.
蝤蛑
【氣味】
鹹,寒,無毒。
【主治】
解熱氣,治小兒痞氣,煮食(《日華》)。
熱氣(열기)를 解(해)하고 小兒(소아)의 痞气(비기)를 治(치)한다. 煮食(자식)한다.
蟛蜞
【氣味】
鹹,冷,有毒。
【主治】
取膏,塗濕癬、疽瘡(藏器)。
膏(고)를 取(취)하여 濕痺(습비), 疔瘡(저창)에 塗布(도포)한다.
【發明】
慎微曰︰蟹非蛇鱔之穴無所寄。故食鱔中毒者,食蟹即解,性相畏也。沈括《筆談》云︰關中無蟹,土人怪其形狀,收乾者懸門上辟瘧。不但人不識,鬼亦不識也。
蟹(해)는 蛇(사), 鱓(선)의 穴(혈) 以外(이외)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鱓(선)을 먹고 中毒(중독)된 경우에는 蟹(해)를 먹으면 즉시 解毒(해독)딘다. 이는 性(성)의 相畏關係(상외관계)이다. 沈括(심괄)의 筆談(필담)에 “關中(관중)에는 蟹(해)가 살지 않는다. 그 地方(지방)사람들이 그 形狀(형상)을 怪異(괴이)하게 여겨서 乾燥(건조)한 것을 門(문)위에 걸어 두었던바 그것으로 瘧(학)을 辟(피)했다고 한다. 모른 것은 人間(인간)뿐만이 아니고 鬼神(귀신)까지도 모른 것으로 보인다.”라고 되어 있다.
時珍曰︰諸蟹性皆冷,亦無甚毒,為蝑最良。鮮蟹和以薑、醋,侑以醇酒咀黄持螯畧賞風 味,何毒之有?
모든 蟹(해)의 性(성)은 冷(냉)하며, 역시 심한 毒(독)은 없고, 蝑(서)로 치는 것이 가장 좋다. 新鮮(신선)한 蟹(해)를 薑醋(강초)로 調和(조화)하고 醇酒(순주)로 交酌(교작)할 때의 酒肴(주효)로 하여, 黃汁(황즙)을 咀(저)하고 螯(오)를 들고 먹는 風味(풍미)는 實(실)로 흥미진진하다. 어디에 毒(독)이 있겠는가?.
饕嗜者 乃頓食十許枚,兼以葷膻雜進,飲食自倍 腸胃乃傷腹痛吐利,亦所必致,而歸咎於蟹,蟹亦何咎哉?
생각없이 貪食(탐식)하는 者(자)는 一時(일시)에 幾十个(기십개)도 먹으며, 그 위에 葷膻(훈전)한 것을 雜食(잡식)하여 不知不識間(부지부식간)에 平常(평상)의 數倍(수배)의 飮食物(음식물)을 攝取(섭취)하는 것을 敢行(감행)한다. 그래서 腸胃(장위)가 傷(상)하여 腹痛(복통)에 吐利(토리)함은 極(극)히 當然(당연)한 結果(결과)이다. 그런 것을 蟹(해)가 나쁘다고 하지만 蟹(해)에게 무슨 잘못이 있겠는가?
洪邁《夷堅志》云︰襄陽一盜,被生漆塗兩目,發配不能睹物。有村叟令尋石蟹,搗碎濾汁㸃之則漆隨汁出而瘡愈也。用之果明如初漆之畏蟹,莫究其義。
洪邁(홍매)의 夷堅志(이견지)에는 “襄陽(양양)에서 어떤 盜賊(도적)이 生漆(생칠)을 뒤집어쓰고, 兩眼(양안)에 漆瘡(칠창)이 蔓延(만연)하여 全然(전연) 物體(물체)를 볼수가 없게 됐다. 그런데 그 마을의 한 老人(노인)이 石蟹(석해)를 잡게 하여 그것을 搗碎(도쇄) 濾過(여과)한 汁(즙)을 患處(환처)에 點(점)한즉, 그 汁(즙)을 따라 漆(칠)은 밖으로 流出(유출)되고 瘡(창)은 治癒(치유)되어, 그것을 사용한 것만으로 前(전)과 같이 밝아졌다. 漆(칠)이 蟹(해)를 畏(외)하는 것은 어떠한 緣由(연유)에서인지 알수 없다.” 라고 記錄(기록)되어 있다.
【附方】
新三。
濕熱黃疸 蟹燒存性研末,酒糊丸如梧桐子大。每服五十丸,白湯下,日服二次。(《集簡方》)
即好。乾蟹燒灰,酒服亦好。(唐瑤《經驗方》)
中鱔魚毒︰食蟹即解。(董炳驗方)
蟹爪
【主治】
破胞墮胎(《別錄》)。
破胞(파포)하고 墮胎(타태)한다.
破宿血,止產後血閉酒及醋湯煎服良(日華)。
宿血(숙혈)을 破(파)하고 産後(산후)의 血閉(혈폐)를 止(지)한다. 酒(주) 및 醋湯(초탕)으로 煎服(전복)하면 尤好(우호)하다.
能安胎(張鼎)。
能(능)히 安胎(안태)한다.
頌曰︰胡洽方 治孕婦僵仆胎上搶心 有蟹爪湯墮。
胡洽(호흡)의 方(방)에 姙婦(임부)가 僵仆(강부)하여 胎(태)가 위로 心(심)을 瘡(창)하는 것을 治療(치료)하는데 蟹爪湯(해조탕)이라는 것이 있다.
生胎下死胎辟邪魅(時珍)。
生胎(생태)를 墮(타)하고, 死胎(사태)를 下(하)하여 邪魅(사매)를 辟(피)한다.
【附方】
新二。
《千金》神造湯︰治子死腹中,並雙胎一死一生,服之令死者出,生者安,神驗方也。用蟹爪一升,甘草二尺,東流水一斗,以葦薪煮至二升,濾去滓,入真阿膠三兩令烊,頓服或分二服。若人困不能服者,灌入即活。
下胎蟹爪散︰治妊婦有病欲去胎。用蟹爪二合,桂心、瞿麥各一兩,牛膝二兩,為末。
空心溫酒服一錢。(《千金
殼
【主治】
燒存性,蜜調,塗凍瘡及蜂蠆傷。酒服,治婦人兒枕痛及血崩腹痛消積 (時珍)。
燒灰(소회)해서 硏末調蜜(연말조밀)하여 凍瘡(동창) 및 蜂蠆傷(봉채상)에 塗布(도포)한다. 酒服(주복)하면 婦人(부인)의 兒枕痛(아침통) 및 血崩腹痛(혈붕복통)ㅇ르 治(치)하여 消積(소적)한다.
【附方】
新三。
崩中腹痛︰毛蟹殼燒存性,米飲服一錢。(《証治要訣》)
蜂蠆螫傷︰蟹殼燒存性,研末,蜜調塗之。(証治要訣)
熏辟壁虱︰蟹殼燒煙熏之。(《摘玄》)
鹽蟹汁
【主治】
喉風腫痛,滿含細咽即消(時珍)。
喉风肿痛(후풍종통)에는 한입 물고 조금씩 嚥下(연하)하면 消散(소산)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금화(洋金花)[본초강목] (0) | 2020.11.19 |
---|---|
연초(烟草)[본초강목습유] (0) | 2020.11.19 |
석해(石蟹)[본초강목] (0) | 2020.11.10 |
소소채(小巢菜)[본초강목] (0) | 2020.11.10 |
벽도간(碧桃干)[본초강목]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