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19. 23:0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천마(天麻)[본초강목]
^^^^^^^^^^^^^^^^^^^^^^^^^^^^^^^^^^^^^^^^^^^^^^^^^^^^^^^^^^^^^^^^^^^^^^^^^^
赤箭(本經上品) 天麻
(宋《開寶》)
【校正】
天麻,系宋本重出,今並為一。
【釋名】
赤箭芝(《藥性》)、獨搖芝(《抱朴子》)、定風草(《藥性》)、離母(《本經》)、合離草(《抱朴子》)、神草(《吳普》)、鬼督郵(《本經》)。
弘景曰︰赤箭,亦是芝類。其莖如箭杆,赤色,葉生其端。根如人足,又云如芋,有十二子為衛。有風不動,無風自搖。如此,亦非俗所見。而徐長卿亦名鬼督郵。又有鬼箭,莖有羽,其主療並相似,而益大乖異,並非此赤箭也。
赤箭(적전)은 역시 芝類(지류)이다. 莖(경)은 箭杆(전간)처럼 색이 붉고, 끝머리에 葉(엽)이 生(생)한다. 根(근)은 大魁(대괴)같다. 또 芋(우)같기도 하나. 十二子(십이자)가 周圍(주위)를 지키듯 衛(위)하고, 바람이 불어도 움직이지 않고, 바람이 없으면 스스로 흔들리는데, 여사한 것은 俗間(속간)에서 전혀 볼수 없다. 또한 徐長卿(서장경)에도 鬼督邮(귀독우)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鬼箭(귀전)이라는 莖(경)에 羽(우)가 있는 것도 있는데 그것들은 治病上(치병상)의 主效(주효)는 한결같이 비슷하나 赤箭(적전)과 다른 데가 있다. 이 中(중)의 어느 것도 赤箭(적전)은 아니다.
頌曰︰按︰《抱朴子》云︰仙方有合離草,一名獨搖芝,一名離母。所以謂之合離、離母者,此草下根如芋魁,有游子十二枚周環之,以仿十二辰也。去大魁數尺,皆有細根如白發,雖相須而實不相連,但以氣相屬爾。如菟絲之草,下有伏菟之根,無此則絲不得上,亦不相屬也。然則赤箭之異,陶隱居已云非俗所見,菟絲之下有伏菟,亦不聞有見者,殆其種類,時有神異者而如此爾。
살펴보면 抱朴子(포박자)는 “仙方(선방)에 合離草(합리초), 일명 獨搖芝(독요지), 離母(이모)라는 것이 있다.”라고 하였다. 合離草(합리초) 離母(이모)라는 것은 이 草(초)의 아래의 根(근)이 芋魁(우괴)와 비슷하여 子十二個(자십이개)가 둘러싸고 있어서 十二星(십이성)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을 모방하고 있다. 대저 大魁(대괴)는 數尺(수척)으로 모두 細根(세근)이 있어서 白髮(백발)과 같고, 그것이 서로 連絡(연락)하는 것처럼 보이나 열매는 連(연)하여 있지 않고 단지 同氣(동기)로써 相聚(상취)하고 있기 때문에 나온 見解(견해)라고 여겨진다. 예를 들면 兎絲(토사)라는 草(초) 밑에는 茯苓(복령)의 根(근)이 있는데 그것이 없으면 兎絲(토사)는 위로 伸長(신장)할 수 없는 것이지만 역시 兎絲(토사)와 茯苓(복령)은 同體(동체)로써 連結(연결)되어 있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赤箭(적전)도 역시 같은 모양의 不可思議(불가사의)한 점이 있다고 보인다. 陶隐居(도은거)는 이미 <俗間(속간)에서 볼수 없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兎絲(토사) 밑에 伏菟(복토)가 있다는 것도 아직 보았다는 말을 들은바 없다. 허나 혹은 그러한 奇怪(기괴)한 事實(사실)이 드물게는 있을 지도 모른다.
