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10. 02:5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벽도간(碧桃干)[본초강목]
^^^^^^^^^^^^^^^^^^^^^^^^^^^^^^^^^^^^^^^^^^^^^^^^^^^^^^^^^^^^^^^^^^^
桃梟
【釋名】
桃奴(《別錄》)桃景(同上)神桃。
《別錄》曰︰此是桃實著樹經冬不落者,正月採之,中實者良。
이것은 桃(도)의 實(실)이 나무에 붙은 채 越冬(월동)한 것을 말한다. 正月(정월)에 採取(채취)한다. 속이 充實(충실)한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時珍曰︰桃子乾懸如梟首磔木之狀,故名。奴者,言其不能成實也。《家寶方》謂之神桃,言其辟惡也。千葉桃花結子在樹不落者,名鬼髑髏。雷斅《炮炙論》有修治之法,而方書未見用者。
桃子(도자)가 말라 붙어 있는 모양이 마치 梟首(효수)를 나무에 磔(책)한 것과 같은 데서 붙인 이름이다. 奴(노)란 實(실)이 되지 못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家寶方(가보방)에서 이것을 神桃(신도)라고 한 것은 惡(악)을 辟(피)한다는 뜻이다. 千葉桃花(천엽도화)의 結子(결자)가 나무에 있으면서 떨어지지 않는 것을 鬼髑髏(귀촉루)라 하고, 雷斅炮炙论(뇌효포자론)에는 修治法(수치법)이 있으나 方書(방서)에서는 사용된 적이 없는 것이다.
雷斅曰︰鬼髑髏,十一月採得,以酒拌蒸之,從巳至未,焙乾,以銅刀切,焙取肉用。
鬼髑髏(귀촉루)는 十日月(십일월)에 採取(채취)하여 拌酒(반주)하고,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二時(이시)까지 蒸(증)한 다음 焙乾(배건)하고, 銅刀(동도)로 切焙(절배)한다. 肉(육)을 取(취)하여 使用(사용)한다.
【氣味】
苦,微溫,有小毒。
【主治】
殺百鬼精物(《本經》)。
百鬼精物(백귀정물)을 殺(살)한다.
殺精魅五毒不祥,療中惡腹痛(《別錄》。
精魅(정매), 五毒(오독), 不祥(부상)을 殺(살)하고 中惡腹痛(중악복통)을 療(요)한다.
頌曰︰胡洽治中惡毒瓦斯蠱疰有桃梟湯。
胡洽(호흡)의 中惡(중악), 毒氣(독기), 蠱疰(고주)를 治(치)하는 桃梟湯(도효탕)이라는 것이 있다.
治肺氣腰痛,破血,療心痛,酒磨暖服之(大明)。
폐기(肺氣), 腰痛(요통)을 治(치)하고 破血(파혈), 心痛(심통)을 療(요)한다. 술에 磨(마)하여 暖服(난복)한다.
主吐血諸藥不效,燒存性,研末,米湯調服,有驗(汪穎)。
吐血(토혈)하고 諸藥(제약)의 效(효)가 없는 것에 主效(주효)가 있다. 燒(소)하여 性(성)은 남겨 硏末(연말)하고, 米湯(미탕)으로 調服(조복)하면 效驗(효험)이 있다.
治小兒虛汗,婦人妊娠下血,破伏梁結氣,止邪瘧。燒煙熏痔瘡。燒黑油調,敷小兒頭上肥瘡軟癤(時珍)。
小兒(소아)의 虛汗(허한), 婦人(부인)의 妊娠下血(임신하혈)을 治(치)하고 伏梁結氣(복량결기)를 波(파)하며, 邪瘧(사학)을 멎게 한다. 烟燒(연소)하여 痔瘡(치창)을 熏(훈)하고, 黑燒(흑소)하여 油(유)로 調和(조화)하고, 小兒頭上(소아두상)의 肥瘡(비창), 軟癤(연절)에 傅(부)한다.
【附方】
舊三,新五。
伏梁結氣,在心下不散︰桃奴三兩為末,空心溫酒,每服二錢。(《聖惠》)。
鬼瘧寒熱︰樹上自乾桃子二、七枚為末,滴水丸梧子大,朱砂為衣。每服一丸,侵晨面東井華水下,食。(《聖濟總錄》)。
五種瘧疾︰《家寶》通神丸︰用神桃(即桃奴)十四枚,巴豆七粒,黑豆一兩。研勻,以冷水和丸梧子大,朱砂為衣。發日五更念藥王菩薩七遍,井華水下一丸,立瘥。不過二次,妙不可言。(王隱君《養生主論》)
妊娠下血不止︰用桃梟,燒存性,研,水服取瘥。(葛洪方)
盜汗不止︰樹上乾桃子一個,霜梅二個,蔥根七個,燈心二莖,陳皮一錢,稻根、大麥芽各一撮。水二鐘,煎服。(《經驗方》)
白禿頭瘡︰乾桃一兩,黑豆一合,為末,臘豬脂調搽。(《聖惠》)。
小兒頭瘡︰樹上乾桃燒研,入膩粉、麻油調搽。(《聖惠》)。
食桃成病︰桃梟燒灰二錢,水服取吐即愈。陸光祿說有人食桃不消化作病時,於林間得槁桃燒服,登時吐出即愈,此以類相攻也。(張文仲《備急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해(石蟹)[본초강목] (0) | 2020.11.10 |
---|---|
소소채(小巢菜)[본초강목] (0) | 2020.11.10 |
부체목피(扶栘木皮)[본초강목] (0) | 2020.11.10 |
첨당향(詹糖香)[본초강목] (0) | 2020.11.10 |
산해라(山海螺)[본초강목습유]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