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3. 04:2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
劉寄奴草
(《唐本草》)
【釋名】
金寄奴(大明)烏藤菜(《綱目》)。
時珍曰︰按李延壽《南史》云︰宋高祖劉裕,小字寄奴。微時伐荻新洲,遇一大蛇,射 之。明日往,聞杵臼聲。尋之,見童子數人皆青衣,於榛林中搗藥。
살펴보면 李延壽(이연수)의 南史(남사)에 “宋(송)의 高祖劉裕(고조류유)는 小字(소자)를 寄奴(기노)라고 하였다. 微賤(미천)의 頃(경)에 新州(신주)에서 荻(적)을 치고 있을 때 한 마리의 大蛇(대사)와 마주쳤다. 그 자리에서 쏘아 맞추었다. 다음날 가서 보았더니 그 附近(부근)에서 절구에서 무엇을 찧는 듯한 소리가 들여왔다. 가까이 가서 본 즉, 靑衣(청의)를 입은 數人(수인)의 童子(동자)가 榛(진)나무 숲에서 藥(약)을 찧고 있었다.
問其故。答曰︰我主為劉寄奴所射,今合藥敷之。裕曰︰神何不殺之?曰︰寄奴王者,不可殺也。裕叱之,童子皆散,乃收藥而反。每遇金瘡敷之即愈。人因稱此草為劉寄奴草。
<무엇들 하고 있느냐>라고 물었더니 <우리 主神(주신)이 劉寄奴(유기노)에게 射擊(사격)당해서 지금 거기에 傅(부)할 藥(약)을 合(합)하고 있다.>라고 대답하였다. 裕(유)가 <神(신)으로 불리는 者(자)가 왜 그 射擊(사격)한 자를 죽여 버리지 못했는가?>라고 되묻자 <寄奴(기노)는 王者(왕자)다운 사람이다. 죽일 수는 없지 않는가.>라고 答(답)하였다. 그때 裕(유)가 童子共(동자공)들을 叱咤(질타)했더니 모두들 당황해서 달아났는데 藥(약)은 그대로 남겨둔 채 갔으므로 거두어 돌아왔다. 그 후 戰場(전장)에서 金瘡(금창)을 당할 때마다 그 藥(약)을 傅(부)해 보니 바로 瘡(창)이 愈(유)하였다. 世人(세인)들은 이 揷話(삽화)로 말미암아 이 草(초)를 劉寄奴(유기노)라고 부른다.” 라고 記載(기재)되어 있다.
鄭樵《通志》云︰江南人因 漢時謂劉為卯金刀,乃呼劉為金。是以又有金寄奴之名。江東人謂之烏藤菜云。
鄭樵(정초)의 通志(통지)에는 “江南地方(강남지방)에서는 漢(한)나라 시대부터 劉(유)의 文字(문자)를 卯金刀(묘금도)라고 한다. 이것이 뒤바뀌어 劉(유)를 金(금)이라 부르고, 거기에서 이 草(초)도 金寄奴(금기노)라는 名稱(명칭)으로 부르고 있다.”라고 하였다. 江東地方(강동지방)에서는 이것을 烏藤菜(오등채)오동
【集解】
恭曰︰劉寄奴草生江南。莖似艾蒿,長三、四尺,葉似山蘭草而尖長,一莖直 上有穗,葉互生,其子似稗而細。
保升曰︰今出越州,蒿之類也。高四、五尺,葉似菊,其花白色,其實黃白色作穗,夏 月收苗日乾之。
頌曰︰今河中府、孟州、漢中、滁州亦有之。春生苗,莖似艾蒿,上有四棱,高二、三尺以來。葉青似柳,四月開碎小黃白花,如瓦松,七月結實似黍而細,根淡紫色似萵苣。六月、七月採苗及花子通用。
時珍曰︰劉寄奴一莖直上。葉似蒼朮,尖長糙澀,面深背淡。九月莖端分開數枝,一枝攢簇十朵小花,白瓣黃蕊,如小菊花狀。花罷有白絮,如苦 花之絮。其子細長,亦如苦 子。所云實如黍稗者,似與此不同,其葉亦非蒿類。
子(苗同)
【修治】
斅曰︰凡采得,去莖葉,只用實。以布拭去薄殼令淨,拌酒蒸,從巳至申,曝乾用。
대개 이것을 採收(채수)하면 莖葉(경엽)을 제외하고 열매만을 사용하되 布(포)로 薄殼(박각)을 닦아낸 후에 淸淨(청정)해서 술을 버무리고, 오전 十時(십시)에서 오후 四時(사시)까지 찐 다음 暴乾(폭건)해서 使用(사용)한다.
時珍曰︰莖、葉、花、子皆可用。
莖(경), 葉(엽), 花(화), 子(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氣味】
苦,溫,無毒。
【主治】
破血下脹。多服令人下痢(蘇恭)。
破血(파혈)하고 脹(창)을 下(하)한다. 多服(다복)하면 下痢(하리)한다.
下血止痛,治產後余疾,止金瘡血,極效 (《別錄》)。
下血(하혈), 止痛(지통), 産後(산후)의 餘疾(여질)을 治(치)하며, 金瘡(금창)의 血(혈)이 멎지 않는 데 極效(극효)가 있다.
心腹痛,下氣,水脹血氣,通婦人經脈癥結,止霍亂水瀉(大明)。
心腹痛(심복통), 下氣(하기), 水脹(수창), 血氣(혈기), 婦人(부인)의 경맥(經脈), 癥結(징결)을 通(통)하게 하고, 霍亂(곽란), 水瀉(수사)를 멈춘다.
小兒尿血,新者研末服(時珍)。
小兒(소아)의 尿血(뇨혈)에서 새로 나오는 것을 硏末(연말)해서 服用(복용)한다.
【附方】舊一,新七。
大小便血︰劉寄奴為末,茶調空心服二錢,即止。(《集簡方》)
折傷瘀血在腹內者︰劉寄奴、骨碎補、延胡索各一兩。水二升,煎七合,入酒及童子小便各一合,頓溫服之。(《千金方》)
血氣脹滿︰劉寄奴穗實為末。每服三錢,酒煎服。不可過多,令人吐利。此破血之仙 藥也。(《衛生易簡方》)
霍亂成痢︰劉寄奴草煎汁飲。(《聖濟總錄》)
湯火傷灼︰劉寄奴搗末。先以糯米漿雞翎掃上,後乃摻末。並不痛,亦無痕,大驗之方。凡湯火傷,先以鹽末摻之,護肉不壞,後乃摻藥為妙。(《經驗方》)
風入瘡口腫痛︰劉寄奴為末。摻之即止。(《聖惠方》)
小兒夜啼︰劉寄奴半兩,地龍(炒)一分,甘草一寸。水煎,灌少許。(《聖濟總錄》)
赤白下痢,陰陽交帶,不問赤白︰劉寄奴、烏梅、白薑等分。水煎服。赤加梅,白加薑。(《艾 元英如宜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인다(孩儿茶)[본초강목] (0) | 2020.06.03 |
---|---|
와릉자(瓦楞子)[본초강목] (0) | 2020.06.03 |
웅담(熊膽)[본초강목] (0) | 2020.06.03 |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 2020.05.26 |
영묘향(靈貓香)[본초강목] (0) | 2020.05.17 |