時珍曰︰赤箭,以狀而名;獨搖、定風,以性異而名;離母、合離,以根異而名;神草、鬼督郵,以功而名。天麻即赤箭之根,《開寶本草》重出一條,詳後集解下。
謫遷(적천)은 形(형)을 形容(형용)한 名稱(명칭), 獨搖(독요), 定風(정풍)은 그 性(성)의 特異(특이)함을 表徵(표징)한 名稱(명칭) 離母(이모), 合離(합리)는 根(근)의 特異(특이)로 起因(기인)한 名稱(명칭), 神草(신초), 鬼督邮(귀독우)는 功用(공용)으로 起因(기인)한 名稱(명칭), 天麻(천마)는 즉 赤箭(적전)의 根(근)이다. 开宝本草(개보본초)에는 別途(별도)로 一介(일개)조로써 重複(중복)하고 있으나 詳細(상세)한 것은 다음 集解(집해)에서 揭載(게재)한다.
【集解】
《別錄》曰︰赤箭生陳倉川谷、雍州及太山少室。三月、四月、八月採根,曝乾。
弘景曰︰陳倉,今屬雍州扶風郡。
志曰︰天麻,生鄆州、利州、太山、嶗山諸處,五月採根曝乾。葉如芍藥而小,當中抽一莖,直上如箭杆。莖端結實,狀若續隨子。至葉枯時,子黃熟。其根連一、二十枚,猶如天門冬之類。形如黃瓜,亦如蘆菔,大小不定。彼人多生啖,或蒸煮食之。今多用鄆州者佳。
恭曰︰赤箭,是芝類。莖似箭杆,赤色。端有花,葉赤色,遠看如箭有羽。四月開花,結實似苦楝子,核作五、六棱,中有肉如面,日曝則枯萎。其根皮肉汁,大類天門冬,惟無心脈爾。去根五、六寸,有十餘子衛之,似芋,可生啖之,無乾服之法。
頌曰︰赤箭,今江湖間亦有之,然不中藥用。其苗如蘇恭所說,但《本經》云三月、四月、八月採根,不言用苗。而今方家乃三月、四月採苗,七月、八月、九月採根,與《本經》參差不同,難以兼著,故但從今法。又曰︰天麻,今汴京東西、湖南、淮南州郡皆有之。春生苗,初出若芍藥,獨抽一莖直上,高三、四尺,如箭杆狀,青赤色,故名赤箭芝。莖中空,依半以上,貼莖微有尖小葉。梢頭生成穗,開花結子,如豆粒大。其子至夏不落,卻透虛入莖中,潛生土內。其根形如黃瓜,連生一、二十枚,大者至重半斤,或五、六兩。其皮黃白色,名曰龍皮。肉名天麻,二月、三月、五月、八月內採。初得乘潤刮去皮,沸湯略煮過,曝乾收之。嵩山、衡山人,或取生者,蜜煎作果食,甚珍之。
寇宗奭曰︰赤箭,天麻苗也。與天麻治療不同,故後人分為二條。承曰︰今醫家見用天麻,即是赤箭根。《開寶本草》又於中品出天麻一條,云出鄆州。今之赤箭根苗,皆自齊、鄆而來者為上。蘇頌《圖經》所載天麻之狀,即赤箭苗之未長大者也。赤箭用苗,有自表入裡之功;天麻用根,有自內達外之理;根則抽苗徑直而上,苗則結子成熟而落,返從杆中而下,至土而生,此粗可識其外內主治之理。今翰林沈括最為博識,嘗云︰古方用天麻不用赤箭,用赤箭不用天麻,則天麻、赤箭本為一物明矣。
機曰︰赤箭、天麻,一物也,經分為二,以根與苗主治不同也。產不同地者,各有所宜也。
時珍曰︰《本經》止有赤箭,後人稱為天麻。甄權《藥性論》云︰赤箭芝一名天麻,本自明白。宋人馬志《重修本草》,重出天麻,遂致分辯如此。沈括《筆談》云︰《神農本草》明言赤箭採根,後人謂其根如箭,疑當用莖,蓋不然也。譬如鳶尾、牛膝,皆因莖葉相似,則用其根,何足疑哉?上品五芝之外,補益上藥,赤箭為第一。世人惑於天麻之說,遂止用之治風,良可惜哉。沈公此說雖是,但根、莖並皆可用。天麻子從莖中落下,俗名還筒子。其根曝乾,肉色堅白,如羊角色,呼羊角天麻;蒸過黃皺如乾瓜者,俗呼醬瓜天麻,皆可用者。一種形尖而空,薄如玄參狀者,不堪用。《抱朴子》云︰獨搖芝,生高山深谷之處,所生左右無草。其莖大如手指,赤如丹素。葉似小莧。根有大魁如斗,細者如雞子十二枚繞之。人得大者,服之延年。按︰此乃天麻中一種神異者,如人參中之神參也。 曰︰凡使天麻,勿用御風草,二物相似,只是葉、莖不同。御風草根莖斑,葉背白有青點。使御風草,即勿使天麻。若同用,令人有腸結之患。
