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초(夏枯草)[본초강목]

2020. 7. 19. 21:4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하고초(夏枯草)[본초강목]

 

 

 

 

^^^^^^^^^^^^^^^^^^^^^^^^^^^^^^^^^^^^^^^^^^^^^^^^^^^^^^^^^^^^^^^^^^^^^^^^^^^^

 

 

夏枯草

 

(《本經下品

 

 

釋名

 

夕句(《本經》)、乃東(《本經》)、燕面(《別錄》)、鐵色草

 

 

震亨曰此草夏至後即枯蓋稟純陽之氣得陰氣則枯故有是名

 

 

() 夏至(하지)가 지나면 시든다. 대개 純陽(순양) ()를 받은 것으로 陰氣(음기)를 만나면 시들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 名稱(명칭)이 붙은 것이다.

 

 

 

 

 

集解

 

別錄夏枯草生蜀郡川谷四月採

 

恭曰處處有之生平澤

 

頌曰冬至後生葉似旋覆三月四月開花作穗紫白色似丹參花結子亦作穗 五月便枯四月採之

 

時珍曰原野間甚多苗高一二尺許其莖微方葉對節生似旋覆葉而長大有細齒背白多紋莖端作穗長一二寸穗中開淡紫小花一穗有細子四粒丹溪云無子亦欠察矣嫩苗瀹過浸去苦味油鹽拌之可食

 

 

 

正誤

 

宗奭曰今謂之郁臭自秋便生經冬不悴春開白花夏結子

 

震亨曰郁臭草有臭味即茺蔚是也夏枯草無臭味明是兩物俱生於春夏枯先枯 而無子郁臭後枯而結子

 

 

 

莖葉

 

 

氣味

 

無毒

 

之才曰土瓜為之使伏汞砂

 

土瓜(토과) 使()가 된다. (), () ()한다.

 

 

 

主治

 

 

寒熱瘰癧鼠瘻 頭瘡破症散癭結氣腳腫濕痺輕身(《本經》)。

 

寒熱(한열), 癩癧(나력), 鼠瘻(서루), 頭瘡(두창), () ()하고, (), 結氣(결기), 腳腫濕痺(각종습비) ()하며, 輕身(경신)한다.

 

 

 

 

發明

 

 

震亨曰本草言夏枯草大治瘰癧散結氣有補養厥陰血脈之功而不言及觀其退寒熱虛者可使若實者以行散之藥佐之外以艾灸亦漸取效

 

 

本草(본초)에는 夏枯草(하고초)가 크게 癩癧(나력) ()하고, 結氣(결기) ()하는 것만 말하고는 厥陰(궐음) 血脈(혈맥) 補養(보양)하는 功力(공력)이 있는 점은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그 寒熱(한열) 除去(제거)하는 것을 보면 ()한 사람에게는 使用(사용)해야 하나 ()한 사람에게는 (), ()하는 () ()로 해서 外治(외치)로는 艾灸(애구) 使用(사용)하여 점차적으로 ()를 취하는 것이 마땅하다.

 

 

 

時珍曰黎居士易簡方》︰夏枯草治目疼用沙糖水浸一夜用取其能解內熱緩肝火也樓全善云夏枯草治目珠疼至夜則甚者神效或用苦寒藥點之反甚者亦神效

 

 

黎居士(여거사) 易簡方(역간방) 夏枯草(하고초) 目疼(목동) ()하는데 沙糖(사당)에 하룻밤 ()하여 使用(사용)하는 것으로 內熱(내열) ()하고, 肝火(간화) 緩和(완화)하는 그 效力(효력) 應用(응용)해야 한다.”라고 했으며, 樓全善(누전선) 夏枯草(하고초) 眼球(안구) 疼痛(동통)해져서 夜間(야간)에 특히 심한 것을 治療(치료)하는데는 神效(신효)가 있다. 또는 (), () ()을 발라서 도리어 瘡痛(창통)하는 경우에 神效(신효)가 있다.

 

 

 

 

蓋目珠連目本即系也屬厥陰之經夜甚及點苦寒藥反甚者夜與寒亦陰故也夏枯稟純 陽之氣補厥陰血脈故治此如神以陽治陰也

 

 

무릇 眼球(안구) 眼本(안본)에 이어져 있고, 目本(목본)은 또한 目系(목계)로 불리는 것으로 厥陰經(궐음경)에 속한다. 야간에 특히 심한 경우와 (), () ()을 발라서 도리어 疼痛(동통)에 극심한 것은 () ()은 역시 ()이기 때문이다. 夏枯草(하고초) 純陽(순양) ()를 받아 厥陰(궐음) 血脈(혈맥) ()하기 때문에 상기의 病證(병증) 神效(신효)가 있는 것이니 이것이 곧, ()으로 () ()하는 것이다.

 

 

 

一男子至夜目珠疼連眉棱骨及頭半邊腫痛用黃連膏點之反甚諸藥不效灸厥陰少陽疼隨止半日又作月餘以夏枯草二兩香附二兩甘草四錢為末每服一錢半清茶調服下咽則疼減半至四五服良愈矣

 

 

어떤 男子(남자)가 밤만 되면 眼球(안구) 疼痛(동통)하고, 眉稜骨(미릉골)에서 머리의 절반에 걸쳐 腫痛(종통)하여 黃連膏(황련고)를 바르면 도리어 疼痛(동통)이 심해져서 諸藥(제약)이 효과가 없었으나 厥陰(궐음), 少陽(소양) ()해 보았더니 疼痛(동통)은 멎었으나 반일이 경과하자 다시 發作(발작)하였고, 또한 月餘(월여)에 걸쳐서 그 狀態(상태)가 계속 되었다. 그래서 夏枯草(하고초) 二兩(이량), 香附(향부) 二兩(이량), 甘草(감초)四錢(사전) 作末(작말)해서 一錢半(일전반)씩을 清茶(청다) 調和(조화)하여 服用(복용)시켰더니 食道(식도)를 지나자 疼痛(동통)은 반감되었고 ()~五服(오복) 후에는 멀쩡하게 治癒(치유)되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附方舊一新六

 

 

明目補肝肝虛目睛痛冷淚不止筋脈痛羞明怕日夏枯草半兩香附子一兩為末 赤白帶下夏枯草花開時采陰乾為末每服二錢米飲下食前。(《徐氏家傳方》)

 

血崩不止夏枯草為末每服方寸匕米飲調下。(《聖惠方》)

 

產後血暈心氣欲絕者夏枯草搗絞汁服一盞大妙。(《徐氏家傳方》)

 

撲傷金瘡夏枯草口嚼爛), 上即愈。(《衛生易簡》)

 

汗斑白點夏枯草煎濃汁日日洗之。(《乾坤生意》)

 

瘰癧馬刀不問已潰未潰或日久成漏用夏枯草六兩水二鐘煎七分食遠溫服 虛甚者則煎汁熬膏服並塗患處兼以十全大補東加香附貝母遠志尤善此物生血乃治瘰癧之聖藥也其草易得其功甚多。(薛己外科經驗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마(天麻)[본초강목]  (0) 2020.07.19
악실(惡實)[본초강목]  (0) 2020.07.19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0) 2020.07.12
저마(苧麻)[본초강목]  (0) 2020.06.28
석해(石蟹)[본초강목]  (0) 2020.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