【正誤】
藏器曰︰天麻,生平澤,似馬鞭草,節節生紫花。花中有子,如青葙子。子性寒,作飲去熱氣。莖葉搗敷癰腫。承曰︰藏器所說,與赤箭不相干,乃別一物也。
時珍曰︰陳氏所說,乃一種天麻草,是益母草之類是也。《嘉祐本草》誤引入天麻下耳。今正其誤。
【修治】
雷斅曰︰修事天麻十兩,銼安於瓶中。用蒺藜子一鎰,緩火熬焦,蓋於天麻上,以三重紙封系,從巳至未取出,蒺藜炒過,蓋系如前,凡七遍。用布拭上氣汗,刀劈焙乾,單搗用。若用御風草,亦同此法。
이것을 수치(修治)하려면 천마(天麻)십량(十兩)을 다져서 병(甁)안에 넣고 질려자(蒺藜子) 일일(一鎰)을 완화(緩和)로 볶아서 그 천마(天麻)의 위를 덮고, 종이로 삼중(三重)으로 봉(封)하여 오전(午前) 열시부터 오후 두시까지 두었다가 질려자(蒺藜子)를 꺼내어서 다시 볶고 전(前)처럼 다시 종이로 덮고 봉(封)하여 일곱 번을 반복한 후 천마(天麻)에 붙은 기한(氣汗)을 포(布)로 닦고, 칼로 찢어서 배건(焙乾)한 다음 천마(天麻)만을 찧어서 용(用)한다. 어풍초(御風草)를 용(用)할 때도 이 방법(方法)과 똑같다.
時珍曰︰此乃治風痺藥,故如此修事也。若治肝經風虛,惟洗淨,以濕紙包,於糠火中煨熟,取出切片,酒浸一宿,焙乾用。
이것은 풍비(風痹)를 치유(治癒)하는 약(藥)으로서의 수치법(修治法)이기 때문에 피력한 것이다. 간경(肝經)의 풍허(風虛)를 치(治)할 때의 수치(修治)는 단지 세정(洗淨)한 습지(濕紙)에 싸서 강화(糠火) 안에서 煨熟(외숙)하고 그것을 꺼내어 술에 하룻밤 재워서 焙乾(배건)하여 用(용)한다.
赤箭
(《本經》上品)
【氣味】
辛,溫,無毒。
志曰︰天麻,辛、平,無毒。
大明曰︰甘,暖。
權曰︰赤箭芝,一名天麻。味甘,平,無毒。
好古曰︰苦,平,陰中之陽也。
【主治】
殺鬼精物,蠱毒惡氣。久服益氣力,長陰肥健,輕身增年(《本經》)。
鬼(귀), 精物(정물), 蠱毒(고독)의 惡氣(악기)를 殺(살)한다. 久服(구복)하면 氣力(기력)을 益(익)하고, 陰(음)을 長(장)하며, 肥健(비건)하게 한다. 輕身(경신)하고 增年(증년)한다.
消癰腫,下支滿,寒疝下血(《別錄》。
癰腫(옹종)을 消滅(소멸)하고, 支滿(지만)을 下(하)한다. 寒山(한산)의 下血(하혈)
天麻:主諸風濕痹,四肢拘攣,小兒風癇驚氣,利腰膝強筋力。久服益氣,輕身長年(《開寶》)。
天麻(천마)는 諸風濕痹(제풍습비)로 四肢拘挛(사지구련)하는 것, 小兒(소아)의 風癎驚氣(풍간경기)에 主效(주효)가 있고, 腰膝(요슬)을 利(이)하며, 筋力(근력)을 强化(강화)시켜 준다. 長服(장복)하면 益氣(익기)하고, 輕身長年(경신장년)한다.
治冷氣痿痺,攤緩不隨,語多恍惚,善驚失志(甄權)。
冷氣痿痺(냉기위비), 癱緩不隨(탄완불수), 恍惚狀態(황홀상태)로 말이 많고, 잘 놀하서 意識(의식)을 상실하는 것을 治(치)한다.
助陽氣,補五勞七傷,鬼疰,通血脈,開竅。服食無忌。(大明)
陽氣(양기)를 助(조)하고, 五劳七伤(오로칠상)을 補(보)하며, 鬼疰(귀주), 血脈(혈맥)을 通(통)
하고 开窍(개규)하며, 服食(복식)에 禁忌(금기)할 것은 없다.
治風虛眩運頭痛(元素)。
風虛(풍허)의 眩暈頭痛(현훈두통)을 治療(치료)한다.
【發明】
杲曰︰肝虛不足者,宜天麻、芎藭以補之。其用有四︰療大人風熱頭痛,小兒風癇驚悸,諸風麻痺不仁,風熱語言不遂。
肝虛(간허) 不足(부족)에는 摩天(마천), 芎藭(궁궁)으로 補(보)하는 것이 좋다. 그 用途(용도)에는 大人(대인)의 风热头痛(풍열두통), 小兒(소아)의 風癎驚悸(풍간경계), 諸風(제풍)의 麻痺不仁(마비불인), 風熱(풍열)의 言語不遂(언어불수)를 治療(치료)하는 四種(사종)이 있다.
時珍曰︰天麻,乃肝經氣分之藥。《素問》云︰諸風掉眩,皆屬於肝。故天麻入厥陰之經而治諸病。按︰羅天益云︰眼黑頭旋,風虛內作,非天麻不能治。
天麻(천마)는 肝經(간경)의 氣分藥(기분약)이다. 素問(소문)에 “諸風(제풍)의 悼眩(도현)은 모두 木(목)에 屬(속)한다.”라고 있으니 天麻(천마)은 厥陰(궐음)의 經(경)에 들어가 諸病(제병)을 治療(치료)하는 것이다. 살펴보면 羅天益(나천익)은 “眼黑(안흑), 頭旋(두선)은 風虛(풍허)함이 안에서 作用(작용)하였기 때문이다. 天麻(천마)를 用(용)하는 以外(이외)의 治術(치술)은 없다.
天麻乃定風草,故為治風之神藥。今有久服天麻藥,遍身發出紅丹者,是其祛風之驗也。
天麻(천마)는 定風草(정풍초)라 이름할 만큼 風治(풍치)에는 神藥(신약)이다. 現在(현재)에 오랫동안 天麻藥(천마약)을 服用(복용)하면 全身(전신)에 紅丹(홍단)이 發出(발출)하는데 그것은 天麻(천마)가 風(풍)을 없게 해주는 實證(실증)이다.“라고 말했다.
寇宗奭曰︰天麻,須別藥相佐使,然後見其功,仍須加而用之。人或蜜漬為果,或蒸煮食,當深思則得矣。
天麻(천마)는 다른 藥(약)을 左使(좌사)로 하여 用(용)하는 것을 條件(조건)으로 하여 비로소 効果(효과)를 거두는 것이니 用(용)할 때에는 반드시 다른 藥(약)을 첨가할 必要(필요)가 있다. 世間(세간)에서는 혹은 꿀을 뭉쳐서 菓子(과자)도 만들고 혹은 蒸煮(증자)하여 먹고 있으나 熟考(숙고)해보면 그 理由(이유)를 알게 된다.
【附方】新二。
天麻丸︰消風化痰,清利頭目,寬胸利膈。治心忪煩悶,頭暈欲倒,項急,肩背拘倦,神二兩。為末,煉蜜丸如芡子大。每食後嚼一丸,茶、酒任下。(《普濟方》)
腰腳疼痛︰天麻、半夏、細辛各二兩。絹袋二個,各盛藥令勻,蒸熱,交互熨痛處。汗出則愈。數日再熨。(《衛生易簡方》)
還筒子
【主治】
定風補虛,功同天麻(時珍)。
風(풍)을 다스리고 虛(허)를 補(보)하며 功力(공력)은 天麻(천마)와 같다.
【附方】新一。
益氣固精︰補血,黑發,益壽,有奇效。還筒子半兩,芡實半兩,金銀花二兩,破故紙(酒浸,春三、夏一、秋二,冬五日,焙,研末)二兩。各研末,蜜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空心鹽湯溫酒任下。鄭西泉所傳方。《鄧才雜興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죽(玉竹)[본초강목] (0) | 2020.08.04 |
---|---|
북오미자(北五味子)[본초강목] (0) | 2020.07.19 |
악실(惡實)[본초강목] (0) | 2020.07.19 |
하고초(夏枯草)[본초강목] (0) | 2020.07.19 |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0) | 202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